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헬스케어, IPO 심사 철회…연내 재도전 시사 상장폐지 이력 부담, 시기적 특수성 실적 한계 지목
심아란 기자공개 2021-01-18 07:33:43
이 기사는 2021년 01월 15일 17:3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오상헬스케어가 기업공개(IPO)를 위해 거래소에서 질적심사를 받던 중 자진철회를 선택했다. 과거 상장폐지 이력에 따른 내부통제 이슈가 부담으로 작용했다. 코로나19 시류 속에서 진단키트 판매로 개선된 실적 역시 시기적 특수성이 한계로 지목됐다. 오상헬스케어는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연내 IPO를 다시 추진할 계획이다.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상헬스케어는 전일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철회했다. 작년 8월 14일 심사를 청구한 지 6개월 만이다. 오상헬스케어는 이익미실현 기업 요건(테슬라 요건)에 맞춰 코스닥 입성을 추진해왔다.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오상헬스케어의 전신은 인포피아로 2016년 코스닥에서 상장폐지됐다. 그해 전임 대표이사 등의 경영진 5명이 180억원을 횡령하는 사건이 발생한 탓이다. 이듬해 오상그룹이 오상헬스케어의 지분을 사들이며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2020년 3분기 말 기준 ㈜오상이 40.39%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다. 오상자이엘이 16.97%의 지분율로 2대주주로 올라 있다. 이동현 오상그룹 회장이자 오상헬스케어 대표는 5.66%의 지분을 들고 있다.
오상헬스케어는 지배주주의 지분율이 공고하고 상장폐지 이후 체질 개선에 힘쓴 만큼 내부통제 이슈는 해소했다고 판단했다. 다만 전임 임직원 횡령 관련 소송이 계류 중인 데다 재상장인만큼 거래소가 심사를 보다 엄격하게 진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오상헬스케어는 매출 지속성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하는 데도 한계가 따랐다. 테슬라 요건의 취지에 부합하려면 사업의 성장성을 지속하고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오상헬스케어는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분자진단제품을 출시해 경영 실적을 크게 개선했다. 작년 4월 국내 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으며 시장을 선점한 게 주효했다.
작년 3분기까지 매출액 2409억원, 영업이익 1731억원을 달성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도 1346억원을 남기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다만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 소식이 들려오면서 올해는 진단키트 수요가 꺾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오상헬스케어의 코로나19 진단키트의 제품의 매출 기여도가 82%에 달하는 만큼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오상헬스케어는 내부통제, 매출 지속성 등을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연내 상장예비심사 재청구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거래소 심사를 철회하고 6개월이 지나면 다시 예심을 청구할 수 있다.
장외(K-OTC)에서 거래되는 오상헬스케어는 현재 6657억원대의 몸값을 기록 중이다. 지난해 고점(1조원대) 대비 위축됐으나 1년 전과 비교하면 10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노벨티노빌리티, 시리즈 B 앞두고 80억 조달
- 자안, 바이오 헬스 분야 인력 확충
- 'IPO 추진' 한양, IFRS 도입 저울질
- 에이티세미콘, 리더스기술투자 인수 "신기술 투자 박차"
- 이엔코퍼레이션, 수처리 EPC 전문 ‘한성크린텍’ 인수
- 삼익악기, 남대문 사옥 '재건축→매각' 바꾼 이유는
- [Company Watch]'삼성 투자유치' 에프에스티, EUV 펠리클 출시 속도
- 반도건설, 창원서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 3월 분양
- [지배구조 분석/현대자동차]동일인 변경 신청, '사익편취' 계열사 변화는
- [이사회 분석]허기수 한일시멘트 사장, 한일현대시멘트 사내이사 진입
심아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노바셀테크놀로지, 펩타이드 기술로 코스닥 노크
- 엄격해진 거래소 눈높이, 바이오텍 IPO '예의주시'
- [이사회 분석]엘앤씨바이오, 이사진에 CFO 합류…中 진출 힘 싣기
- [바이오테크 상장 Before & After]마이크로디지탈, 매출 역성장에 목표치 괴리율 80%
- [바이오 복수전공 명암]바이오 신사업? 메자닌 투자자만 웃었다
- 엔지켐, 235억 CPS 발행…3개월 만에 추가펀딩
- 현금 쌓은 진단키트 업체들, M&A로 몸집 키울까
- [바이오 복수전공 명암]항암제 임상업체도 등장, 시장 의구심은 '여전'
- 브릿지바이오, 레고켐 손잡고 파이프라인 가치 제고
- [제약바이오 시총분석]'공시 논란' 에이치엘비그룹, 몸값 1.5조 증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