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젠, 상장폐지 의결… '기술특례 퇴출 1호' 위기 거래정지 후 20개월 만…대주주 변경·NRDO 신사업 진출 역부족
최은수 기자공개 2022-01-18 18:37:00
이 기사는 2022년 01월 18일 18:3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라젠이 기업심사위원회로부터 '상장폐지' 의결 결과를 통보받았다. 2020년 5월 거래가 정지된 지 20개월 만이다. 20일 이내에 열리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위원회의 심의에서 해당 결의안이 확정되면 기술특례로 상장한 바이오텍 가운데 첫 번째 퇴출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18일 한국거래소는 신라젠의 주권 상장폐지여부에 대한 심의 결과 상장폐지 절차에 돌입한다는 의결 결과를 공개했다. 2020년 11월에 부여받은 개선기간이 종료되고 약 2개월 간 심의를 거친 결과다.
신라젠은 약 20개월 간의 거래정지에 이어 코스닥 퇴출이라는 벼랑 끝에 섰다. 신라젠의 최종 상장 폐지 여부는 앞으로 20영업일 이내에 열릴 코스닥시장위원회에서 확정된다. 거래소 측에서는 이번 상장폐지 심의와 관련한 별도의 입장을 내지 않았다.
신라젠은 그간 거래재개를 위해 역량을 집중해 왔다. 문은상 전 대표에 이어 엠투엔을 대주주로 맞았고 약 600억원의 자금 조달을 마무리했다. 작년 12월 말에는 경영개선 이행내역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천문학적 비용이 발생하는 임상 사업 외 개발중심 사업모델(NRDO)을 꾸리는 등 재기를 위한 구체적인 사업 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신라젠이 오는 코스닥시장위원회 심사에서도 상장폐지 의결을 받게 되면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 바이오텍 가운데 최초 시장 퇴출 기업이 된다.
신라젠에 앞서 디엑스앤브이엑스(전신 캔서롭)가 작년 상장폐지 의결을 받았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한미약품 오너 2세 임종윤 대표를 최대주주로 맞았지만 코스닥시장위원회의 상폐 심의를 피하지 못했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이후 임 대표가 이사회 의장직을 수행하고 책임경영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알리면서 개선기간을 다시 부여받았다.
신라젠 관계자는 "최근 엠투엔과 채권자들 사이에서 잡음이 빚어지면서 대주주 리스크가 제기됐지만 이 또한 거래소에 적극 소명했는데 상장폐지 심의 결과가 나왔다"며 "예상치 못한 결과지만 20일 뒤에 열리는 최종 심의에 적극적으로 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요즈마그룹, 이스라엘 니오와 '디지털 아트&NFT' 개최
- 비비비, 전립선암 마커(PSA) 유럽 인증 획득
- [LG CNS IPO]대표 주관사 'KB·BOA·모간스탠리' 선정
- 이영구 롯데제과 대표 “글로벌 시너지 기대, TF 구성 전략 수립”
- [투자에서 길을 찾다]SK 재계 2위로 만든 반도체, 여전한 우선순위
- [투자에서 길을 찾다]'신기업가정신' 본보기 최태원 회장, 국내에만 179조 푼다
- 투비소프트 "메타댄스토큰, MEXC글로벌 상장"
- 세방전지 새로운 CFO, '오너 측근' 이원석 상무
- 휴온스글로벌, 비제약 경력자 전진배치
- [밸류 리빌딩 점검]E1, EV·수소 충전사업 짊어진 구동휘 대표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바이오테크 상장 Before & After]젠큐릭스, 코로나에 유방암 진단키트 매출 '지연'
- 베르티스, 다차원 오믹스 분석 솔루션 'PASS' 출시
- 美 바이오벤처도 펀딩난…국내 VC에 속속 '러브콜'
- [바이오테크 상장 Before & After]상장 2년차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매출 목표 90% 미달
- '바이오'에 진심인 GS, 덱스레보와 포트폴리오 확장
- 바이오 펀딩 투심 급랭…클럽딜 줄고 '각자도생'
- 글로벌 퇴행성디스크 치료제 선두 경쟁 '지각변동'
- HLB그룹의 주주친화 행보, 추가 무증 가능성은
- [바이오텍 1세대 성과 평가]"보톡스 선구자 정현호, 임상 원점부터 재정비해야"
- 비엔에이치리서치, 120억 시리즈B 클로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