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딩운용, '리츠 사업' 진출 만지작 정관에 리츠AMC 설립인가 목적 추가...부동산 펀드 2193억원 규모
윤기쁨 기자공개 2021-11-30 07:09:39
이 기사는 2021년 11월 26일 14:1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리딩자산운용이 리츠 자산관리회사(AMC) 설립에 시동을 걸고 있다. 정관에 사업목적을 추가하는 등 리츠 사업 진출을 통해 수익성 제고에 나선다는 구상이다.관련 인력도 모집 중이다. 부동산 관계기관에서 3년 이상 근무한 리츠 경력 직원을 뽑는 등 겸영 인가를 받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다만 아직까지 관련 본부를 신설하거나 총괄 임원을 배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리딩운용 관계자는 “아직 예비인가를 신청한 상태는 아니고 겸영업무를 고려해 우선 정관을 개정했다”며 “여러 경우를 검토하며 알아보는 단계”라고 말했다.
리츠는 최근 운용사들이 잇따라 뛰어들고 있는 시장이다. 리츠는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관련 지분에 투자하고, 발생한 수익을 배당하는 투자신탁이다. AMC는 리츠 자산의 투자·운용업무를 담당한다. 공·사모펀드 시장이 위축되면서 안정적인 배당수익과 높은 주가수익률을 거둘 수 있는 리츠가 운용사들의 투자 대안처로 꼽히고 있다.
올해 3분기 기준 리딩운용의 영업수익은 3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1억원)보다 늘었다. 특히 펀드 운용보수가 10억원에서 13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총 13개 펀드 중 부동산과 혼합자산 펀드가 각각 7개, 4개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4일 기준 리딩운용의 AUM은 2522억원으로 이중 부동산 펀드가 87%(2193억원)을 차지한다. 전년 동기 AUM과 부동산 펀드는 각각 1520억원, 1285억원으로 규모도 증가했다. 다수의 부동산 펀드 라인업은 향후 리츠 사업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자산운용사들의 수익원이 악화하면서 겸영으로 리츠사업에 많이 뛰어드는 추세”라며 “6월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으로 AMC 진입 문턱도 낮아지면 더 많은 운용사들이 예비인가를 받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걸로 안다”고 말했다.
올 들어 하나대체운용, 캡스톤운용, JB운용 등 9개사가 AMC 설립 인가를 받았다. 지난해 설립인가 건수(6개사)와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수치다. 현재 한화운용, 한강에셋운용, 국제운용, 헤리티지운용, 한미글로벌운용 등이 예비인가를 받고 본인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설립 5년 코메스인베, AUM1600억…올해 600억 결성
- [VC 투자기업]제이제이앤컴퍼니스, 해양플랜트 솔루션 활용 북미 진출 시동
- 투자 혹한기 뚫은 직방, 1500억 자금 조달 뒷배는 '산은'
- SM컬처, 모태 박준형 팀장 영입…LP인력 대거 포진
- 다올운용 총괄부사장에 안태우 전 다올증권 부사장 선임
- 오클렌벤처스, 신기사 대신 창투업 등록 '유력'
- [성장사다리펀드 10년]17.8조 조성, 9배 레버리지…민관 협력 체계 빛났다
- [VC 신성 크릿벤처스]거장 안목 반영된 게임·콘텐츠 투자, 20곳에 마중물
- [VC 출사표/프롤로그벤처스]신관호號 출항, ESG·테크 글로벌 기업 성장 조력자 자처
- [VC 출사표/DSN인베스트먼트]마지막 퍼즐 KTB PE 출신 '구자규' 대표
윤기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글로벌운용, 최돈관 체제 출범 '대체투자 드라이브'
- [인사이드 헤지펀드]'조직 재정비' 티아이운용, '대출' 펀드 첫 론칭
- 한국펀드파트너스, 한화운용 ETF 사무관리 맡는다
- [퇴직연금시장 분석]적립금 절반 흡수한 은행, IRP가 견인
- 미래에셋운용 펀드, '소부장'에 꽂혔다
- [thebell interview]김대욱 두나미스운용 대표 "미술품·대체투자 역량 강화"
- 우리은행, 증시 침체기 믿을건 '배당뿐'
- 한화증권, 모빌리티·리츠 '테마형'에 꽂혔다
- 새 대표 선임 포트코리아, 부동산 역량 강화
- 야나두 프리IPO 성공…큐캐피탈 300억 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