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전환' 롯데하이마트, 온라인 물류센터 투자 추진 온라인몰 출고 2배 목표, '프리미엄 대형가전' 늘려 마진 제고
문누리 기자공개 2022-05-10 08:04:40
이 기사는 2022년 05월 09일 15:3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하이마트가 올해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에 투자해 케파를 두 배가량 늘린다. 올 1분기 매출이 줄고 적자전환했지만 온라인 선전을 발판으로 플랫폼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9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하이마트는 연내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출고건수를 월평균 17만5000건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는 2020년 출고 규모(9만5000건)의 두 배 수준이다.
앞서 롯데하이마트는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20년 1월 해당 센터에 선제적으로 투자했다. 직접적인 투자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2020년 연간 투자활동 현금흐름 2058억원 중 상당 금액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때 1차로 늘린 물류 케파는 9만5000건 수준이었다. 이는 2017년 6월 센터 신설 당시 출고건수(2만7000건)의 3.5배 규모다.
투자 영향 등으로 온라인 매출비중은 2019년 12%에서 2020년 15%, 2021년 19%로 각각 확대됐다. 롯데하이마트 온라인 쇼핑몰 트래픽은 2016년 하루 26만명에서 2021년 107만명으로 312% 증가했다.

올해 1분기 실적 기준으로 봐도 온라인 부문 성장세는 두드러졌다. 전체 매출은 1년 전보다 12% 줄어든 반면 온라인 매출은 같은 기간 11% 늘었다.
앞으로 롯데하이마트는 온라인 사업 강화로 전체 실적 개선에 힘을 싣는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상품 카테고리를 2020년 229만개에서 2021년 350만개로 늘리는 등 취급 상품수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품목 종류도 가전과 같이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가구, 스포츠용품, 육아 및 주방용품 등으로 다양화하고 있다. 향후 '하이메이드' 등 자체브랜드(PB)와 홈인테리어 품목 등 카테고리 확장을 추진한다.
여기에 프리미엄 대형가전을 중심으로 상품을 운영해 마진을 높인다. 롯데하이마트에 따르면 일반가전의 객단가(83만원)보다 프리미엄가전의 객단가(232만원)이 280% 비싸다. 고급 TV와 4도어 냉장고, 대용량 김치냉장고, 세탁기 등이 해당된다.
애플 등 고급 브랜드의 공식 AS센터도 확대해 프리미엄 고객들과의 접점을 넓히는 용도로 활용한다. 2020년 5개점이었던 롯데하이마트 애플 AS센터는 지난해 13개점으로 늘었다. 올해는 7곳을 추가해 총 20개점으로 확대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롯데하이마트 관계자는 "온라인 부문은 투자를 통해 케파를 늘려 설치·배송 서비스를 차별화할 계획"이라며 "프리미엄 및 PB 제품군도 늘려 상품 경쟁력과 수익성을 동시에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세계로 뻗어가는 포스코의 '기업시민'
- 초록뱀미디어, 가상인간 '루시' 전속 계약 체결
- 삼성전자 파운드리 키울 삼박자 '기술·투자·OSAT'
- 삼성디스플레이, BOE에 반격 시작하나…점유율 70% 회복
- 80조 '차 반도체' 잡아라…삼성 이어 LG도 기웃
- 두나무, 해외 진출 발판으로 '두나무글로벌' 활용한다
- 넷마블, 신규 편입 계열사 키워드 '블록체인·자체 IP'
- 삼성전자, 매출 86%가 해외계열사 거래...구조적 이유는
- [지배구조분석/카카오엔터프라이즈]'3조→2.5조'로 낮아진 기업가치 아쉬움
- 실탄 3000억 손에 쥔 대한전선, 투자금 어디에 쓸까
문누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CJ, 10여년만에 '부적격 임원 선임' 항목 개선
- 경영주기 바꾼 아모레, 방판조직 수술대 올리나
- '지배구조 보완' 신세계인터, 대표·임원선임 규정 신설
- '최현규 체제' ESG 경영 직접 들여다본다
- [유통사 골프장 경영분석]한화호텔앤드리조트, 회원제 '플라자CC' 영업익 급증한 까닭은
- CJ CGV, 포스트코로나 조달전략 'CB'로 간다
- CJ CGV, 일반관 9배 투자 '스크린X 2.0' 시대 연다
- 발란, SK쉴더스 관제서비스 도입 '정보유출 오명' 벗는다
- [유통가 NFT 활용법]이마트, 네이버와 'NFT 생태계' 뛰어든다
- [장업계 리스타트 전략]코스맥스, 다품종 소량 'ODM→OBM' 시장 노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