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규 브릿지바이오 CEO, 임직원과 이익 공유 15억 주식 우리사주 무상 출연…동기 부여, 증여세 부담 이연 가능
서은내 기자공개 2021-01-20 07:36:06
이 기사는 2021년 01월 19일 11:3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회사 상장 전부터 소유 주식을 임직원들과 나눌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기술이전, IPO 등 여러 이벤트가 바쁘게 진행돼 챙기지 못하다가 이번에 타이밍을 잡았네요.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무상출연은 앞으로 계속 해나갈 생각입니다."혁신신약 R&D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이하 브릿지바이오) 최대주주인 이정규 브릿지바이오 대표이사가 15억원 상당의 주식을 우리사주조합에 무상 출연했다.
이정규 대표는 19일 "해외에서는 최대주주 지분율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따로 없으나 한국은 IPO시 해당 기준이 높게 형성돼 있어 최대주주 지분이 비교적 많은 편"이라며 "물론 회사 성과에 창업주의 기여도도 있겠으나 실질적으로는 팀원이 함께 만들어 낸 것이므로 이익을 공유하자는 차원"이라고 이번 주식 무상출연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브릿지바이오는 이정규 대표가 개인 보유 주식 435만 8478주 가운데 약 2.52%에 해당하는 11만주를 우리사주조합에 무상 출연했다고 공시했다. 해당 물량은 전날 종가 기준 약 14억5000만원에 달하는 규모다. 이번 무상 출연으로 이 대표 개인 지분율은 22.72%에서 22.15%로 소폭 줄어든다.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창업주가 소유 주식을 임직원들과 나눈 사례는 고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이 대표적이다. 2015년 말 임 회장은 보유 중이던 한미사이언스 주식 약 1100억원어치를 전 임직원들에게 무상으로 증여했다. 한미의 사례는 최대주주 소유 주식을 단순히 직원들이 직접 수령하는 형태였다.
이번 이 대표의 무상출연은 최대주주 소유 주식을 재원으로 한 배분이란 점은 같지만 방식에 차이가 있다. 우리사주조합에 일단 출연된 주식은 전량 한국증권금융에 4년간 의무 예탁된다. 해당 기간이 만료 후 조합 규정에 따라 우리사주조합 구성원에게 배분된다.
현재 브릿지바이오는 무상 출연된 주식에 대해 조합 내부의 배분 원칙에 따라 개인별로 배분 규모는 정해진 상태다. 다만 임직원들이 해당 주식을 인출, 자기 계좌로 옮겨갈 수 있는 것은 4년 후다. 우리사주조합 출연제도를 이용하면 무상으로 증여받은 주식에 대해 임직원들이 납부해야 하는 세금을 향후 주식을 인출하는 시점으로 이연할 수 있다.
때문에 임직원의 동기를 부여한다는 면에서 실제 임직원들이 받게 되는 주식 배분의 성격은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제도와도 비슷하다. 브릿지바이오는 입사한 모든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스톡옵션을 부여하며 기업과 인재의 동반 성장을 꾸준히 모색하고 있다. 이번에는 임직원들이 받는 주식의 재원이 최대주주 소유 주식이란 점만 다르다.
이 대표는 "세금이 당장 발생하지 않으면서 직원들이 같이 회사를 키워갈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어 좋은 방식이라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위지윅스튜디오, 사상 첫 '1000억 매출' 고지
- 브이티지엠피, 코스메틱 사업 선전 '독야청청'
- '150억 조달' 시노펙스, 투석기 등 신사업 속도낸다
- 엔지스테크, 전기차에 내비게이션 솔루션 탑재
- 미래에셋운용, 역삼 라온시큐어 본사 '우신빌딩' 매각 추진
- 계룡건설, 재무라인 세대교체…안석준 상무 선임
- 에비슨영·BNK운용, 영국 휴게소 8000억 우협선정
- 현대건설, 신규 사외이사 키워드 '분리선출·여성·로봇'
- [Company Watch]잇따른 대규모 투자 SK하이닉스, 믿는 구석은
- [코스닥 주총 돋보기]강임수 예스티 사장, 이사회 진입 임박 '영향력 확대'
서은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잦은 C-레벨 교체, 밸류에이션에 긍정적일까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M&A·분할·지분투자 자유자재…'확장형' 기업가들
- 서정진의 은퇴는 아직 멀었다
- 제넥신, 'GX-I7' 지역별 권리배분 전략 눈길
- 셀트리온, 렉키로나 약물경제성 높이기 고심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창업 2세, 신약개발 조력자로…가업승계도 주목
- [Company Watch]메드팩토, 매출 0원 지속…벡토서팁 L/O 관건
- ‘면역항암제' 메디맵바이오, 180억 시리즈A 펀딩 완료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지분 크기=경영권 안정화' 공식 탈피한 리더들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동국제약·삼천당제약·HLB…지분율 유지에 '방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