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온시스템의 '용두사미' 자사주 매입...결과는 '일거양득' 그린뉴딜 호재로 주가 1년 새 2배 '고공행진'…자기주식 취득 비용 '400억' 절감
박상희 기자공개 2021-01-11 10:31:35
이 기사는 2021년 01월 07일 14:5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로벌 자동차 부품사인 한온시스템이 최근 4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을 해지했다. 1996년 상장 이후 처음으로 자기주식 취득에 나서면서 관심을 모았지만 실제 자사주 매입에 쓴 돈은 10억원 수준으로 '용두사미'에 그쳤다.한온시스템이 주가 관리에 실패한 게 아니다.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던 지난해 3월 대비 한온시스템 최근 주가는 2배 가까이 올랐다. 한온시스템이 그린 뉴딜 수혜주로 주목 받은 덕분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분기적자를 기록했던 한온시스템은 비용절감이 당면 최대과제였다. '그린 뉴딜' 흐름에 올라타면서 한온시스템은 자기주식 매입 비용을 절감하면서 주가 부양에 성공하는 '일거양득' 효과를 누렸다.
한온시스템은 지난달 NH투자증권과 맺은 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을 해지한다고 공시했다. 계약 종료일(2021년 3월19일)보다 3개월여 앞서 계약을 해지한 것이다.
계약 기간 동안 NH투자증권이 한온시스템 주식 취득에 나선건 3차례뿐이다. 지난해 3월31일 4만1450주, 4월30일 6만3590주, 5월31일 2만6530주를 매입했다. 6월 이후로는 매입에 나선 적이 없다. 매입한 총 주식 수는 13만1570주(0.02%)로, 취득 금액은 11억4202만원이다.
업계 관계자는 7일 "K뉴딜 등 호재 영향으로 회사 주가가 올랐다"면서 "굳이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 안정에 나설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증권사와 맺은 신탁계약을 해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온시스템이 자사주 매입에 나섰던 지난해 3월 기준 한온시스템 주가는 주당 8000원 안팎 수준이었다. 당시 주가를 기준으로 400억원을 들여 취득할 수 있는 자기주식 규모는 484만8484주로, 500만주에 조금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한온시스템의 총 발행주식수(5억3380만주)를 감안하면 취득 이후 자기주식 규모는 0.9%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 취득한 자기주식 수는 당초 예상에 훨씬 못미쳤다.

한온시스템은 자기주식 취득 목적을 주식가격의 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서라고 밝혔다. 한온시스템 주가는 지난 1년 간 꾸준히 오름세를 보였다.특히 최근에는 수주 간 신고가를 기록하는 등 고공행진을 해왔다.
한온시스템의 6일 종가는 1만6000원으로, 지난해 3월 대비 2배 가량 오른 모습이다. 한온시스템 입장에선 주가가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일부러 돈을 들여 자기주식 매수에 나설 이유가 없다.
한온시스템 주가가 상승한 것은 전기차와 수소차 등 친환경차 수혜주로 꼽혔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환경 규제 흐름과 그린뉴딜 움직임도 한몫했다.
전기차 플랫폼은 추운 날씨에서 연료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방식의 난방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단계다. 그 중에서 히트펌프 방식은 배터리 전력을 활용하지 않고 인버터, 모터 등 차량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해 난방에 쓰는 원리다. 한온시스템은 현재 히트펌프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린 뉴딜 호재에 힘입어 주가가 오르면서 한온시스템은 결과적으로 자사주 매입 390여억원을 아낄 수 있게 됐다. 지난해 2분기 적자를 기록하면서 '비용 절감'에 나서겠다고 밝힌 점을 감안하면 자기주식 매입 비용 절감은 재무적 측면에서 큰 힘이 된다.
지난해1분기 실적 발표 IR에서 한온시스템은 2분기 적자가 예상된다면서 비용절감 측면에서 설비투자를 기존 40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타 비용도 연간 2500억원 절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온시스템은 지난해 2분기 코로나19 영향으로 글로벌 생산기지가 생산을 멈추면서 첫 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누적으로는 흑자전환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9014억원, 11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 11.8% 증가했다. 영업이익률 역시 6.3% 수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인프라웨어, K-비대면 바우처 사업 덕 SW 이용률↑
- 브이티지엠피, 펜타곤과 콜라보 통해 일본시장 확장
- [이사회 분석]한신공영, 이사진 '물갈이'…사외이사 충원도
- 신한알파리츠, 1.5조로 덩치 키운다…삼성화재 빌딩 인수
- 대림산업 '지주사' DL, 공정위에 전환 신고 '잰걸음'
- 태영건설, 감사위원 분리선출…상법개정안 충족
- [LGES·SK이노 배터리 분쟁]ITC 최종 판결에도 팽팽한 평행선, 합의는 멀었다?
- [이사회 모니터/대우건설]핵심지표 모두 채운 '모범생' 감사기구
- 한라그룹 '한라리츠운용' 출항, 3단계 '로드맵'은
- KT AMC, '메이플타워' 매각 구체화…주관사에 JLL
박상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ESG 모니터/SK그룹]여성 이사회 의장 탄생할까
- [ESG 모니터/SK그룹]"뉴 비즈니스 모델, 친환경(E)에 답 있다"
- [ESG 모니터/SK그룹]계열사 평가 척도가 바뀌었다
- [ESG 모니터/SK그룹]"SK 경영 성과와 상관없이 ESG 지속"
- [ESG 모니터/SK그룹]재계 첫 사회적가치연구원 "SV도 ESG처럼 계량화"
- [ESG 모니터/SK그룹]주춧돌은 수펙스 소셜밸류(SV)위원회
- 경영복귀 김승연의 '선택과 집중', 7년 전과 다른 것은
- [ESG 모니터/SK그룹최태원 회장 "ESG는 일시적 유행 아닌 패러다임 전환"
- 최태원 회장의 본캐와 부캐
- [대기업 내부거래 사각지대 점검]OCI-SGC그룹, 계열분리 허들은 '내부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