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김양섭 재무본부장 체제 구축 재무본부 1~4실로 개편, 세무전략실 독립...배터리부문 투자 등 자금관리 주목
이우찬 기자공개 2021-01-11 10:31:48
이 기사는 2021년 01월 07일 16:0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이노베이션 신임 최고재무책임자(CFO)로 김양섭 부사장(사진)이 낙점됐다. 석유 사업부문의 수익성이 둔화된 가운데 배터리부문에서는 지속적인 투자소요가 예상돼 재무관리의 중요성은 어느 때보다 커지는 상황이라 김 부사장의 역할이 막중해 보인다.1966년생인 김 본부장은 고려대 법학, 미시간주립대 재무학 석사를 졸업했다. 2011년 SK이노베이션 회계팀장, 2012년 SK에너지 자금팀장을 지내는 등 재무통으로 손꼽힌다. 이후 SK이노베이션에서 재무기획팀장, 구매실장, 재무2실장을 역임했다.
김 본부장은 과도기에 놓인 SK이노베이션의 곳간을 운영하는 막중한 역할을 부여받게 됐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를 석유화학중심 사업에서 벗어나 친환경 중심 기업으로 도약하는 원년으로 삼고 있다.
회사는 코로나19에 따른 석유 사업부문 적자로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2조243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친환경 성과를 인정받고 있는 배터리 사업부문은 지속적인 투자소요가 일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배터리 2공장 투자를 위해 최대 1조원을 그린본드로 조달했다. 지난해 3분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부터 배터리 국내외 설비 투자 등에 배정된 약 8조원의 자금으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회사는 향후 배터리·소재사업 중심으로 글로벌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전기차 중심의 배터리시장이 급속히 커지는 가운데 투자확대는 시장 공략을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다만 늘어나는 재무 부담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해 11월 SK이노베이션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강등했다. 신용등급 전망은 '부정적(Negative)'이었다. 신용등급 하락은 조달 금리 인상으로 여겨진다.
김 부사장을 보좌할 재무본부에도 변화가 있다. 기존 재무본부는 산하에 재무 1~5실로 운영됐으나 재무 1~4실로 바뀌었다. 재무 1~4실은 SK에너지, SK종합화학 등 자회사별로 자금·회계·IR을 담당한다. 세무전략실은 독립해 새로 꾸려졌다. 구매실도 업무성격상 재무실, 세무전략실과 별도로 운영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코리아센터·강원도, 배달앱 '일단시켜' 17개 시군 확대
- [이사회 모니터/HDC현대산업개발]'오너=이사회 의장' 공식, 미완의 독립성
- [이사회 모니터/SK건설]사내이사 '빈자리' 누가 채울까
- [이사회 모니터/대우건설]주인없는 시련, 사추위 '잔혹사'
- [이사회 모니터/영풍]자기식구 이사진? 무늬만 사외이사 우려
- 브이티지엠피, 2차전지 양극재 사업 '시동'
- [이사회 분석]하츠, 16년 함께 한 사내이사 변경
- [뉴스페이스 기업 리포트]'분위기 반전' 인텔리안테크, '원웹' 협력 본격화
- KT·LGU+, 헐값에 넘긴 원스토어 지분 다시 샀다
- '시리즈B 오픈' 알고리즘랩스, 2023년 코스닥 '정조준'
이우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모니터/영풍]자기식구 이사진? 무늬만 사외이사 우려
- [이사회 모니터/영풍]이사회 겸직 이슈 독립성 '물음표'…지배구조 D등급
- 박철완 상무, 의도한 입장문 발표시점? 여론전 본격화
- SK종합화학, IPO 아닌 매각 택한 이유는
- [이사회 분석]고려아연, 감사위원 분리선출·여성이사 진입
- 두 얼굴의 영풍, 무차입경영 불구 환경부문(E) 최하위
- [이사회 분석]'안전환경’ 코너몰린 포스코, ESG위원회 돌파구 될까
- 세아베스틸, 실적 급감 탓 차등배당
- SK이노 안전·환경 이끄는 'SHE본부'
- 박철완 상무 측 "경영권분쟁 명분? 드릴 말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