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경하이테크, 최대주주 이상파트너스로 변경 이영민 대표 2대주주 유지하며 경영 지속…공동경영 체제로 사업 시너지 극대화
강철 기자공개 2022-11-25 15:39:03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4일 16:0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굴지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특수필름 개발사인 세경하이테크가 이상파트너스를 최대주주로 맞는다. 창업자인 이영민 대표는 경영권 매각 이후에도 2대주주 지위를 유지하며 특수필름을 위시한 사업 전체를 총괄할 예정이다.세경하이테크와 이상파트너스는 24일 공동경영 협약식을 열고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경하이테크 본사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이영민 대표를 비롯해 다수의 양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영민 대표는 양수도 계약에 맞춰 보유 중인 세경하이테크 주식 375만주 가운데 243만7500주를 이상파트너스에 매각할 예정이다. 단가는 주당 3만3000원으로 책정했다. 다음달 15일 잔금 납입까지 마치면 약 800억원의 현금을 확보한다.
이상파트너스는 지분 21%를 확보하며 세경하이테크 최대주주에 오른다. 현재 출자자를 모집하고 있는 갤럭시사모투자합자회사(PEF)가 결성을 마치면 지분 21%를 포함한 모든 계약상 권리와 지위를 이 PEF에 양도할 계획이다.
거래가 이뤄지면 이영민 대표의 세경하이테크 지분율은 32%에서 11%로 하락한다. 2006년 1월 법인 설립 후 15년 넘게 유지한 최대주주 자리를 이상파트너스에 내준다.
다만 이 대표는 2대주주로 물러난 이후에도 디스플레이 특수필름을 비롯한 세경하이테크 전체 사업을 계속 총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경영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한편 폴더블 스마트폰 기능성 소재의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에 보다 집중할 방침이다.
이 대표는 "폴더블 스마트폰 기능성 소재 이후의 먹거리를 책임질 넥스트 성장 모델을 찾기 위해 그동안 적절한 사업 파트너를 물색했다"며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 노하우와 신사업 발굴 능력을 갖춘 이상파트너스를 적임자로 선택했다"고 밝혔다.
이상파트너스는 그간 쌓아온 투자 경험을 활용해 세경하이테크의 밸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신규 먹거리를 발굴할 계획이다. 현재 2차전지 소재를 비롯한 여러 신성장동력을 검토하고 있다. 전략을 확정하는 대로 관련 투자를 추진할 방침이다.
세경하이테크 측은 "이 대표가 안정적으로 경영을 총괄하는 가운데 이상파트너스가 신사업 발굴에 올인해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로드맵"이라며 "각자 전문성 있는 분야에 집중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세경하이테크는 2006년 1월 설립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특수필름 개발사다. 수원, 베트남, 일본, 중국 등에 거점을 운영하며 폴더블 스마트폰의 핵심 부품인 특수 보호필름을 양산한다. 스마트폰 필름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고객은 삼성전자, 오포, 샤오미 등이다. 갤럭시 폴더블폰을 포함해 UTG(Ultra Thin Glass)에 들어가는 대부분의 특수 보호필름을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다. 스마트폰 백커버에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는 데코필름과 글라스틱(PCPMMA)도 납품한다.
이들 고객사와의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바탕으로 외형과 수익성을 꾸준하게 늘리고 있다. 지난해에는 사상 최대인 매출액 2683억원, 영업이익 174억원을 달성했다. 올해 3분기 누적으로도 21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는 등 쾌조의 성장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LS그룹]전방위 지원 10년…LS아이앤디는 ‘밑 빠진 독’일까
- 세토피아, 친환경 첨단 소재 진출 기반 마련
- [블록체인산업 ESG 혁신]람다256 루니버스, PoA 기반 저탄소 블록체인 앞장
- [통신 삼국지 흔드는 알뜰폰]IoT 포함 1000만 가입자 훌쩍, 핸드셋 M/S도 13%
- 삼성디스플레이, 'ESG 맞춤형' 제품이 보여준 OLED 확장성
- "국내 디지털헬스, 신약 개발 기업 잇는 가교 역할 할 것"
- [오스템임플란트 vs KCGI]'스트라우만 대비 수익성 저평가', PE 눈독 들인 배경
- 아킬리와 페어의 구조조정, 국내 디지털치료제 미칠 영향은
- 시노펙스, '올 테프론 필터' 앞장 세미콘코리아 출격
- [SM엔터, 거버넌스 리스크]얼라인 요구 전격 수용, 이수만 그림자 지우나
강철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 모니터]'재무건전성 악화' 나노팀, 공모자금으로 빚부터 갚는다
- 롯데의 크레딧 디스카운트
- 대신증권도 회사채 발행 가세…증권채 잇달아 출격
- LG화학, 회사채 두배로 늘린다…금리 3% 후반 유력
- 빅이슈어의 컴백...SK하이닉스, 1조 공모채 추진
- 효성화학, 모집액 60% 산은 배정…수수료율 '37bp'
- [IPO 그 후]알비더블유, 카카오와 IP 제휴강화…신사업 시너지 창출
- 효성화학, '금리 메리트' 불구 회사채 전액 미배정
- [JPM 컨퍼런스 2023]SLL에 회사채 흥행까지…SK지오 쾌조의 '파이낸싱'
- KB증권, 공모채 찍는다…증권사 첫 수요예측 시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