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바디, 美 NIH와 110억 코로나 진단기술 개발 계약 패스트트랙 프로그램 선정…EUA 허가 후 일일 30만 키트 공급
서은내 기자공개 2021-02-10 07:26:04
이 기사는 2021년 02월 09일 08:2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젠바디가 미국 NIH(국립보건원)의 'Rapid Acceleration of Diagnostics (RADx)'연구개발 과제에 선정돼 약 110억원의 자금을 지원받는다. RADx는 코로나19바이러스가 급작스럽게 유행함에 따라 SARS-CoV-2 바이러스에 대한 진단키트 허가와 생산을 가속화하기 위해 자금을 투자하는 일종의 패스트 트랙(fast track) 프로그램이다.8일 업계에 따르면 젠바디는 최근 미국 NIH의 RADx 프로그램의 개발 과제 사업자로 선정돼 계약을 맺었으며 계약에 따라 향후 단계별로 총 1000만달러(약 110억원)을 지급받게 된다. 이번 계약은 젠바디가 한국에서 만든 코로나19 항원 신속진단키트에 대한 임상평가, FDA EUA(긴급사용) 승인, 생산까지를 아우르고 있다.
현재 젠바디는 해당 제품에 대한 미국 임상이 마무리 단계로 알려져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과 애틀란트의 에모리 대학 등 두 곳에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 NIH와 예정된 스케쥴은 오는 3월이내에 FDA EUA을 신청하고 7월까지 허가를 받는 것이다. 신청이 접수되는 대로 신속검토를 통해 빠른 기간 내에 허가를 받게 될 전망이다.
미국 정부의 자금으로 진단키트의 허가, 생산이 진행되는 만큼 미국 내에서 생산하고 현지 시장에서 판매해야 하는 조건이 붙어있으며, 하루에 최소 30만 키트를 생산해서 공급하는 설비를 갖추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젠바디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생산 설비를 갖출 예정이다. 설비가 갖춰질 때까지는 한국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 시장으로 공급하기로 되어 있다.
젠바디가 NIH와 계약한 과제 지원비 1000만달러 중, 일부는 곧 수령할 예정이다. 나머지는 일정에 맞춰 FDA 허가신청, 승인 등 단계 별 마일스톤 식으로 나눠 수취하게 된다.
젠바디 관계자는 "미국 에모리 대학에서 진행한 사전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받았으며 현재 막바지 단계인 미국 임상 결과 역시 상당히 긍정적이었기에 이번 WP2 (Work Package 2) 계약이 성사될 수 있었다"며 "국내진단 기업이 이 정도 규모로 미국 정부 과제에 선정된 것은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노벨티노빌리티, 시리즈 B 앞두고 80억 조달
- 자안, 바이오 헬스 분야 인력 확충
- 'IPO 추진' 한양, IFRS 도입 저울질
- 에이티세미콘, 리더스기술투자 인수 "신기술 투자 박차"
- 이엔코퍼레이션, 수처리 EPC 전문 ‘한성크린텍’ 인수
- 삼익악기, 남대문 사옥 '재건축→매각' 바꾼 이유는
- [Company Watch]'삼성 투자유치' 에프에스티, EUV 펠리클 출시 속도
- 반도건설, 창원서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 3월 분양
- [지배구조 분석/현대자동차]동일인 변경 신청, '사익편취' 계열사 변화는
- [이사회 분석]허기수 한일시멘트 사장, 한일현대시멘트 사내이사 진입
서은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씨젠, 반년간 임원 13명 신규 영입…사업다각화 주목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잦은 C-레벨 교체, 밸류에이션에 긍정적일까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M&A·분할·지분투자 자유자재…'확장형' 기업가들
- 서정진의 은퇴는 아직 멀었다
- 제넥신, 'GX-I7' 지역별 권리배분 전략 눈길
- 셀트리온, 렉키로나 약물경제성 높이기 고심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창업 2세, 신약개발 조력자로…가업승계도 주목
- [Company Watch]메드팩토, 매출 0원 지속…벡토서팁 L/O 관건
- ‘면역항암제' 메디맵바이오, 180억 시리즈A 펀딩 완료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지분 크기=경영권 안정화' 공식 탈피한 리더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