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분석]구자홍 회장 ㈜LS 지분 대량매각…3세로 흐르는 경영시계1% 남기고 모두 처분…2년새 지주사 지분율 반대 양상 띈 2·3세
박기수 기자공개 2021-01-22 11:13:37
이 기사는 2021년 01월 19일 15:0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구자홍 LS니꼬동제련 회장이 LS그룹 지주사 ㈜LS의 보유 지분을 대량 매각하면서 지주사 지분 구도의 무게추가 2세에서 3세로 더욱 기울었다.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구자홍 회장은 18일 ㈜LS 주식 39만6818주를 매각했다. 매각으로 287억원을 취득한 구 회장은 잡혀 있던 ㈜LS 주식 34만5969주에 대한 담보를 해지했다. 매각 전 ㈜LS 지분 2.23%를 보유 중이었던 구 회장은 매각 후 지분율이 1%로 하락했다.
구자홍 회장의 매각 뿐만 아니라 최근 LS그룹 2세들은 매각과 증여 등의 방식을 통해 ㈜LS의 지분율을 낮춰왔다. 현재 LS그룹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2세 경영인은 총 7인(△구자홍 LS니꼬동제련 회장 △구자엽 LS전선 회장 △구자철 예스코 회장 △구자열 LS그룹 회장 △구자용 E1 회장 △구자균 LS산전 회장 △구자은 LS엠트론 회장)이다. 이중 구자용 E1 회장을 제외한 2세 경영인의 ㈜LS 지분율은 2018년 이후 매년 하락했다.
대신 3세들의 지분율은 2세들과 반대 양상을 띄었다. LS그룹 경영에 관여하지 않고 자신만의 사업에 뛰어든 구본웅 포메이션8 대표(구자홍 회장 장남)를 제외하면 구본규 LS엠트론 대표이사(구자엽 회장 장남), 구본혁 예스코 대표이사(故 구자명 전 회장 장남), 구본권 LS니꼬동제련 상무(구자철 회장 장남), 구동휘 E1 COO(구자열 회장 장남)는 2018년과 작년에 비해 모두 ㈜LS 지분율이 높아졌다.

특히 현 LS그룹 회장인 구자열 회장 장남인 구동휘 E1 COO의 지분율 상승폭이 컸다. 작년까지 ㈜LS에서 근무한 구동휘 COO의 현재 지주사 지분율은 2.99%로 구자은 LS엠트론 회장에 이어 2번째로 지주사 지분이 많다.
구동휘 COO에 이어 구본규 대표와 구본혁 대표 역시 각각 1.16%, 1.55%의 지분을 보유하면서 지분율을 끌어올렸다.
시장 관계자는 "LS그룹 오너들 사이에 일정 수준의 지분율을 유지하자는 일종의 규칙이 있는 것으로 안다"라면서 "오너 3세들의 시기가 다가오면서 2세들의 지분을 3세들이 승계받는 식의 구도가 짙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작년 말 LS그룹은 2021년 임원인사를 통해 오너 3세들을 대거 경영 전면에 배치했다. 구본규 대표와 구본혁 대표 역시 이번 인사를 통해 계열사 대표이사로 부임했다. 구동휘 전무도 ㈜LS에서 전무로 있다가 올해부터 E1의 C레벨 임원으로 부임했다.
작년에는 2세 경영인들이 보유한 계열사 지분을 3세들에게 증여하기도 했다. 일례로 작년 중순 구자열 회장과 구자균 회장은 보유한 E1 지분을 딸들에게 일부 증여했다. 구자홍 회장 역시 조카인 구본권 상무에게 ㈜LS 지분 일부를 증여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위지윅스튜디오, 사상 첫 '1000억 매출' 고지
- 브이티지엠피, 코스메틱 사업 선전 '독야청청'
- '150억 조달' 시노펙스, 투석기 등 신사업 속도낸다
- 엔지스테크, 전기차에 내비게이션 솔루션 탑재
- 미래에셋운용, 역삼 라온시큐어 본사 '우신빌딩' 매각 추진
- 계룡건설, 재무라인 세대교체…안석준 상무 선임
- 에비슨영·BNK운용, 영국 휴게소 8000억 우협선정
- 현대건설, 신규 사외이사 키워드 '분리선출·여성·로봇'
- [Company Watch]잇따른 대규모 투자 SK하이닉스, 믿는 구석은
- [코스닥 주총 돋보기]강임수 예스티 사장, 이사회 진입 임박 '영향력 확대'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ESG Global Sight]현대重그룹 ESG 행보, 글로벌 성적표 반전 이뤄낼까
- [두산그룹 구조조정]지게차 매각 검토하는 ㈜두산, 밥캣 매각 선제 조치일까
- [ESG Global Sight]롯데케미칼, 문제는 지분구조가 아닌 '지배구조'
- 한화시스템 '보유' 택했던 한화 3세, 신의 한 수 됐다
- [수소 밸류체인 리포트]현대차그룹·포스코 '수소 동맹', 윈-윈 지점은
- [ESG Global Sight]LG화학, 국내 최대 ESG 채권 발행보다 중요한 과제는
- [ESG Global Sight]글로벌도 인정한 SK㈜, 미완의 대표·의장직 분리
- 현대차·삼성SDI, 선행배터리연구소 공동 설립 추진
- 'K-배터리 어벤저스' 기류가 바뀌었다?
- [ESG Global Sight]신용만큼 흔들리지 않는 포스코의 글로벌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