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유한양행]감시 대신 '협력' 선호, 이사회 참여 비율 10%③'기술력 확보' 전략에 부합, 일부는 '임원 선임권' 통해 리스크 보완
심아란 기자공개 2023-01-25 07:16:10
이 기사는 2023년 01월 16일 16:49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한양행이 투자사의 경영 의사결정을 직접 감시하기보단 최대한 자율성을 보장하고 있다. 유한양행 C레벨 임원이 투자기업 이사회에 참여하는 비율은 약 10%로 나타났다. 투자의 목적이 기술력 확보인만큼 투자사와 '협력'에 초점을 맞추는 모습이다. 의결권이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투자사의 경우 '임원 선임권'을 확보해 리스크를 보완하고 있다.유한양행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자금을 출자해 관계사로 30곳을 확보하고 있다.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충하고 사업 영역을 넓히기 위해 2016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투자를 늘린 결과다. 2015년 말까지만 해도 관계사가 12개사였던 점을 고려하면 투자 포트폴리오는 다양해졌다.
포트폴리오에 속한 기업이 늘어나는 동안 유한양행이 투자사 관리감독에 직접 참여하는 사례가 덩달아 증가하진 않았다. 유한양행 임원이 이사회에 참여하는 관계사는 △유한킴벌리 △이뮨온시아 △한국얀센 △테라젠이텍스 등 4곳 정도다. 최고재무책임자(CFO) 역할을 맡고 있는 경영관리본부장 이병만 부사장은 테라젠이텍스 기타비상무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나머지 3곳에서는 조욱제 CEO가 기타비상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투자사가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직전인 2015년과 비교해 눈에 띄는 변화는 이뮨온시아 정도다. 이뮨온시아는 유한양행과 미국 나스닥 상장사 소렌토 테라퓨틱스가 합작해 출범시킨 신약개발 바이오텍이다. 2016년 이뮨온시아 설립 첫해부터 작년 말까지 유한양행이 직접 출자한 금액은 총 180억원이다.
물론 이뮨온시아를 포함해 유한킴벌리, 한국얀센은 합작사라는 점에서 경영 참여에 의미를 부여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합작사는 일반적으로 설립 멤버들이 이사회 구성 비율을 약속하는 만큼 관계자들이 경영에 직접 참여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들 3곳을 제외하면 유한양행이 이사회를 직접 챙기는 관계사 중 테라젠이텍스만 유일하게 합작사가 아니다. 테라젠이텍스는 유한양행이 외부 투자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던 2012년에 확보한 포트폴리오 기업이다. 유전체 분석 기술에 특화된 테라젠이텍스와 신사업 접점을 만들기 위해 그해 200억원을 출자했다.
유한양행은 2019년에는 테라젠이텍스의 경영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최대주주와 3년간 의결권 공동보유 약정을 체결해주기도 했다. 해당 확약은 작년 12월에 종료됐으며 추가로 연장하진 않았다. 유한양행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테라젠이텍스와 매년 3억원가량의 매입거래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테라젠이텍스 연간 매출액이 1500억원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유한양행을 주요 사업 파트너로 바라보기엔 한계가 있다.
이병만 부사장은 테라젠이텍스 기타비상무이사 임기를 시작한 2021년 3월부터 지난해 9월 말까지 이사회 참석률 100%를 기록 중이다. 이 부사장 이전에 테라젠이텍스 이사회를 챙긴 임원은 조욱제 대표였다. 조 대표는 유한양행 CEO 임기를 시작하기 직전인 2021년 3월까지 8년가량 테라젠이텍스 사외이사로 활동했다. 다만 2019년~2020년 이사회 참석률은 20% 미만으로 저조했다.
유한양행이 피투자사 경영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것은 투자 형태와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다양한 투자사에 자금을 분산하는 만큼 경영에 직접 참여할 정도로 의결권을 확보하는 사례가 많지 않다.
특히 관계기업으로 분류하는 조건인 의결권 20% 미만인 투자사도 15곳이다. 다만 임원의 선임 권한을 보유해 투자 기업에 유의적인 경영 영향력을 보유하면서 관계기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지분 투자의 목적이 기술력 확보이기 때문에 일부를 제외하면 투자사의 경영권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방침은 꾸준히 유지한다"라며 "내부 임원이 유한크로락스, 워랜텍 등 투자사 임원으로 이동한 사례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케이피에스, 세기리텍 품고 실적 '퀀텀점프'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시노펙스, 국내 최초 나노급 ePTFE 설비 구축
- [챗GPT발 AI 대전]국내 첫 GPT-3 서비스 꺼낸 SKT, 7년을 갈고 닦았다
- [삼성SDI 로드 투 아메리카]해외 R&D 허브 보스턴, 배터리 경쟁력 백년대계 담당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 컴투스 주주, '배당액 확인 후 투자 선택' 가능해 진다
- [블록체인 STO 유망주]금융 이해도 높은 웨이브릿지, ST 틈새시장 파고들까
- 에비드넷, 김일호 CFO 주도...상장 작업 착수
- 삼일제약, 북미 법인 자본금 납입 '해외 드라이브' 시작
심아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배당정책 리뷰]동아쏘시오홀딩스, '3년 300억' 배당목표 달성 근접
- [ESG 모니터]ESG 힘 싣는 SK케미칼, 여성 사외이사 부재 '고심'
- [조달전략 분석]현대두산인프라코어, 만기 구조 '단기화' 선택
- [CFO 성과 보수]삼성바이오, '조달+성장' 이끈 CFO에 후한 인센티브
- [배당절차 변화 바람]SK와 다른 길 택한 SK디스커버리
- [배당정책 리뷰]현대두산인프라코어, 배당 약속 지키며 TSR 개선
- [On the move]현대모비스, 낮아지는 TSR…IR 고도화 나설까
- [배당절차 변화 바람]한화그룹, 무배당 금융 계열사부터
- [제약사 IR 현주소]IR 공시 안내 제한적, 정보 공개 확대 '걸음마'
- [On the move]셀트리온헬스케어, CFO 공백 메우기 '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