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경영분석]수협은행, 당기순익 소폭 감소…충당금 확대 영향NPL비율 등 건전성 개선…수신 금리 상승에 조달 비용 상승
김형석 기자공개 2022-12-02 07:38:48
이 기사는 2022년 12월 01일 08:1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수협은행이 이자이익 증가에도 순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전성 관리를 위해 충당금 전입액을 늘린 영향으로 풀이된다.고정이하여신(NPL)비율과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다소 개선됐지만, 생산성 지표는 하락했다.
1일 공시에 따르면 수협은행은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55% 감소한 1705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 감소는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증가한 탓이다. 이 기간 충당금 및 충당부채전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37.25%(138억원) 증가한 511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53%(148억원) 늘어난 2834억원이었다. 충당금 적립전 영업이익은 7.5% 늘어난 3191억원을 보였다. 영업이익 증가는 대출증가에 따른 이자수익 확대 영향이다. 이 기간 이자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30.24% 증가한 1조1300억원을 기록했다. 이자비용을 제외한 순이자손익은 5964억원이었다.
대출잔액은 가계와 기업에서 고른 증가세를 보였다. 총 대출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9.81% 증가한 4187억원이었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증가율은 각각 10.11%, 9.52%를 보였다.
다만 이 기간 이자비용은 70.6% 상승했다. 예수금 확보를 위해 고금리 상품을 잇달아 내놓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 수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기본고시금리 기준)는 4.0%로 1년 전(1.0%)보다 3배 상승했다.
수협은행은 대출 증가에도 불구, 건전성 관리로 고정이하여신 감축에 성공했다. 이 기간 수협은행의 고정이하여신잔액은 2.19% 줄어든 1830억원이었다. NPL비율과 연체율 역시 각각 0.05%, 0.01% 개선됐다.
수익성 지표에서는 다소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총자산순이익률(ROA) 0.53%를 기록 전년 동기 대비 0.04% 하락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 역시 0.17% 내린 7.49%였다. 같은 기간 5대 은행을 비롯한 시중은행의 평균 ROE는 10% 수준이다. 타 경쟁은행보다 순자산 대비 수익 효율성에서는 떨어진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신한금융 인사 풍향계]한용구 행장 사임…다시 주목받는 자추위
- 전열 가다듬은 이복현 원장, 금융시장 안정 칼 뺐다
- [플랫폼 IPO 회계 점검]토스, '대출자산'보다 큰 '예수부채' 이자장사 난항
- '형보다 나은 아우' 클럽원2호점, 내부평가서 '1위'
- KB증권, 샘운용 시딩투자 '선구안 부각'
- [여전사경영분석]BNK캐피탈, 역대 최대 실적…비은행 계열사 1위 굳혔다
- [우리금융 차기 리더는]임추위의 선택 '임종룡'…모피아 아닌 유능한 경영자
- IPO 철회한 케이뱅크, 경영기획 임원 '임기 2개월' 단기 부여
- [수협중앙회장 선거 리뷰]노동진 후보, 15년차 베테랑 조합장 경력 기반 강점
- NH증권, 인도네시아에서도 'IPO 명가 DNA' 통했다
김형석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수협중앙회장 선거 리뷰]노동진 후보, 15년차 베테랑 조합장 경력 기반 강점
- 수협중앙회장 선거 김덕철·김임권·노동진 3파전 확정
- 농협은행, NH투자증권 홍콩법인에 125억원 지원
- [2023 금융권 新경영지도]수협은행, 지역 본부 전면 개편…고객 밀착 경영 강화
- [2023 금융권 新경영지도]수협은행, 리스크관리·디지털·IB 강화 핵심
- [2023 금융권 新경영지도]농협은행, 자산관리·운용 확대 개편…비이자이익 강화 전략
- [수협중앙회장 선거 리뷰]통영 토박이의 도전…김덕철 후보, 조합 권익 방점
- 수협중앙회, 부산어시장 출자금 조달 놓고 막판 고민
- [2023 금융권 新경영지도]농협은행, DT부문 신설…디지털혁신·수익성 두마리 토끼 잡는다
- [수협중앙회장 선거 리뷰]김임권 전 회장, 경영자 노하우로 '강한 조직' 만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