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계열사 성과평가/하나금융]불황에 선방한 '운용·펀드서비스·벤처스' CEO들펀드시장 위축에도 순익 증가…F&I는 역대 최대실적 갱신
최필우 기자공개 2022-12-06 07:26:51
이 기사는 2022년 12월 01일 15:34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하나펀드서비스, 하나벤처스 등 하나금융 산하 투자업 관계사들이 시장 불황에도 선전했다. 하나금융 내의 다양한 '최초' 타이틀을 보유한 각사 CEO들은 올해 성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임 기대감을 높였다. 부실채권(NPL) 투자사인 하나에프앤아이(F&I)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해 투자업 관계사 내의 위상을 한 단계 높였다.◇최초의 '은행출신·여성·신기사' 대표들, 불황 돌파
강성묵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대표(사진), 노유정 하나펀드서비스 대표(사진), 김동환 하나벤처스 대표(사진)는 각각 최초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강 대표는 2010년 하나금융이 다올자산운용(현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을 인수한 이후 처음 부임한 하나은행 출신 대표다. 노 대표는 그룹 최초의 여성 CEO다. 김 대표는 2018년 국내 금융그룹 최초의 전업 신기술사업금융업 회사인 하나벤처스를 설립했다.

강 대표 취임 전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대표는 부동산 전문가들의 몫이었다. 차문현 전 대표는 유리자산운용 대표·우리자산운용(현 키움투자자산운용) 대표를, 김희석 전 대표는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해외투자실장, 한화생명 CIO, NH농협지주 CIO를 거친 거물들이었다. 강 대표는 1993년 하나은행에 입행해 영업지원그룹장, 중앙영업2그룹장을 역임했다.
하나금융이 강 대표를 기용한 건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의 운용 전문성이 궤도에 올랐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임 대표들이 세팅한 투자 프로세스와 인력을 바탕으로 그룹과 시너지를 강화하는 게 강 대표에게 주어진 미션이다. 다만 운용사 경험이 많지 않은 강 대표에게 올해 경영 환경은 녹록지 않았다.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자산 가격 급락 국면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새로운 투자처를 확보해 신규 펀드를 설정하는 게 만만치 않았다.
이 같은 여건을 고려할 때 강 대표의 첫 성적표는 나쁘지 않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올 3분기 누적 순이익 20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196억원에 비해 11억원(5.6%) 늘었다. 지난해 연간 실적인 31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낙관할 순 없으나 부진했다 보기도 어려운 실적이다.
노 대표도 펀드 업황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하나펀드서비스를 이끌고 있다. 하나펀드서비스 순이익은 올 3분기 누적 71억원으로 전년 동기 57억원에 비해 14억원(24.6%) 늘었다. 올 초 함께 2년 임기를 시작한 노 대표와 강 대표는 내년 성과에 따라 연임 여부가 정해진다.

하나벤처스도 올 3분기 누적 18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억원(28.6%) 성장했다. 다만 4분기 눈에 띄는 실적을 내지 못하면 지난해 연간 순이익 55억원을 넘어서긴 어려울 것으로 점쳐진다.
김 대표는 2018년 하나벤처스 설립 때부터 대표직을 유지하고 있다. 올초 1년의 추가 임기를 보장 받아 내년 3월까지 대표로 재임한다. 그를 전폭적으로 지지해 준 김정태 전 하나금융 회장이 퇴임한 건 연임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강동훈 F&I 대표, 연임 청신호…업계 선두권 맹추격

내년 3월 임기가 만료되는 강동훈 하나F&I 대표는 취임 후 2년 연속 호실적을 냈다. 취임 첫해였던 지난해 순이익 254억원으로 전년 대비 98억원(62.8%) 성장했다. 올해는 3분기 누적 순이익 263억원을 기록해 전년도 연간 실적을 이미 뛰어 넘었다.
하나F&I는 올해 하나금융지주 산하의 투자업 관련 종속기업 중 최대 순익을 낼 것으로 관측된다. 손자회사에서 자회사로 올라선 2020년 순이익은 156억원으로 같은 기간 186억원을 기록한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에 밀렸다. 지난해에도 310억원의 순이익을 낸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에 미치지 못했다. 올해는 3분기 기준으로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에 비해 56억원 많은 순이익을 냈다.
하나F&I의 달라진 위상에 대한 평가가 박 대표 연임 여부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NPL 투자업계에서도 하나F&I의 존재감은 커지고 있다. 순이익 기준으로 대신F&I(1312억원), 유암코(1178억원)을 맹추격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 키움F&I(81억원), 우리금융F&I(-86억원)과의 격차를 더 벌릴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신한은행 차기 리더는]정상혁 신한은행장 선임…능력 검증 마친 준비된 CEO
- [수협중앙회장 선거 리뷰]노동진 후보 압수수색으로 중앙회장 선거 판도 바뀌나
- [IR Briefing]KB금융, 대손충당금 '1조' 적립…추가 손실 차단
- [은행경영분석]KB국민은행, 기업금융 드라이브 통했다
- [신한금융 인사 풍향계]준비된 자경위, 다시 소환된 유력 후보들
- [우리은행 라임펀드 소송전]라임 행정소송 포기로 '구상권 청구' 영향 불가피
- [2023 금융권 新경영지도]대구은행, 지역본부 쪼개고 센터 신설 '전열 재정비'
- [신협 공적자금 상환 점검]16년 만에 공적자금 상환…변수는 무엇
- 삼성증권, '펀드 수탁 신사업' 연내 출격 채비
- [여전사 오너십 해부]이사회 핵심은 에스티리더스PE…전문성·다양성 강점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은행 라임펀드 소송전]라임 행정소송 포기로 '구상권 청구' 영향 불가피
- [2023 금융권 新경영지도]대구은행, 지역본부 쪼개고 센터 신설 '전열 재정비'
- [금융 싱크탱크 탐방/KB경영연구소]'화수분' 연구센터, 윤종규호 '소트 리더십' 원천
- [2023 금융권 新경영지도]김태오 DGB회장, 그룹 '디지털 전환' 직접 챙긴다
- [금융 싱크탱크 탐방/하나금융경영연구소]"현업 조직과 매칭 가능한 소팀제 전환 추진"
- [금융 싱크탱크 탐방/하나금융경영연구소]고객 분석하고 전략 수립하는 '싱크탱크' 진화
- [금융 싱크탱크 탐방/하나금융경영연구소]단자회사 '부속실' 금융그룹 '브레인' 되다
- [우리금융 차기 리더는]임추위의 선택 '임종룡'…모피아 아닌 유능한 경영자
- [은행경영분석]BNK금융, 역대 최대 실적에 '주주환원 계획' 첫 언급
- [2023 금융권 新경영지도]JB금융, 신설 '미래성장본부'에 달린 신성장동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