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에스이, 세번째 프리IPO 유치 자회사 탄생 테스트하우스 '지엠테스트', 메가센·메가터치 이은 상장 기대주…몸값 4배 상승
구혜린 기자공개 2022-11-28 08:10:27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3일 16:3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티에스이의 반도체 테스트하우스 자회사 '지엠테스트'가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티에스이의 또 다른 자회사 메가센과 메가터치를 포함해 코스닥 상장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 세 번째 사례다.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티에스이의 자회사 지엠테스트는 최근 72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단행해 한국투자증권 등 FI(재무적투자자)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이번에 발행된 물량은 보통주 11만3100주(지분율 17.8%)다.
투자자들은 유상증자 참여와 동시에 풋옵션(메수청구권) 특약을 맺었다. 향후 5년 내 지엠테스트가 기업공개 되지 않을 경우 투자자는 지엠테스트 보유 지분 전부 또는 일부를 매수해 줄 것을 청구할 수 있다. 청구가격은 매매대금 원금에 연 단리 3.5%를 합산한 금액이다.
지엠테스트는 최근 양호한 실적 곡선을 그리며 사세를 확장할 기회를 엿보고 있다. 지엠테스트는 올해 3분기까지 매출액 205억원, 순이익 3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실적(매출액 179억원, 순이익 31억원)을 뛰어넘은 수준이다. 이번에 유치한 투자금은 시설 및 인력 확충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번 프리IPO 과정에서 지엠테스트가 인정받은 몸값은 400억원 수준이다. 이번에 FI가 매수한 지엠테스트 신주 1주당 가격은 6만3660원이다. 지엠테스트 전체 발행주식수(63만5100주)를 고려하면 산술적으로만 404억원이 도출된다. 티에스이가 지엠테스트 보유 지분 가치를 장부가액 기준 104억원으로 평가했었던 것과 비교하면 4배 가까운 밸류에이션 제고를 이룬 셈이다.
티에스이 그룹 내에선 코스닥 상장에 도전할 명분이 있는 세 번째 자회사가 탄생했다. 티에스이의 자회사 중 디스플레이 자회사인 메가센 및 반도체부품 제조 자회사 메가터치는 일찍이 한국투자파트너스가 조성한 중국 벤처펀드로 프리IPO를 유치한 바 있다. 이 중 가장 실적 상승세가 가파른 메가터치는 최근 주관사 선정까지 마친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투자 유치로 인해 지엠테스트에 대한 티에스이의 지배력은 99.79%에서 82.02%로 17.77%포인트(p) 하락했다. 티에스이 관계자는 "지엠테스트가 IPO를 조건으로 투자를 받았으나, 실제 상장 계획과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구체화된 게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알펜시아리조트,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성공개최 '맞손'
- [Company Watch]JTC, 관리종목 탈피 '청신호', 흑자전환 ‘총력’
- GTF, 35개월만 월간 첫 흑자 "리오프닝에 실적 기대"
- [오너십&스톡]SK케미칼, 반전 묘수 꺼낼까
- 美 에너지사업 총괄하는 패스키, 유정준 부회장 역할 확대
- [동국제강을 움직이는 사람들]'럭셔리 스틸' 탄생 일등공신 박상훈 전무
- [승계 레버리지 분석]이우현 OCI 부회장은 최대주주가 될 수 있을까
- 포스코케미칼-삼성SDI의 만남, 협력관계 어디까지?
- [에코프로 인사이드]수직계열화의 '부메랑', 높은 내부거래 비중 눈길
- 현금 2조 확보 SKC, 해외 동박 생산기지 구축 본격화
구혜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 채비' 이큐글로벌, 미국·유럽 진출한다
- 제너셈, '세미콘 코리아'서 신규 모델 소개한다
- [현장 인 스토리]김정웅 서플러스글로벌 대표 "신규 팹 컨설팅으로 도약"
- [현장 인 스토리]해외 6개 설립 목표, 서플러스글로벌의 10년 꿈 '클러스터'
- 드림텍, 삼성전자 갤럭시 납품 모듈 '품질 최우수상'
- '무배당 코스닥사'에 돌을 던지기 전에
- '역대 최대 실적' 넥스틴, 배당성향 뒷걸음질 '왜'
- '플라즈맵 30억 투자' 드림텍, 플라즈마 멸균기 개발
- [퀀텀점프 2023]최철순 에이트원 대표 "XR콘텐츠 대표기업 각인 목표"
- 파크시스템스 신규 장비 3종, 매출 '효자'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