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달러화 리스크 확대 배경은 달러 값 10% 뛰면 순손실 1347억, 이자율 1% 오르면 493억 손실
박기수 기자공개 2022-06-29 07:31:58
이 기사는 2022년 06월 27일 16:1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1300원대를 육박하는 달러 환율에 LG에너지솔루션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 사업 확장으로 달러 부채가 늘어가고 있는 시점에 환율도 덩달아 올라 환율 변동으로 인한 리스크가 커지면서다. 환율 외 금리 상승도 부담이다.27일 현재 달러화 환율은 약 1285원으로 이달 초(1250원대)에 비해 약 3% 상승했다. 기준을 올해 초로 잡으면 상승 폭은 7.7%로 커진다. LG에너지솔루션은 부채 중 외화 부채가 많아 환율이 오르면 그만큼 손실이 커지는 구조다. 다만 최근 외화 부채가 더 늘어나면서 손실 가능 폭도 더 커지고 있는 추세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1분기 말 기준 달러 환율 10% 상승 시 약 1347억원의 순손실(법인세비용 차감 전)이 발생한다. 이는 작년 연결 법인세비용 차감 전 순이익(7772억원)의 약 17%에 해당한다.
불과 3개월 전인 작년 말만 하더라도 달러 환율 변동에 대해 이렇게 민감한 정도는 아니었다. 작년 말 기준으로 작성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당시에는 달러 환율 10% 상승 시 순손실 금액이 110억원에 불과했다. 1분기 만에 달러 환율 변동에 대한 리스크가 약 12배 이상 커진 셈이다.
원인은 달러 부채 증가에 있다. 작년 말 LG에너지솔루션의 달러 부채는 3조4119억원이었다. 3개월 뒤인 올해 1분기 말에는 이 금액이 4조3064억원으로 26.2% 증가했다. 제너럴모터스(GM) 합작, 스텔란티스(Stellantis) 합작 등 미국 사업을 폭발적으로 확대하면서 부채도 그만큼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물론 LG에너지솔루션의 매출이 20조원에 달하는 규모인 만큼 환손실이 현실화할 경우에도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또 추후 영업활동 본격화로 현금이 창출될 경우 자산이 증가돼 리스크가 감소될 여지도 있다.
그럼에도 10년 이래 최고점을 찍고 있는 달러 환율이 LG에너지솔루션으로서는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리스크 총괄자인 최고재무관리자(CFO) 이창실 전무의 어깨도 함께 무거워질 전망이다.
달러 보다는 상승 폭이 낮지만 유로화에 대한 리스크도 여전하다. 1분기 말 기준 유로화 환율이 10% 상승할 경우 LG에너지솔루션에는 4471억원의 법인세비용 차감 전 순손실이 발생한다.
물론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통화선도계약 등을 통해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관리 중이다. 1분기 말 기준 LG에너지솔루션은 10억달러(약 1조2854억원)와 8억6500만유로(약 1조1748억원)의 통화선도계약을 체결 중이다. 다만 외화부채의 양이 상당해 통화선도계약으로 모든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환율 만큼은 아니지만 치솟는 금리도 관리 대상이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모든 변수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이자율이 100bp 상승할 경우 세전 493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한다. 미국과 국내 모두 기준금리 상승 기조라 LG에너지솔루션으로서는 부담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한화 사업구조 재편]한화건설, 에이치피앤디 합병…디벨로퍼 역량 '방점'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안강건설, 자체개발 역량 발판 시평 '수직상승'
- 평택도시공사, '브레인시티' 중흥 상대로 중재 신청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새 주인 앞둔 쌍용건설, 시평 33위…재무개선 '관건'
- 디에이테크, 2차전지 레이저 가공 기술 공신력 인증
- FSN, 더샌드박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LG헬로, 역대급 영업이익률…신사업·CAPEX 덕분
- LGU+, 일회성 인건비 지출에 가려진 비용 효율화
- 두산 테스나에 지주사 전략통 김도원 사장 합류
- 베일 벗은 네이버웹툰 구조, 성장 자신감 이유는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SP와 이별한 동국제강, 최대 수확 '리스크 제거'
- [한화 사업구조 재편]지주사 전환 신호탄 이후…그룹 재편 남은 과제는
- [한화 사업구조 재편]㈜한화·한화에어로, '규모의 경제' 구축한다
- [CFO 인사 코드]SK그룹 재무라인 '엘리트 코스', SK㈜ 재무1실
- [현대오일뱅크 IPO]외부 변수에 HD현대 또 '백기'…시장 반응은
- '크레딧 라인' 확보하는 SK온…프리IPO는 '신중'
- [CFO 인사 코드]SK㈜ CFO는 차기 CEO '시험대'
- [CFO 인사 코드]SK그룹 CFO는 이사회 참여 못한다?
- [CFO 인사 코드]SK그룹, 외인·순혈 조화…재무 라인도 '능력주의'
- [IR 리뷰]LG화학 IR 변화 이끈 '베스트 IRO' 윤현석 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