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스마트싱스 대중화' 원년 목표 이룰까 한종희 부회장 연결성 강화 특명…앱 실행, 에어컨·공기청정기 전기료 절감 혜택
손현지 기자공개 2023-01-27 13:25:06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6일 14:0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겸 생활가전사업부장이 강조한 스마트홈 연결 플랫폼 '스마트싱스' 활용도를 높인 에어컨 신제품이 나왔다. 소비자가 앱을 통해 편리하게 자체 기기를 진단할 수 있고 전기료 절감 혜택까지 부여한 점이 특징이다.에어컨 등은 최근 가전업계 불황 속에서도 꾸준한 수요가 유지될 필수가전으로 꼽힌다. 한 부회장이 생활가전사업부에 '모든 앱으로 모든 장치를 제어하자'는 미션을 부여한 만큼 향후 스마트싱스 앱 가입자 확대에 기여할 지 주목된다.
◇삼성표 IoT, 스케일확장 나섰다
삼성전자는 26일 서울 우면동 R&D(연구개발)캠퍼스에서 '에어솔루션 신제품 발표회'를 열고 에어컨과 공기청정기 신제품을 공개했다. 냉방효율을 대폭 높인 '2023년형 비스포크 무풍에어컨'과 필터 교체 편의성을 높인 '비스포크 큐브 에어 공기청정기'다.
이번 신제품 주목 포인트 중 하나는 스마트싱스 활용도를 높여 제품간 연결성을 극대화한 점이다. 소비자가 '스마트싱스 홈 케어' 기능을 활용하면 자체적으로 기기를 진단하고 최신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새로 추가된 기능도 경험해볼 수 있다. 이지케어 8단계로 소비자가 편리하게 에어컨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점도 특징이다.
비스포크 무풍에어컨 갤러리 신제품은 소비자 자체 관리 기능을 총 8단계로 업그레이드한 것도 특징이다. 기존 스마트싱스를 통한 이지케어 AI에 새로 추가된 '항균 구리 극세 필터'는 에어컨으로 들어오는 큰 먼지를 제거하고, 황화구리 성분으로 유해세균 증식을 99.9% 억제해준다.

무엇보다 '스케일 확장'이 전제돼야 한다는 판단이다. 초연결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전략은 시장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뒤에야 다양한 사업모델을 구상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는 유튜브 수익 구조와 비슷한데 사용자가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때야 비로소 콘텐츠를 제공하는 크리에이터나 기업은 그에 걸맞은 수익을 낼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한 부회장은 "삼성전자를 포함한 수많은 기업이 경쟁적으로 스마트홈 플랫폼 내놨지만 아직 많은 소비자가 다양한 기기를 연결해 사용하는 데 제약을 느끼고 있다"며 "스마트싱스 대중화를 통해 불편들을 적극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소비자들의 플랫폼 선호도, 기기 이용 빈도 등 축적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사업성을 갖춘 서비스를 내놓겠다는 청사진이다.
그 첫 시작이 삼성의 스테디셀러 제품인 무풍에어컨이다. 무풍에어컨은 삼성이 2016년부터 '직바람 없는 에어컨'을 컨셉으로 출시한 뒤 7년간 혁신을 거듭했다. 작년 국내에서만 700만대가 팔렸다. 무풍이란 미국 냉공조학회(ASHRAE)기준 Cold Draft가 없는 0.15 m/s 이하의 바람을 의미한다.
올해부턴 생활가전 제품에 HCA(Home Connective Alliance) 표준을 적용해 13개 회원사의 기기를 연동할 계획이다. HCA는 다양한 가전업체의 자체 스마트홈 플랫폼을 서로 연동하기 위해 결성한 가전업체들의 협의체다. 삼성전자 뿐 아니라 LG전자와 일렉트로룩스, 하이얼, 아르첼릭 등 주요 가전업체들이 가입한 상태다.

◇냉방효율 높였다…"한달 7000원 전기료 절약"
이번 신제품은 기기간 연결성 편의성 뿐만 아니라 전기요금 부담을 크게 덜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 하다. 무풍에어컨 고객이 스마트싱스 내 '인공지능(AI) 절약 모드'를 실행하면 에너지 사용량을 20% 절감할 수도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냉방면적 56.1㎡(17평형) 제품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지난해 제품을 같은 환경에서 가동했을 때 한 달 전기료가 약 7000원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에너지 특화 모델'을 처음 도입한 점도 눈에 띈다. 지난해 제품보다 실외 열교환기 면적을 두 배 넓히고, 약 8% 큰 실외기 팬과 고효율 모터를 적용했다. 그 결과 에너지 소비효율 1등급 기준보다 냉방효율이 10% 더 높다. 이번에 선보인 비스포크 무풍에어컨 갤러리 신제품은 전 모델의 에너지 소비효율이 1~2등급이다.
친환경 요소도 배가시켰다. 기존에 갤러리 모델과 클래식에 적용했던 친환경 R32 냉매를 무풍 슬림 모델까지 확대 적용했다. 일회용 건전지가 필요없는 솔라셀 리모컨을 클래식 모델로 확대했다. 비스포크 무풍에어컨 갤러리 출고가는 322만~679만원(단품 기준)이다. 비스포크 무풍에어컨 클래식은 287만~312만원(단품 기준)이다.
이날 최영준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에어솔루션비즈그룹장(상무)은 "삼성전자의 국내 에어컨 시장 점유율은 50%가 넘는다"며 "올해도 비슷한 점유율을 이어가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지난해 국내 에어컨 시장 규모는 200만~250만대 수준이었고 올해도 비슷한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엠투엔, 작년 순이익 '흑전' 성공
- 대양엔바이오, 환경기초시설 개선 경진대회 금상 수상
- 모아데이타, 지난해 '최대 매출' 217억원 달성
- [상장 리츠(REITs) 대해부]롯데리츠, 운용자산 '11조+α' 목표
- 대동기어, 노재억 신임 대표이사 선임
- GTF "자회사 엘솔루, 코트라에 AI 번역솔루션 공급"
- [챗GPT발 AI 대전]'디지 AI' KT, 'B2B 친화+감성케어' 초거대 AI 차별화
- SK실트론, '장기공급계약' 덕에 반도체 불황에도 날았다
- [제약바이오 ESG 트래커]덩치 커져도 평가 제자리, 후계자 백인환 사장 나섰다
- 단기차입 급증한 네이버, 만기 도래하는 엔화대출
손현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넘버원 K-가전 기술]LG전자, '모터 기술력' 진화는 계속된다
- LG디스플레이, 수급보다 수주에 방점...경기민감도 해결할까
- 경동나비엔, 북미시장 정조준…'K-퍼내스'로 정면승부
- 컴투스 주주, '배당액 확인 후 투자 선택' 가능해 진다
- [이사회 분석]넷마블, 이사회 확대 개편… 의사결정 속도 높인다
- 컴투스의 첫 GCIO는 '투자 귀재' 송재준 사장
- 이사회 재편하는 컴투스, 높아진 '법무실' 위상
- [막오른 OLED TV 경쟁]왜 LG는 '올레드', 삼성은 '오엘이디'로 부르나
- 컴투스, '믿을맨' 이주환 전면에…송 형제는 해외 집중
- [막오른 OLED TV 경쟁]최종 승부처는 SW…운영체제에 AI 심는 삼성·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