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연봉 184억 '2배 껑충' 역대 최고치, 실적·주가상승 성과…ICT 연봉킹 유력
원충희 기자공개 2021-02-19 08:24:26
이 기사는 2021년 02월 18일 08:1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사진)의 지난해 연봉이 184억원으로 2배가량 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익지표는 물론 주가도 70% 이상 오른데 따른 보상으로 올 초 상향된 이사보수한도 200억원(7인 기준) 가운데 김 대표 한 사람의 연봉이 92%에 이른다.18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가 지난해 등기이사 7인에게 지급한 보수총액은 195억2655만원이다. 1인당 평균 27억8950만원을 준 셈이다. 보수한도(200억원) 대비 지급률은 97.6%로 이사들에게 줄 수 있는 연봉총액 상한에 근접한 수준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189억원은 사내이사와 기타비상무이사의 몫이 된다. 엔씨소프트는 기타비상무이사에 대해 성과보수를 적용하지 않아 박 대표의 보수는 2019년(4억6500만원)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제외한 184억원이 김 대표의 연봉이란 계산이 나온다.
이는 전년(94억5000만원)대비 2배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김 대표가 지금껏 받은 보수 가운데 사상 최고치다. 그는 인터넷·게임 등 ICT업계 최고경영자들을 통틀어 늘 연봉킹으로 꼽혔던 인물이다. 2020년에도 김 대표의 보수가 가장 많을 것으로 점쳐지는 이유다.
보수상향 요인은 실적이다. 지난해 엔씨소프트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42%, 영업이익은 72%, 세전이익은 62%, 당기순이익은 63% 늘었다. 1997년 회사 창립 이래 최고의 성과다. 엔씨소프트 측은 "성과뿐 아니라 작년 말 기준 당사의 주가는 전년 대비 72% 상승했다"며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이 30%인 점과 비교해도 2배 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김 대표의 연봉은 엔씨소프트의 실적과 비례해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2017년 엔씨소프트의 영업이익이 5850억원으로 2016년(3288억원)보다 2000억원 이상 증가하자 그의 보수도 24억원에서 62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반면 2019년에는 전년 대비 22% 감소한 4790억원에 그치자 연봉은 138억원에서 94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는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게임 플랫폼을 통해 출시될 다수 신작의 성과가 연봉수준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엔씨소프트 측은 탄력적인 경영진 보상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2021년 이사보수한도를 2020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키로 했다.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사 7인에 대한 보수한도를 기존보다 50억원 늘린 200억원으로 상향하는데 성공했다. 대주주인 국민연금은 통상 보수한도 상향에 반대표를 던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엔씨소프트의 제안에는 찬성해 힘을 실어줬다.
지난 7년(2013~2019년) 동안 이사보수한도 누적인상률이 25%에 불과하며 상향 횟수도 1회에 그친 반면 회사의 매출액, 영업익, 순익은 모두 2배 이상 늘었고 주가는 3배 이상 상승했다는 회사 측의 설득이 먹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쌍용차 미련 버린 마힌드라, 자회사 이사회서 '발 빼기'
- 디벨로퍼 개척자 DS네트웍스, 대우건설 수년째 '눈독'
- 갤럭시아머니트리, 동남아로 핀테크 전선 확장
- [기업 생존의 무기 '컬래버']'한화-두산' 수소·신재생에너지 협업 '한발짝' 빨랐다
- [ESG 모니터/LG]CSR팀 역할 넘겨받는 ESG 위원회
- [ESG 모니터/LG]달라진 구광모호, ESG 경영시계 빨라진다
- 삼표시멘트, 온실가스 배출권 매각수익 '쏠쏠'
- 현대차그룹 사촌기업 ‘HNINC’, 세무조사...조사4국 투입
- [LGES·SK이노 배터리 분쟁]美 배터리 공장 짓는 SK건설도 '안도'
- [CFO 워치/롯데케미칼]강종원 상무, 첫 ESG채권 흥행 이끌까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반도체 생태계 리포트]SFA반도체, 범핑서 테스트까지 '턴키 확대' 승부
- 카카오, 멜론 분사 타이밍의 비밀은 손상차손?
- 네이버, 이마트와 지분 교환 차익 2000억 예상
- [이사회 분석]삼성전기, 20년 만에 과도한 보수한도 현실화
- ISS 반대에도 삼성전자 이사선임 찬성률 상승
- 이통 3사, 5G 주파수이용권 5711억 손상차손
- 삼성전자, 26년째 대부업체 대주주인 사연
- [다우기술 재조명]공채신입 출신 CEO 등장, 시대를 선도한 리더십
- '금수저' 멜론컴퍼니, 분사 후 투자유치는
- [다우기술 재조명]뿌리오와 사방넷, 소리없는 IT 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