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료, 창업주 공동 경영체제 2세로 이어지나 문철명 대표·김종웅 부사장 아들 경영수업 진행 중
김형락 기자공개 2021-02-23 12:16:25
이 기사는 2021년 02월 19일 13:4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현대사료가 2세 경영인을 양성하고 있다. 창업 파트너인 문철명 대표이사와 김종웅 부사장의 아들이 경영수업을 받고 있다. 문 대표와 김 부사장이 확립한 공동 경영체제가 승계 뒤에도 이어질 전망이다.현대사료가 경영권 승계 구도를 만들어 가고 있다. 최대주주 김 부사장과 2대주주 문 대표가 각자 자녀를 불러들였다. 김 부사장 아들인 김완태 상무와 문 대표 아들인 문현욱 상무가 주인공이다. 미등기임원으로 각자 업무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김 상무는 사료 생산 부분을 전담하고 있다. 단국대학교에서 동물자원학(사료영양) 전공 박사 학위까지 취득한 전문 인력이다. 2003년 현대사료에 입사해 2014년부터 생산·관리 총괄 상무로 일하고 있다.
문 상무는 자금 관리 쪽에 집중하고 있다. 2004년 우송대학교 경영학부를 졸업하고, 2006년 현대사료에 합류했다. 2014년부터 자금·구매 총괄 상무로 재직 중이다.

지분 승계 절차는 밟지 않았다. 김 상무와 문 상무가 보유한 현대사료 지분은 1% 미만이다. 김 부사장과 문 대표가 70대 후반으로 접어든 만큼 차후 지분 증여를 통해 지배력을 2세 경영인에게 넘길 것으로 보인다.
김 상무는 2018년 코스닥 상장 이후 현대사료 지분을 매집하기 시작했다. 2019년 8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자기자금 약 4억원 들여 지분 0.58%를 확보했다.
문 상무는 2015년 주주명부에 등장했다. 당시 보유 지분율은 0.31%였다. 보유 주식 수는 1만4340주로 변함 없었지만, 상장 과정에서 발행 주식 수가 늘어나며 지분율이 0.23%로 떨어졌다.
현대사료는 김 부사장과 문 대표로 양분된 지배구조를 세웠다. 김 부사장은 지분 37.59%를 보유한 최대주주, 문 대표는 지분 32.39%를 보유한 2대주주다. 1983년 공동 창업 이후 양강구도를 유지하고 있다.

역할 분담을 통해 공동 경영체제를 지켜왔다. 문 대표는 경영 전반을 살피는 대표이사로 운전대를 잡았다. 김 부사장은 영업, 생산, 관리 총괄 등기임원으로 힘을 보태고 있다.
두 사람 다 축산 전문가다. 1968년 서울대학교 축산학과를 졸업한 문 대표는 현대사료공업 대표이사(1972년 11월~1974년 9월)와 은성산업 배합사료 담당 이사(1974년 10월~1980년 11월)를 역임하며 축산업 노하우를 쌓았다. 1970년 건국대학교 축산학과를 졸업한 김 부사장은 1978년까지 삼부목장을 경영했다. 지금도 산란계 농장인 녹산농장을 운영하고 있다.
둘이 합심해 자본금 6억원으로 시작한 현대사료를 자산총계 1091억원 규모의 배합사료 생산업체로 키워냈다. 상장 이후 1000억원대 연 매출을 올리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 줄어든 813억원, 영업손실 1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설정액 44억원이 손상차손으로 잡혀 적자를 피하기 어려웠다.
파트너십은 굳건하다. 상장 당시 최대주주와 2대주주 간 경영권 분쟁을 막을 안전장치도 마련했다. 문 대표와 김 부사장은 △2년 간 의결권 공동 행사 △당사자 지분 처분 시 상대방에게 우선매수권 부여 약정을 맺었다.
현대사료 관계자는 "문 대표와 김 부사장이 파트너십을 가지고 회사를 이끌고 있다"며 "사업 영속성, 안정성을 위해 문 상무와 김 상무에게 경영수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코리아센터, '수수료·광고비·가입비' 없는 배달앱 순항
- [모빌리티 뉴웨이브 점검]'해외 공략' 동아화성, 코로나 팬데믹에 흔들
- [지배구조 분석/핸디소프트]오상그룹 옷 입었는데, 다산의 그늘은 '여전'
- [Company Watch]브이원텍, 자회사 인수 후 첫 '로봇매출' 임박
- [라이브플렉스의 변신]한빛대부, 저축은행 우회 인수 강행 이유는
- 아모레퍼시픽 '서민정 3사' 바닥 드러낸 배당 곳간
- [교육기업 패러다임 전환]천재교육,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 통했다
- '조직개편' 더네이쳐홀딩스, 내부 단속 나선다
- 에이블리서 지그재그로, 이유있는 카카오 변심
- 이랜드파크, ‘이월드' 코로나 유탄 수익성 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