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성과평가]김정기 우리카드 사장, 수익지표 합격점…자본비율 개선 숙제수익성·생산성 지표 향상…수익다변화 동반 추진
이기욱 기자공개 2022-05-23 08:12:41
이 기사는 2022년 05월 20일 16:2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정기 우리카드 사장(사진)은 지난해 1월 취임했다. 지난 1년 동안 수익성 부문 성과 개선은 상당히 눈에 띄는 부분이다. 신용판매 영업뿐 아니라 자동차 할부금융 영업까지 확대하며 수익다변화와 실적 개선을 동시에 이뤄냈다. 영업자산을 늘리는 과정에서 다소 악화된 자본적정성을 회복하는 것이 향후 주요 과제가 될 전망이다.우리카드는 회사 전체나 주요 사업부, 개인 등에 대한 성과 지표를 측정하기 위해 △수익성 지표(영업이익, ROE, ROA) △건전성 지표(연체채권비율, 조정자기자본비율) 등을 활용하고 있다. 비재무지표로는 경영과제, 그룹시너지, 내부통제 등이 있다. 임원의 경우 기타 손익지표와 중점추진과제 이행률 등 비계량지표도 함께 평가에 반영된다.

영업이익 확대에 힘입어 생산성 지표도 향상됐다. 판매관리비는 2020년 2073억원에서 지난해 2252억원으로 8.63% 증가했지만 모수인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해 영업이익경비율(CIR)은 132.04%에서 83.04%로 낮아졌다. 직원 1인당 생산성(영업이익)도 2억600만원에서 3억5700만원으로 늘어났다.
자산건전성도 우수한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말 기준 우리카드의 연체채권비율은 0.95%로 전년(1.18%) 대비 0.23%포인트 낮아졌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0.6%에서 0.4%로 0.2%포인트 개선됐다. 총 채권은 10조6650억원에서 13조2685억원으로 24.41% 증가했으나 고정이하채권 잔액은 오히려 673억원에서 542억원으로 소폭 줄어들었다.
김 사장은 비재무지표인 중점추진과제 이행률 등에서도 긍정적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우리카드 이사회는 2020년 12월 ‘2021년 경영목표·전략’을 승인하며 △효율성장 및 수익자산 증대 △미래 수익원 발굴 △전방위 “Full Digital” △데이터 기반 리스크관리 △고객중심 ESG경영 등을 목표로 내세웠다.
수익자산 증대 차원에서 우리카드는 카드자산을 8조5548억원에서 9조7723억원으로 14.23% 늘리는데 성공했다. 회원수도 685만명에서 705만명으로 증가했다. 미래 수익원 발굴, 수익 다변화 차원에서 자동차할부금융 실적도 크게 늘렸다. 신규 취급액 기준 6935억원에서 1조295억원으로 48.45% 늘어났다.
디지털 강화 부문에서는 지난해 본인신용정보관리업(마이데이터) 인가를 받고 관련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오픈하는 성과를 창출했다. 한국표준협회로부터 ISO14001(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하는 등 ESG 관련 행보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다.
급격한 영업자산 확대로 자본적정성이 악화된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지난해말 기준 우리카드의 조정자기자본비율은 17.7%로 전년(19.9%) 대비 2.2%포인트 낮아졌다. 레버리지배율 역시 5.6배에서 6.3배로 악화됐다. 모두 규제 기준(8%, 8배)에는 여유가 있는 상황이지만 업계 평균(20.5%, 5.3배)보다는 좋지 않은 수준이다.
자본적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본을 늘리거나 자산을 줄여야 한다. 때문에 지표가 지속적으로 악화될 경우 영업자산 확대에 차질이 불가피해진다. 우리카드의 조정자기자본비율은 올해 1분기 17.3%로 추가 하락했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720억원) 대비 18.8% 오른 855억원을 기록하면서 실적 증가세를 이어가는데 성공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연수 한글과컴퓨터 대표, 자사주 매입
- 롯데호텔 서울, 여름 공략 카드 '프리미엄 홈시네마'
- 새마을금고, ‘최빈국’ 라오스에 금융포용 모델 이식
- [Market Watch]미매각 물량, 주관사 '떠넘기기'...발행사들 선넘었나
- [IB 수수료 점검]ICH·수산인더 잇달아 상장, 삼성증권 최대 60억 기대
- '재무구조 개선' 신세계건설, 신종자본증권 규모 줄였다
- 엔씨소프트, '리니지' 신화 넘어설 대안 모색
- 동남아 기프트콘 운영사 쉐어트리츠, 150억 유치 완료
- 첫 중간배당 SFA, 1조 이익잉여금으로 주가 제고 승부
- SK실트론, 하이닉스 기대지 않고 '홀로서기' 성공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 人사이드]'4연임' 정길호 OK저축은행 대표, 위기관리 능력 시험대
- 저축은행 예보료율 인하 '꿈도 못꾸나'
- 하나캐피탈, 해외법인 영업 정상화 잰걸음
- 태광계열 저축은행 CEO 교체, 그룹 새 판짜기
- [엔데믹 시대 대비하는 저축은행]상상인저축은행, 디지털뱅킹으로 기업금융 부진 극복
- [엔데믹 시대 대비하는 저축은행]상상인저축은행, 그룹 편입 후 성장가도 질주
- [금융 人사이드]‘재무전문가’ 최광수, NH저축은행 첫 연임 대표 등극
- 커져가는 렌터카 시장, 장기렌트 탈세 논란 가중
- [엔데믹 시대 대비하는 저축은행]애큐온저축은행, 코로나19 수혜 ‘톡톡’…순익·자산 껑충
- [엔데믹 시대 대비하는 저축은행]애큐온저축은행, 또 지배구조 변화…커지는 불안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