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지주, 수요예측 거쳐 선순위채 발행 6월초 예정, 최대 5000억…차환자금 마련 목적
이지혜 기자공개 2022-05-26 07:11:53
이 기사는 2022년 05월 23일 16:0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금융지주가 선순위 공모 회사채를 발행한다.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신종자본증권을 공모 방식으로 발행한 지 약 한 달 만이다. 대표 주관사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B금융지주가 6월 중순 선순위 무보증사채를 3000억원 발행하기로 했다.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대 5000억원으로 증액발행할 가능성도 열어둔다.
대표주관사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KB금융지주가 이번에 발행하는 선순위 무보증사채는 파산 시 채무변제의 우선순위가 후순위채나 신종자본증권보다 높다.
조달자금은 만기 도래 차입금을 차환하는 데 쓰인다. 2021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올해 1조1000억원 규모의 선순위채 만기가 돌아온다.
눈에 띄는 점은 KB금융지주가 수요예측을 거쳐 선순위채를 발행한다는 점이다. 그동안 일괄신고제를 활용해 선순위채를 찍었던 것과 대비된다.
KB금융지주 관계자는 "일괄신고제를 활용하려면 최근 1년 동안 같은 종류의 회사채를 발행한 실적이 있어야 한다"며 "지난해 2월 이후 선순위채를 발행하지 않았기에 이번에 수요예측을 치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KB금융지주는 올 들어 공모채 시장에서 대규모 자금을 숨가쁘게 조달하고 있다. 공모채로 발행한 신종자본증권만 모두 1조1000억원에 이른다. 2월 6000억원, 5월 5000억원을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신종자본증권으로 찍었다. 두 번 모두 수요예측에서 오버부킹을 기록한 덕분에 모집금액 이상으로 증액발행했다.
KB금융지주의 자체 신용등급은 ‘AAA/안정적’이다. 이에 따라 이번 선순위채의 신용등급도 'AAA/안정적'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기업평가는 “KB금융지주의 시장지위가 우수하다"며 "수익기반을 다양화한 덕분에 우수한 재무건전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KB금융지주는 2008년 설립된 은행지주회사로 주력자회사는 KB국민은행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자회사 13곳, 손자회사 38곳, 증손회사 4곳을 거느리고 있다. 2021년 지배주주순이익은 4조4095억원으로 전년 대비 27.6%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Market Watch]미매각 물량, 주관사 '떠넘기기'...발행사들 선넘었나
- [IB 수수료 점검]ICH·수산인더 잇달아 상장, 삼성증권 최대 60억 기대
- '재무구조 개선' 신세계건설, 신종자본증권 규모 줄였다
- [로펌 빅7 M&A 전략]이태현 지평 변호사 "전문·특화 영역 구축, 대형화 도약"
- [로펌 빅7 M&A 전략]후발주자 지평, 특화 전문화 모델로 '우뚝'
- 국민연금 출자사업 깜짝 등판…'YJA인베스트먼트' 어떤 곳?
- 모간스탠리PE, 전주페이퍼 관계사 처분…분할매각 탄력 받나
- IFC보다 신금투 사옥? GIC, 이지스자산운용과 '맞손' 협의
- [에쿼티스퍼스트 포커싱]환매조건부매매, 회색지대에 놓인 '유가증권'
- 공무원연금, 해외 PDF 운용사 '골럽·베어링·골드만' 낙점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재무구조 개선' 신세계건설, 신종자본증권 규모 줄였다
- 리딩증권 김충호, 부회장 직함 달고 각자대표
- KB지주 '전략통' 김세민, KB증권 이사회 합류...그룹 비전 '공유'
- KT, 수요예측 '오버부킹'…초우량 신용도·안정성 부각
- "데이터 활용, 기업경영 넘어 ESG 리스크까지 평가"
- 메리츠화재, 공모 이어 사모 후순위채 잇달아 발행
- 한기평, 기업 ESG평가로 사업 영역 확대
- 예스코, 기한이익상실 사유 해소
- 리딩투자증권, IB조직 강화…부동산금융 적극 공략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현지화·자본력 다 갖춘 미래에셋, 최적화된 '글로벌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