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나이티드제약 오너 현금곳간 '유나이티드인터팜' 작년 배당성향 83%…2005년부터 흑자 기조 유지
최은진 기자공개 2022-11-23 08:06:55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2일 16:2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나이티드제약의 계열사 유나이티드인터팜이 수년째 꾸준한 배당을 하고 있다. 배당성향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유나이티드제약은 물론 오너일가도 유나이티드인터팜을 통해 매년 수억원의 현금을 확보하고 있다.유나이티드인터팜은 의약품 유통(도매)업을 사업목적으로 1985년 설립됐다. 유나이티드제약의 창업주인 강덕영 회장과 특수관계자가 47.28%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다. 유나이티드제약이 44.39%, 유나이티드문화재단이 8.33%로 뒤를 잇는다.

실적이 공개된 2005년부터 17년간 줄곧 200억원 안팎의 매출을 벌어들이며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단 한번도 적자를 낸적이 없을 정도로 안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매출의 15% 비중인 40억원 안팎이 유나이티드제약으로부터 창출된다. 지난해의 경우 유나이티드제약으로부터 발생한 매출은 44억원이다. 매년 거래규모가 5억원씩 늘고있다.
유나이티드인터팜은 안정적 실적을 기반으로 4년째 꾸준한 배당을 하고 있다. 2018년 6억6000만원을 시작으로 매년 배당규모가 3억3000만원씩 늘고 있다. 2019년 9억9000만원, 2020년 13억2000만원, 2021년 16억5000원의 배당을 했다.
배당성향 역시 확대되고 있다. 2018년 24.14%였던 배당성향이 83.32%까지 늘었다. 지난해 순이익 19억8000만원 대부분을 배당재원으로 쓴 셈이다.

배당의 절반은 최대주주인 오너일가에게 귀속된다. 지난해 기준으로 오너일가는 배당으로 대략 8억여원을 취했다. 강 회장과 그의 아들 강원호 대표이사가 유나이티드제약의 급여로 수령하는 11억원, 9억원에 버금가는 규모다.
오너일가는 승계를 위해 현금확보가 절실하다. 유나이티드제약의 후계자로 꼽히는 강 대표는 2014년부터 부친인 강 회장과 공동 대표이사로 자리하며 경영승계는 일정부분 이뤘지만 지분 승계는 하지 못한 상황이다.
유나이티드제약의 최대주주인 강 회장이 보유한 지분 25.76%가 강 대표에게 이전돼야 승계절차가 마무리 된다. 강 대표가 보유한 지분은 5.44%에 그친다. 강 회장이 보유한 지분가치는 시가기준으로 약 1000억원 규모다.
유나이티드제약 관계자는 "유나이티드인터팜은 화장품 및 건기식 등의 유통회사"라며 "유나이티드제약과는 의약품 물류대행 업무로 거래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알파홀딩스-신화아이티, 美 SES AI와 MOU 체결
- 지엔원에너지, 샌디에이고 주립대와 공동개발 계약
- 아나패스, 차세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발 속도
- [삼성 메모리 무감산 공방]감산 여부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파라메타'로 사명 바꾼 아이콘루프…신사업에 전부 걸었다
- [통신 삼국지 흔드는 알뜰폰]간판 바꾼 토스모바일, 시장 다시 한번 흔드나
- 한독 오너회사 '와이앤에스인터' 주담대 줄인 이유
- [게임 개발 자회사 열전]글로벌 노리는 카카오게임즈, 라이온하트 IPO 속도낼까
- [통신 삼국지 흔드는 알뜰폰]KB 리브모바일은 어떻게 알뜰폰 시장을 바꿨나
- [갤럭시 언팩 2023]노태문 "버라이즌·구글도 최고 호응…10% 성장 자신"
최은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독 오너회사 '와이앤에스인터' 주담대 줄인 이유
- [LG화학 아베오 인수]아베오 '상장폐지'…새로운 이사회 구성만 남았다
- [이사회 분석]새주인 맞은 랩지노믹스, '이사수·인물' 전부 바꾼다
- '오스템임플 의식했나' 덴티움, 첫 '배당정책' 수립
- [의료재단 리포트]강북삼성병원장 '불신임' 訴취하…정관변경 추진
- [이사회 분석]안국약품, 오너 복귀에 '사내이사' 중심 이사회 전환
- 'TPD+ADC' 오름테라퓨틱의 첫 임상 'CMO' 역할은
- 신성장 찾는 삼성바이오에피스, 독자운용 펀드조성
- [오스템임플란트 vs KCGI]MBK-유니슨 연대한 최규옥, 방어인가 엑시트인가
- JPM에서의 K-바이오 '관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