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운용, 중위험·중수익 펀드 강자 입증 다양한 전략별 상품 라인업 구축…해외채권형 펀드 대표적
양정우 기자공개 2021-01-11 10:07:20
11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해외채권형 펀드 수탁고는 2조4384억원이다. 이는 업계 전체 규모의 약 40%를 자치하고 있다.
해외채권형 펀드는 대표적 중수익·중수익 상품으로 꼽힌다. 국내 시중 금리보다 높은 이자를 제공하면서도 전세계에 걸처 분산투자를 벌이고 있다.
2009년 6월 설정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펀드는 '시장금리+ α' 수익률과 높은 안정성을 추구하는 국내 대표 해외채권형 펀드다. 2006년 설정된 모펀드는 설정액이 1조7824억원으로 국내 최대 규모다.
이 펀드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우량 채권을 선별해 50여개국 발행자, 300개 이상의 글로벌채권에 분산투자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설정 이후 수익률이 95%로 집계돼 연평균 약 9%의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펀드의 안정적 운용을 알려주는 연평균 표준편차도 모든 구간에 걸처 해외채권형 펀드의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성과의 바탕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자리잡고 있다.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펀드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한국과 미국에서 협업을 통해 24시간 운용된다. 한국에서 운용이 끝나면 미국에서 운용을 시작해 글로벌 시장의 움직임을 놓치지 않고 있다. 풍부한 글로벌 리서치 인력을 토대로 전세계 우량 채권을 발굴하면서 분산투자를 통해 수익률과 안정성을 동시에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글로벌 주식시장은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신성장 테마를 중심으로 급성장했다. 4차산업 혁명, 클라우드, 바이오헬스케어, 전기차, 2차전지 등 여러 섹터가 인기를 끌었다. 한국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각각 30%, 44%, 미국 나스닥과 S&P500 지수가 각각 44%, 16%, 중국 상해종합지수가 1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식시장의 강세에도 '중위험·중수익' 상품에 대한 니즈는 여전하다. 기대수익률과 변동성을 낮춰 원금손실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 수익을 누리는 투자는 꾸준히 선호되고 있다. 정기예금 금리가 0%대로 진입하면서 위험회피형 투자자의 기대수익률은 더 낮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기관이 운용자산을 외부에 위탁하는 외부위탁운용(OCIO) 시장에서도 안정적 트랙레코드가 핵심 평가 요소로 꼽힌다. 투자 수익을 전제로 자금을 안전하게 운용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중위험·중수익 상품은 전통적 투자자산인 주식보다 낮은 위험을 추구하면서 채권보다 높은 수익을 쫓는 영역을 통칭한다. 단순히 주식·채권혼합형 펀드부터 인컴 펀드, 절대수익형 펀드, 해외채권형 펀드, 부동산 펀드, 헤지펀드 등 다양한 자산과 전략이 활용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진화하는 SK증권 WM비즈니스]자체제작 상품으로 승부한다...솔루션은 '운용사 인수'
- [진화하는 SK증권 WM비즈니스]WM 강화 ‘천명’…독립계 증권사 한계 넘는다
- [헤지펀드 판매사 지형도 분석]마이퍼스트에셋, ‘NH→삼성’ 무게중심 이동
- 한투파, 폴란드 게임사 '휴즈' 투자 멀티플 20배 넘는다
- [2021 정책형 뉴딜펀드]HB인베스트먼트, 2년 만에 펀드레이징 본격화
- [VC투자기업]코리아오메가, '풍원정밀' 택한 배경은
- 비트코인 '광풍' 속 몸값 치솟는 블록체인 벤처
- PE운용업계도 ESG 바람…스터디 본격화
- 코리아오메가 투자 '풍원정밀', 연내 코스닥 상장 추진
- '흔들리는' 유경PSG운용, 강대권·홍성관 '투톱' 퇴사
양정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ETF 시장 진출 타임폴리오, 상반기 2개상품 내놓는다
- 활황장 속 고배당펀드 위축…'썰물' 언제까지
- 프레스티지바이오 상장 초읽기, 잭팟 앞둔 DS운용
- '변동성 관리' 달인 GVA운용, 코벤펀드 결성 시동
- [2021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미래에셋운용 '흔들림 없는' 연금펀드 명가
- [2021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미래에셋다이나믹 해외채권형 점유율 30% '추종불허'
- [2021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하나은행 대치동 골드클럽 'WM 명가' 자존심 지켰다
- [공모주펀드 하우스 분석]'전통의 강호' KTB운용, 모든 IPO 자체분석한다
- [공모주펀드 하우스 분석]양승후 KTB운용 이사 "승부처는 소외주 체리피킹"
- 한국증권, 대체투자펀드 힘싣기…전담부서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