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출자자' 모두 품은 LB인베스트, 2500억 혁신성장펀드II 출범 하이브리드형펀드 LOC 2300억 확정, 역대 최고 누적 투자 2000억 달성
이종혜 기자공개 2022-11-29 07:59:37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8일 17:1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출자사업의 최종 승자 벤처캐피탈(VC)은 LB인베스트먼트다. LB인베스트먼트는 모든 정책금융 출자사업에서 위탁운용사(GP)로 선정되며 2000억원 이상 규모의 하이브리드형 펀드 결성에 성공했다. 펀드 결성과 함께 투자에도 탄력을 받은 LB인베스트먼트는 시장 조정기에도 불구하고 작년 투자 규모보다 많은 20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집행하며 저력을 증명했다.28일 VC업계에 따르면 LB인베스트먼트는 오는 30일 약정총액 1800억원으로 'LB혁신성장펀드II' 결성총회를 개최한다. 이미 확정된 투자확약서(LOC)만 2300억원 규모로 내년 2월 2500억원 이상까지 증액할 예정이다. 이번 펀드 결성이 완료되면 LB인베스트먼트의 약정총액(AUM)은 1조2000억원 수준으로 '1조 클럽' 입지를 공고히 할 전망이다.
LB혁신성장펀드II는 지난 3월 산업은행이 진행한 정책형 뉴딜펀드의 중형리그 위탁운용사(GP)로 낙점되며 결성 발판을 마련했다. 앵커 유한책임출자자(LP)인 산업은행과 한국성장금융이 640억원을 출자했다. 이어 IBK뉴딜펀드2호, 노란우산공제회, 과학기술인공제회, 교직원공제회, 우정사업본부, 사학연금 등이 진행한 출자사업에서 모두 최종 GP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뤄냈다.
주목적은 뉴딜분야로 투자 범위가 넓은 만큼 섹터 제한은 따로 두지 않았다. 이번 펀드의 가장 큰 특징은 하이브리드 성격의 펀드라는 점이다. 앞서 성공적으로 운용한 경험이 있는 LB혁신성장펀드의 운용방식과 궤를 함께 하는 '시리즈' 펀드다.
비교적 낮은 밸류에이션 기업의 구주 인수를 먼저 한 후, 신주로 투자 바통을 이어가는 방식이다. 1호 펀드를 운용하며 구주뿐만 아니라 신주를 동시에 투자해 차기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곳을 집중 지원했다. 지난 2019년 1245억원 규모의 LB혁신성장펀드를 결성했다. 출범 후 처음 결성한 세컨더리 성격의 펀드였다. 이 펀드를 통해 △스타일쉐어(무신사에 인수) △네이처앤네이처 △세미파이브 △큐로셀 △메디쿼터스 △바로고 △피피비스튜디오스 등에 신·구주로 투자했다.
LB혁신성장펀드의 운용 인력들이 고스란히 2호 펀드에도 참여한다. 채두석 전무가 대표펀드매니저를 맡는다. 채 전무는 그로쓰세컨더리 본부장을 맡고 있다. 그는 회계사 출신으로 안건회계법인,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에서 M&A자문과 회계감사업무를 담당했다. 대표적인 포트폴리오는 하이브, 펄어비스, 바디프렌드 등이다.
핵심운용인력은 구중회 전무, 장홍석 수석, 최현중 수석 등이다. 기술 기업 투자 전문가인 구 전무는 브릿지바이오, 비트센싱 등에 투자했다. 장 수석은 동양종합금융증권 PB센터와 IPO팀을 거쳐 키움증권 AI팀에서 대체투자 업무 등을 담당했다. 장 수석은 아드리엘, 데일리비어 등에 투자했다. 최 수석은 경영컨설팅사, 핀테크 스타트업 P2P 금융플랫폼 펀디드 공동창업 등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포트폴리오는 마인즈랩, 핏펫, S2W랩 등이다.
설립 이래 역대 최대 규모로 투자를 집행했다. 작년 1500억원 이상을 투자했던 LB인베스트먼트는 올 11월 기준, 누적 투자금액이 2000억원을 넘어섰다. 혹한기에도 대규모 투자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후기 투자를 할 수 있는 펀드 여력이 있기 때문이다. 또 밸류에이션 조정이 시작된 지금을 투자 기회로 봤기 때문이다. 스타트업들의 밸류에이션 조정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LB인베스트먼트는 50억~100억원의 통 큰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박기호 LB인베스트먼트 대표는 "이번 펀드는 내년 2월까지 2500억원 규모로 증액할 예정"이라며 "올해 투자금액은 설립 이후 최대 규모인 2000억원을 넘어섰고, 내년에도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새 대표 맞은 한화운용, 턴어라운드 성공할까
- 키움운용, ETF·대체투자 조직 확대 개편
- [thebell interview]“7년 노력 결실, 국내판 LTCMA로 맞춤 전략 제공”
- 허브자산운용, 차원주·김종석 공동대표 체제 구축
- 유진운용, 부동산 금융 영역 확장 '잰걸음'
- 성장금융 '핀테크 혁신펀드' 4차 출자에 15곳 도전장
- '자율주행' SOSLAB, 1600억 밸류로 프리IPO 추진
- [VC 투자기업] 'IPO 철회' 테토스, 플랜B '스팩 합병' 노린다
- 모태펀드 관리보수 변경, VC 업계 '와글와글'
- [모태 2023 1차 정시출자] 신생 VC, 청년창업 '루키리그' 자금 유치 사활
이종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3 VC 로드맵] 하태훈 위벤처스 대표 "펀드 다각화·후속투자 집중"
- [2023 VC 로드맵] 김학범 컴퍼니케이 대표 “불안정성에도 꾸준한 투자가 답"
- [2023 VC 로드맵] 윤건수 DSC인베 대표 "테크 투자, 건전한 버블 토대"
- '비상장 투자 귀재' DS투자증권, 신기사 설립한다
- 에듀테크 '데이터뱅크', 50억 시리즈B 확보
- [VC 투자기업] 리센스메디컬, '타겟쿨·오큐큘' 북미 매출 본격 시동
- [2023 VC 로드맵] 박기호 LB인베 대표 "최대 투자로 역대급 빈티지 만들것"
- [thebell interview] "지비소프트, 비접촉 글로벌 헬스케어 플랫폼 선두"
- [VC 출사표/ S&S인베스트먼트] 정시준 대표 총괄, 'IB전문 젊은피' 심사역 전진 배치
- 중국 크리에이터 플랫폼 '아도바', 100억 시리즈B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