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사 품은 F&F, 콘텐츠 제작 투자 밑그림은 카카오엔터 출신 전문가 등 영입, 독자사업 추진 포트폴리오 확대
김규희 기자공개 2022-12-01 08:22:32
이 기사는 2022년 11월 30일 15:3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패션그룹 F&F가 엔터테인먼트사를 설립하고 콘텐츠 제작 투자에 뛰어들었다. 엔터 분야에서 경험이 풍부한 인물을 대표로 세워 콘텐츠사업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F&F그룹은 이를 통해 기존 패션사업 외 포트폴리오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F&F그룹은 최근 엔터테인먼트사 ‘F&F엔터테인먼트’를 설립했다. 신설 엔터사는 F&F그룹 사업회사인 F&F의 자회사로 있다. F&F가 초기 자본금 20억원을 출자하면서 직접적인 운영을 담당하게 됐다.
F&F엔터를 설립한 건 본격적으로 외형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F&F그룹은 그동안 패션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왔다. 디스커버리, MLB 등 라이선스 브랜드를 중심으로 덩치를 키웠다. 기타 사업 확장을 통해 그룹 전반의 수익 안정성을 도모한다는 전략이다.
F&F엔터는 기존 패션사업과 분리해 독자로 진행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스타마케팅 등을 통한 패션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경쟁력 강화 전략을 위해 엔터사를 설립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이와 달리 콘텐츠 분야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콘텐츠 제작 투자 전문가를 영입해 F&F엔터 대표로 선임했다. 최재우 대표는 엔터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이다. 작사에서부터 음반 제작까지 다양한 업무를 경험했다.
특히 콘텐츠 제작 투자 부문 전문가로 통한다. F&F엔터로 오기 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제작투자팀 프로젝트 리더 겸 산하 레이블 플렉스엠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음원 발굴 프로젝트 ‘리코드 프로젝트(re;code Project)’가 최 대표의 주요 작품이다. 인디 아티스트와 기성 아티스트의 컬래버레이션으로 숨은 명곡을 소개하는 프로젝트로 인디 아티스트의 대중화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F&F엔터는 향후 드라마 제작사 빅토리콘텐츠와 연계를 통해 사업을 확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F&F는 지난 3월 빅토리콘텐츠 지분 50.77%를 234억9641억원에 인수하며 자체 제작 역량을 갖췄다.
게다가 다수의 콘텐츠 제작사 투자를 진행한 F&F파트너스와의 협업 가능성도 점쳐진다. F&F파트너스는 F&F홀딩스가 설립한 VC투자회사로 채널옥트, 밤부네트워크, 와이낫미디어, 레드브릭, 고미코퍼레이션, RXC, 바이포엠 등 콘텐츠 관련 기업에 중심을 두고 있는 곳이다.
노우람 F&F파트너스 대표가 기타비상무이사로 등록돼 있는 만큼 F&F엔터가 인기 많은 지적재산권(IP)을 확보해 영화·드라마 등 영상물 제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F&F 관계자는 “엔터테인먼트사 설립 이후 구체적인 사업 내용을 구상하는 단계”라며 “아직까지 정해진 게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감성코퍼레이션 브랜드 '스노우피크' 삼성전자와 협업
- 라이트론, 글로벌 고객사 수주 덕 '흑자전환'
- 보령의 'LBA' 전략, 성장·내실 두 마리 토끼 잡을까
- [바이오시밀러 한계와 도전]삼성바이오에피스 R&D '키맨' 김경아 부사장
- 국내 서비스 일시휴식 페이코인, 공백기 동안 해외 캔다
- [SM 3.0, 포스트 이수만 시대]멀티 레이블 도입…'SM판 뉴진스' 나올까
- [갤럭시 언팩 2023]S23울트라 직접 써보니…'별관측·게이밍' 특화폰
- [SM 3.0, 포스트 이수만 시대]'멀티 제작센터→메가IP→커버리지 확대' 선순환 만든다
- [CAPEX 톺아보기]삼진제약 공격적 투자의 명암, 자금 회수 언제쯤
- 확장본능 '에스디바이오 vs 씨젠' 상반된 인사전략
김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쇼박스, 中 ‘독행월구’ 판권수익으로 적자 줄였다
- SPC, 안전경영 로드맵 구축 'ESG+S' 진심 담았다
- [한세그룹 2세경영]김지원 한세엠케이 대표, '온라인·글로벌' 적자 탈출 사활
- [한세그룹 2세경영]김지원 한세엠케이 대표, '디지털혁신' 성장 발판 마련
- [한세그룹 2세경영]김익환 한세실업 대표의 성장 키워드 '중미·ESG'
- [한세그룹 2세경영]김익환 한세실업 대표, 40년 전통기업 '디지털 DNA 이식' 견인
- [한세그룹 2세경영]김석환 예스24홀딩스 부회장, '투자·M&A 확대' 거침없는 영토확장
- [한세그룹 2세경영]김석환 예스24홀딩스 부회장, '종합 문화콘텐츠사' 일궜다
- 모두투어, 세밑 여행 ‘완판’ 1분기 흑자전환 잰걸음
- 쇼박스, 13년만에 '애니 배급' 라인업 확충 적자탈출 고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