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이마트, 한지붕 두가족 엇갈린 배당 '정용진·정유경' 최대주주 등극 주주환원 강조, 코로나19로 보수 기조
김선호 기자공개 2021-02-17 08:37:09
이 기사는 2021년 02월 16일 13:4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세계그룹 한 지붕 아래 있는 주요 계열사 ㈜신세계와 ㈜이마트의 배당금이 엇갈려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코로나19로 인한 영업환경이 악화됐지만 ㈜이마트는 과거와 동일 수준의 배당금을 책정한 반면 ㈜신세계는 규모를 줄였다.최근 ㈜신세계는 ㈜이마트에 앞서 현금배당금을 결정해 공시했다. ㈜신세계는 1주당 배당금으로 1500원을 책정하고 총 148억원을 배당할 계획이다. 이는 과거 줄곧 1주당 배당금을 2000원으로 책정해 집행한 것에 비해 줄어든 수치다.
이어 ㈜이마트는 1주당 배당금으로 2000원으로 책정하고 총 539억원을 주주에게 배당한다고 공시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영업환경 악화 요인 등에도 불구 이전과 같은 수준의 배당금을 책정했다.

㈜신세계와 ㈜이마트 간 배당금이 엇갈리게 된 것은 지난해 도입돼 올해 처음으로 실시된 정책 때문이다. 앞서 두 계열사는 최대주주가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과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으로 변경되면서 향후 3년 동안의 주주환원정책을 내세웠다.
신세계그룹은 2020년 하반기 주주환원 방안 중 하나로 ㈜신세계는 연간 영업이익의 10%, ㈜이마트는 15%를 배당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전까지 1주당 배당금을 고정시켜 집행했지만 이후부터는 실적에 따라 배당금 규모를 증감시키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영업이익이 나오지 않더라도 최저 배당금은 보장하겠다고 덧붙였다. ㈜신세계가 1500원, ㈜이마트가 2000원을 주당 최저 배당금으로 책정됐다. 이러한 주주환원 정책은 수익률에 대한 장기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안정적 배당을 위한 차원에서 도입됐다고 설명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별도기준 2020년 연간 ㈜신세계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43.2% 감소한 126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이마트는 체질 개선에 공을 들인 결과 영업이익이 2860억원으로 같은 기간 13.8% 증가했다.
다만 ㈜이마트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증가하기는 했지만 최저 배당금을 상회할 만큼은 아니었다. 실적이 악화된 ㈜신세계도 마찬가지다. 신세계그룹이 ㈜신세계와 ㈜이마트의 최저 배당금을 1주당 1500원, 2000원으로 책정한 이유다.
사실상 ㈜신세계로서는 지난해 발표한 주주환원정책의 약속을 지키기는 했지만 ㈜이마트와는 달리 배당금 규모가 줄었다. 과거에 비해 최저 배당금 수준을 낮게 책정한 게 그 배경이다. 총 배당금 규모로 ㈜이마트는 기존과 동일했지만 ㈜신세계는 49억원 줄었다.
㈜신세계 관계자는 “어려운 영업환경에서도 주주환원정책에 기반해 주주가치를 지켜나간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SK E&S, 재무솔루션 과외 받는다
- 뉴지랩파마 "전 대주주 관련 판결 불복, 즉각 항소"
- 성석경 광림 대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실천"
- [건설사 해외사업 점검]대우건설, 순익 1000억 넘은 베트남 ‘스타레이크시티’
- [중견건설사 재무 점검]'홀로서기 2년' 시티건설…외형 줄고 유동성 확대
- [ESG 모니터/그린(E) 리포트]성신양회, 5년만에 배출부채 '제로'
- 조현민 ㈜한진 부사장 주도한 '게임', 단순 마케팅 수단?
- 삼성코닝글라스, 유한회사로 재전환 배경은
- 신성이엔지, 산업용 넘어 바이오 클린룸 공략 속도
- 브이티바이오 "한림제약에 기술이전한 치료제, 식약처 품목 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