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사 리포트]최평규 S&T그룹 회장 사내이사 연임, 승계는 언제쯤홀딩스 지분율 50.76%로 지배력 '굳건', 맏사위 김도환 대표 후계 '유력'
유수진 기자공개 2021-02-24 10:02:55
이 기사는 2021년 02월 22일 15:5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T그룹 지주사 S&T홀딩스가 최평규 회장(사진)의 사내이사 연임을 추진한다. 이달 말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최 회장 재선임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이사 선임안이 통과되면 최 회장의 임기는 2024년 2월까지로 3년 연장된다.
S&T홀딩스는 오는 26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S&T모티브 교육관에서 정기 주총을 열고 △정관 변경의 건 △사내이사 선임의 건 △이사·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등을 처리한다. 이사 후보 2명 중 1명은 현재 사내이사로 재직 중인 최 회장이다.
아직 주총 개최 전이지만 지분구조를 고려할 때 최 회장의 연임이 확실시 된다. 최 회장 개인의 지분율이 50.76%로 과반인데다 특수관계인 몫까지 합하면 63.17%에 달하기 때문이다. 이사 선임안은 출석 주주 의결권의 과반, 발행주식총수 4분의 1 이상의 찬성으로 가결된다. 회사 측은 이미 2020년 사업보고서에 최 회장의 임기 만료일을 2024년 3월로 적어뒀다.

최 회장이 S&T홀딩스 이사회에 계속 참여하게 되면서 눈이 가는 건 후계 구도다. 최 회장은 현재 지주사인 S&T홀딩스(50.76%)를 통해 S&T모티브(40.03%)와 S&T중공업(42.27%), S&TC(55.55%) 등을 지배하고 있다. 상장사 중 개인 지분이 있는 건 S&T홀딩스 외에 S&TC(0.39%)가 유일하다.
특히 그는 S&T홀딩스를 제외하곤 등기이사를 맡지 않고 있다. 전사적으로 전문경영인 체제를 구축하고 경영을 맡겨 놓은 상태다. S&T모티브는 김형철 대표가, S&T중공업과 S&TC는 권정원 대표와 신경인 대표가 각각 이끌고 있다. 최 회장은 지주사의 사내이사로서 그룹 전반의 중요 사항들만 직접 챙긴다.
자동차부품 업계에서는 몇 년 전부터 김도환 대표를 유력한 후계자로 지목해왔다. 최 회장의 세 자녀(1남2녀)가 그룹 내에서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는 이유가 가장 컸다.
장녀 은혜(3.08%)씨와 차녀 다혜(2.1%)씨, 막내 진욱(1.47%)씨는 S&T홀딩스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지만 그게 전부다. 은혜씨는 한때 S&TC와 S&T홀딩스 등기임원을 지내는 등 경영일선에 나섰었으나 2013년을 기점으로 주요 직에서 모두 물러났다.
나머지 두 사람은 직접적으로 회사에서 경영 수업을 받은 적이 없다. 다혜씨가 수년에 걸쳐 서서히 주식을 매입하긴 했으나 지분율이 낮아 승계와 관련된 특이사항으로 보긴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다혜씨는 작년 4분기에도 주식 2만620주를 추가 매입해 지분율을 0.13%포인트(P) 높였다.
김 대표는 장녀 은혜씨의 남편으로 성균관대 법대를 졸업하고 우리투자증권에서 변호사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인물이다. S&T그룹에 첫 발을 들인 건 2007년 은혜씨와 결혼한 이후다.
S&T홀딩스 지분율이 삼남매보다 낮지만 그룹 내 주요 자리를 모두 꿰차고 있는 '핵심 실세'로 꼽힌다. 지주사인 S&T홀딩스 대표이사일 뿐 아니라 S&T중공업과 S&T모티브, S&TC, S&T저축은행 등의 사내이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계열사 중 김 대표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이 없는 셈이다. S&T AMT에서는 감사를 맡고 있다.

김 대표는 요직을 하나씩 맡으며 지속적으로 그룹 내 입지를 넓혀왔다. 사실상 후계자로 낙점됐다는 분석이 나온 배경이다. 히지만 지배력 이양의 핵심인 지분 승계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그동안 S&T그룹은 최 회장이 60대라는 이유 등을 들어 승계 플랜을 짜기엔 다소 이르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하지만 올해 70대에 접어든데다 사명 변경을 추진하는 등 '새 출발'을 준비하고 있어 변화가 시작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S&T그룹 계열사들은 인지도 향상과 사용자 불편 해소를 위해 이번 주총에서 일제히 'S&T'를 'SNT'로 바꾸는 작업을 진행한다. 김 대표 체제가 안정적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는 점도 지분 승계 가능성을 점치는 하나의 이유다.
S&T그룹 관계자는 "승계와 관련해서는 전혀 결정된 내용이 없다"며 "최 회장이 승계보단 기업을 탄탄하게 만드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LGES·SK이노 배터리 분쟁]美 배터리 공장 짓는 SK건설도 '안도'
- [CFO 워치/롯데케미칼]강종원 상무, 첫 ESG채권 흥행 이끌까
- 뉴지랩파마, 사명 변경 완료 "바이오' 역량 집중"
- 폴라리스오피스그룹, M&A 시동 '몸집 불리기'
- [간판 바꾼 상장사]우리바이오, 전방위 투자로 일군 'BLU 밸류체인'
- [차량반도체 쇼티지 점검]어보브반도체, '가전→차량' MCU 트랜스퍼 불 댕겼다
- 팹리스 텔레칩스의 자사주 활용법
- 투자하는 '카카오엔터'·투자받는 '픽코마'
- KT, 알티미디어 인수…유료방송 1위 수성 의지
- [이사회 분석]YG엔터, 거듭되는 사회적 논란에도 감사기능 후퇴
유수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자동차 부품사 리포트]감사선임 실패했던 현대공업, 올해는 다를까
- [이사회 분석]한솔제지, 이사 보수한도 '30억' 늘리는 까닭
- '이례적 행보' 나성훈 티웨이항공 부회장, 경영 참여 확대하나
- [자동차 부품사 리포트]현대공업, 역대 최대 배당 실시...강현석 대표 '최대 수혜'
- [이사회 분석]'감사위원 분리선출' 대한해운, 기존 인물 '그대로'
- [한진그룹 경영권 분쟁]조현아 전 부사장, 한진칼 지분 '왜' 팔았을까
- 3자연합 눈치보던 한진칼, 산은 들어오니 '무배당'
- [이사회 분석]'악몽' 같았던 대한항공 주총, 올해는 다를까
- [한진그룹 경영권 분쟁]㈜한진 관통한 상법개정안, 감사위원 분리선출 '표대결'
- [한진그룹 경영권 분쟁]㈜한진, 조현민 부사장 합류 다음 기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