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넘치는 롯데홈쇼핑, 지주사 행위제한 '우회투자' 빛났다 '롯데지주 손자회사' 국내 계열사 주식소유 못해, 대만 '모모홈쇼핑' 지분인수 잭팟
김선호 기자공개 2022-11-17 08:07:18
이 기사는 2022년 11월 16일 07:0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홈쇼핑(우리홈쇼핑)은 계열사 롯데건설에 대규모 자금을 수혈한 가운데 영업활동으로 유입된 현금을 기반으로 활발한 재무 투자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지주의 손자회사로 공정거래법상 행위 제한을 받지만 이를 우회한 투자활동이 빛을 발했다는 분석이다.롯데홈쇼핑의 최대주주는 지분 53.49%를 보유한 롯데쇼핑이다. 롯데쇼핑의 최대주주는 40% 지분을 보유한 롯데지주다. 이와 같은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롯데홈쇼핑은 롯데지주의 손자회사로 공정거래법상 행위제한 대상에 속한다.
2017년 롯데그룹이 롯데지주를 출범시키면서 롯데홈쇼핑은 공정거래법상 지주사의 손자회사가 계열사 주식을 보유할 수 없도록 한 행위제한 규정에 포함됐다. 행위제한을 충족하기 위해 2019년 보유했던 롯데렌탈 주식을 부산롯데호텔에 넘겼다.
당시 롯데렌탈 주식 101만여주를 약 790억원에 부산롯데호텔에 넘겼다. 부산롯데호텔은 롯데지주와 지분 관계로 얽혀 있지 않았기 때문에 롯데그룹 계열사 지분을 넘겨받아도 위법한 상황이 아니었다.
이러한 가운데 2004년 지분 10%를 17억원에 취득한 대만 모모홈쇼핑으로 상당한 수익을 거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모모홈쇼핑의 대주주인 푸본금융그룹이 모모홈쇼핑 출범을 앞두고 초기 투자자를 모집하면서 롯데홈쇼핑이 성공 가능성을 보고 지분 참여를 결정했다.
이후 지난해 모모홈쇼핑 지분 일부(2.1%)를 매각해 2952억원을 확보했다. 17억원으로 확보한 지분가치가 1조5000억원으로 치솟으면서 차익 실현을 위해 지분 일부를 처분했다. 지난해 말 기준 남아 있는 모모홈쇼핑 지분은 7.92%로 장부금액은 1조원이다.

지주사의 손자회사 행위제한 요건 때문에 그룹 계열사에 지분투자를 단행하기 힘들지만 롯데홈쇼핑은 해외 투자를 통해 상당한 이익을 취하고 있다. 이는 견고한 영업활동 현금흐름과 함께 현금곳간을 채우는 요소로 작용했다.
이밖에 씨제이헬로비전, 씨제이이앤엠의 지분을 각각 0.07%, 0.11%를 보유하고 있다. 모모홈쇼핑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나름대로의 투자 전략을 실현하고 있는 셈이다. 남아 있는 모모홈쇼핑의 지분가치가 1조원이 넘는다는 점도 차익 실현의 기대를 높이는 부분이다.
이를 보면 연간 1000억원 내외의 영업이익을 창출하면서 현금을 축적했고 이를 기반으로 투자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분 투자 등의 투자활동 외에 현금성자산을 금융상품으로 운용하면서 수익을 내고 있는 중이다.
실제 유동자산 1조1420억원 중 8871억원을 기타금융자산 항목으로 기재했다. 구체적으로 기타금융자산은 단기금융상품 7831억원, 동반성장펀드 1000억원, 단기대여금 15억원, 미수수익 25억원으로 구성된다. 지난해 올린 금융수익은 148억원 규모다.
여기에 롯데건설에 1000억원을 단기 대여해 7.65%의 고금리 수익까지 얻게 됐다. 물론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금을 지원할 수도 있지만 이는 공정거래법상 행위제한에 반하는 사항인 만큼 자금을 대여하는 방식을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롯데홈쇼핑 관계자는 "우리는 롯데지주의 손자회사로 있기 때문에 국내 계열사 주식을 보유할 수 없다"며 "이전 롯데렌탈 인수와 같이 계열사와 함께 공동 투자를 단행하기 힘들지만 기타 투자와 재무활동을 통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알펜시아리조트,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성공개최 '맞손'
- [Company Watch]JTC, 관리종목 탈피 '청신호', 흑자전환 ‘총력’
- GTF, 35개월만 월간 첫 흑자 "리오프닝에 실적 기대"
- [오너십&스톡]SK케미칼, 반전 묘수 꺼낼까
- 美 에너지사업 총괄하는 패스키, 유정준 부회장 역할 확대
- [동국제강을 움직이는 사람들]'럭셔리 스틸' 탄생 일등공신 박상훈 전무
- [승계 레버리지 분석]이우현 OCI 부회장은 최대주주가 될 수 있을까
- 포스코케미칼-삼성SDI의 만남, 협력관계 어디까지?
- [에코프로 인사이드]수직계열화의 '부메랑', 높은 내부거래 비중 눈길
- 현금 2조 확보 SKC, 해외 동박 생산기지 구축 본격화
김선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롯데면세점, '한국사업본부→채널운영본부' 개편 안정 최우선
- 신세계까사, '정체성 강화' 디자인담당에 MD 통합
- 롯데제과, '롯데푸드 흡수' 조직개편 키워드 '통합·교체'
- 김기병 롯데관광 회장, '778억 주식매매대금' 상환 대책은
- [롯데쇼핑 리빌딩 전략]롯데온, 거버넌스 통합 '백화점·마트'와 대타협 통할까
-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 '호텔신라와 소송' 강제조정으로 마무리
- [현대백화점 지주사 전환]두 지주사 세우는 현대백화점그룹, 현대홈쇼핑 지분 향배는
- 에스디생명공학, 박설웅 대표의 변심 '이사회 재구성 불발'
- 동원그룹, 지주사 CFO 물갈이 '합병소송' 대비하나
- [롯데쇼핑 리빌딩 전략]롯데마트, 차별화로 '수익성 제고'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