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라클, 상장 후 첫 스톡옵션 대상은 '신규 채용 임원' CFO인 박종현 부사장, R&D 인력인 김수정·이원일 상무에 부여
임정요 기자공개 2022-11-21 08:28:07
이 기사는 2022년 11월 18일 16:1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를 개발하는 큐라클이 상장 후 처음으로 스톡옵션을 부여했다. 최고재무책임자(CFO) 및 연구개발(R&D) 인력들이 대상이다. 이들은 주요 임원진이 퇴사한 후 새롭게 채용한 인력이라는 공통점이 있다.큐라클은 16일 이사회를 통해 박종현 CFO(부사장), 김수정 임상개발총괄(상무), 이원일 신약연구소총괄(상무)에 스톡옵션 부여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각 임원들이 받게 되는 스톡옵션은 박 부사장이 3만주, 김 상무와 이 상무가 각각 1만5000주씩이다. 행사가는 최근 큐라클 시가와 동일한 1만2700원으로 결정됐다. 2024년 11월 16일부터 5년간 행사 가능하다.

스톡옵션을 받은 인물들은 모두 새로 영입된 임원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박 부사장은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출신으로 올해 9월 큐라클에 합류했다. 큐라클 상장을 이끈 CFO 박광락 전 각자대표가 작년 10월 등기임원직을 내려놓은 후 1년 만에 박 부사장을 영입했다.
김 상무는 올해 5월 큐라클에 합류했다. 기존 임상개발 담당이던 강지혜 전 전무는 올 상반기 중 6억원대 스톡옵션을 전량 행사하고 퇴직했다. 김 상무는 한양대 의학박사 졸업 후 아모레퍼시픽기술연구원, 코미팜 의약사업부 이사, 한양대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 크리스탈지노믹스 임상개발본부 이사, 파마리서치 연구소장 등을 지냈다.
이 상무 역시 올해 퇴사한 안구현 전 전무의 빈자리를 채운 인물이다. 이 상무는 서울대 약학박사 졸업 후 C&C신약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15년간 일했다. 이후 젬백스앤카엘, 제일약품, 대원제약에서 신약연구를 하다 8월 큐라클에 합류했다.
큐라클이 스톡옵션을 부여한 건 2016년 설립 후 총 7번째다. 잔여 미행사 옵션수량은 59만9500주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알펜시아리조트,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성공개최 '맞손'
- [Company Watch]JTC, 관리종목 탈피 '청신호', 흑자전환 ‘총력’
- GTF, 35개월만 월간 첫 흑자 "리오프닝에 실적 기대"
- [오너십&스톡]SK케미칼, 반전 묘수 꺼낼까
- 美 에너지사업 총괄하는 패스키, 유정준 부회장 역할 확대
- [동국제강을 움직이는 사람들]'럭셔리 스틸' 탄생 일등공신 박상훈 전무
- [승계 레버리지 분석]이우현 OCI 부회장은 최대주주가 될 수 있을까
- 포스코케미칼-삼성SDI의 만남, 협력관계 어디까지?
- [에코프로 인사이드]수직계열화의 '부메랑', 높은 내부거래 비중 눈길
- 현금 2조 확보 SKC, 해외 동박 생산기지 구축 본격화
임정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바이오시밀러 한계와 도전]복제약 넘어 신약개발로 눈 돌리는 셀트리온
- '미생물유전자치료제' 리비옴, 새로운 마이크로바이옴 선보인다
- 아킬리와 페어의 구조조정, 국내 디지털치료제 미칠 영향은
- '무차입' 한올바이오파마, 바이오신약 글로벌 3상 '이상무'
- 메디톡스, 소송으로 번진 '중국 합작사' 해산 위기
- 노터스 CB 투자자, 적자전환에도 전환권 청구 선택
- 파미셀 울산1공장 화재, 뉴클레오시드·첨단소재 생산중단
- 와이바이오로직스, 기평 통과…유안타 앞세워 상장 재도전
- '유한양행 SI 참여' 엔솔바이오, 이전상장 '2전3기' 성공할까
- 4년째 거래 막힌 디엑스앤브이엑스, 신라젠·티슈진과 다른 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