[미래 모빌리티 빅4 빅뱅]LG화학 배터리 물적분할 추진, 지분희석 고려했나인적분할 시 지배력 약화 가능성 높아, 외부자금 확보도 한계
김성진 기자공개 2020-09-15 10:59:14
이 기사는 2020년 09월 11일 14:4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화학이 전지사업 부문(배터리 사업)을 물적분할 방식으로 추진하는 배경에는 지분희석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는 의견이 나온다. 인적분할 자체만으로 지분의 변화는 없지만 외부 자금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지배력 저하가 불가피한 탓이다.현재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 배터리 사업 물적분할 시 LG화학은 수직적 지배구조를 갖추게 된다. 분할하는 주체(LG화학)가 신설법인의 지분 100%를 소유해 '㈜LG → LG화학 → LG배터리(신설법인·가칭)'의 형태가 완성된다.
물적분할의 장점은 외부 자금을 끌어올 때 지배력 약화 우려가 적다는 데 있다. LG화학이 신설법인 지분 100%를 소유하기 때문에 일부 지분 매각에 대한 부담이 적다. 이는 향후 LG화학이 신설법인 기업공개(IPO)를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지주사인 ㈜LG가 보유한 LG화학 지분율에는 변화가 없어 기존과 동일한 지배력 행사가 가능하다.
인적분할은 분할 자체만으로 지분율에 대한 변화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분할되는 회사(LG화학)의 주주들이 기존 지분율 대로 신설법인의 지분을 나눠 갖는 식이다. LG화학의 최대주주인 ㈜LG가 현재 보유한 LG화학 지분율(30.06%)이 신설법인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인적분할을 할 경우 신설회사를 주식시장에 상장시키기도 쉽다. LG화학이 이미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이기 때문에 인적분할된 회사는 변경 상장절차를 통해 재상장이 가능하다. 특히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는 기업들이 이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2018년 지주사 체제로 바꾼 효성그룹은 6월 효성중공업, 효성첨단소재, 효성화학, 효성티앤씨 등 4개 사업회사를 인적분할한 뒤 약 한 달 만인 7월에 재상장했다.
무엇보다 빠른 시일 내 시장에서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지난해 인적분할을 실시한 ㈜두산이 좋은 예로 꼽힌다. ㈜두산은 소재사업과 연료전지사업을 떼어내 각각 두산솔루스와 두산퓨얼셀이라는 이름의 법인을 새로 설립했다. 거래정지 전 분할비율에 따른 시총은 두산솔루스 742억원, 두산퓨얼셀 1329억원이었으나 각각 1조원2000억원, 2조8000억원 수준으로 가치가 올랐다.
다만 투자금을 유치하려면 지분희석을 감수해야 한다. 물론 분할 방식과 관계없이 외부에서 자금을 확보하려면 지분희석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신설회사의 지분 100%를 소유하는 물적분할과 달리 인적분할을 할 경우 ㈜LG는 신설법인 지분 30.06%만 확보 가능하다. 상장 후 신주, 전환사채 등을 실시할 경우 지분율은 20%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자회사의 지분율을 규제하는 공정거래법도 문제다. 공정거래법 상 지주회사는 자회사의 지분을 20% 이상 보유하도록 규정한다. 이는 20% 미만으로 지분율을 떨어뜨리면서 투자금을 모을 수 없다는 의미와도 같다.
업계 관계자는 "물적분할과 인적분할을 결정하는 데는 다양한 요소들이 고려되겠지만, 그룹 지배구조 상 지분희석에 따른 지배력 약화를 고민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KT 구현모식 계열사 정리 신호탄…황창규와 다르다
- 호반건설, 금호리조트 불참 '자체 밸류업 주력'
- '부동산' 전문 캡스톤자산운용, 리츠 시장 뛰어든다
- [CFO 워치]'재무통' 김광평 현대건설 전무, C레벨 사업-재무 균형
- SK건설, 10년만의 펀드 투자 재개…ESG 기업 '발굴'
- [CFO 워치]롯데건설, '안정 속 변화' 새 재무책임자 안재홍 경영지원본부장
- 신생 신탁3사 자본금 확충, 긴장하는 중위권 그룹
- [Company Watch]미래컴퍼니, '7년' 공들인 반도체 사업 시동
- 현실화된 '원게임' 리스크, 크래프톤 밸류 여파는
- [CFO 워치]'혁신과 성장' 앞세운 포스코 최정우號, 'M&A 제로' 기조 바뀔까
김성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니콜라 사기설, 김동관 한화 부사장 사업 안목 시험대?
- 한화그룹 니콜라 투자 '잭팟 혹은 사기'
- [미래 모빌리티 빅4 빅뱅]LG에너지솔루션에 현금 몰아준 LG화학
- 동화기업 배터리 소재업체 변신, 완벽했던 타이밍?
- [CFO 워치]6년만에 컴백한 OCI 마크 리 부사장, 비용관리 숙제
- [미래 모빌리티 빅4 빅뱅]LG화학 배터리 물적분할 추진, 지분희석 고려했나
- [미래 모빌리티 빅4 빅뱅]LG화학 배터리 부문, 물적분할 가닥 이유는
- [LG화학·SK이노 배터리 분쟁]이견 큰 합의금 규모, 가중된 재무부담 탓
- [지배구조 분석]SK디스커버리, 지주사 전환 3년...끝없는 투자·합병·매각
- [LG화학·SK이노 배터리 분쟁]소송전 관전 포인트, '조직'과 '전략'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