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 Briefing]기아, 잭팟 이어가려면…인센티브 관리 '방점'주우정 CFO "경기침체, 브랜드 랭킹 변화 기회"
허인혜 기자공개 2023-01-30 08:34:28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7일 16:03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아의 영업이익을 좌우하는 요소 중 여러가지는 기업이 조절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환율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원자재 가격 상승과 반도체 수급 악화 등이 꼽힌다. 반면 기아가 방향타를 잡을 수 있는 항목들도 여럿 있다. 대표적인 요소가 판매촉진비와 가격이다.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쓴 기아는 '잭팟'을 이어갈 방법으로 인센티브 제어를 강조했다.주우정 기아 재경본부장(CFO·부사장·사진)은 27일 열린 기아 2022년 기업설명회(IR)에 참석해 "최대한 경쟁력 있는 판매촉진비 전략을 세우겠다"며 "인센티브를 올리더라도 가장 늦게, 또 가장 짧게(적게) 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영업이익의 플러스(+) 요인은 규모 순서대로 환율효과, 인센티브 절감, 가격효과, 판매증가 순이었다. 북미지역 매출 비중이 지난해 기준 39.5%로 가장 높았던 만큼 고환율의 수혜를 톡톡히 봤다. 지난 한해를 기준으로 2조4490억원이 환율효과로 더해진 이익이다.
다만 환율효과는 글로벌 경기 흐름에 따라 달라진다. 올해는 지난해 대비 환율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때문에 기아의 투자자들은 물론 기아도 올해 환율 하락에 따른 수익성 마이너스(-) 효과가 있을 것으로 봤다.
주 부사장은 "기아의 올해 실적 목표를 작성하며 환율 기준치는 1250원으로 잡았는데 사업계획을 기준으로 말한다면 1조1000억원 가량의 손실을 감안하고 있다"며 "환율은 앞으로를 모르는 부분으로 조심스러운 만큼 기민하게 관리하겠다"고 답했다.

환율효과를 빼면 영업이익을 가장 크게 늘린 요소는 인센티브 절감이다. 1조5010억원의 플러스 효과가 났다. 원자재 수급이 어려워지며 공급이 제한됐고, 이때문에 오히려 소비자와 공급자의 위치가 전복되면서 기업들이 가격이나 판촉비의 영향을 덜 받고도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그 중에서도 기아의 판촉비는 타 브랜드 대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차종별 구성비율을 뜻하는 '믹스' 개선도 올해의 과제로 꼽힌다. 세타2엔진 리콜비용과 재료비 등 고정비용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영업이익을 끌어내린 요소다. 다만 4분기만 놓고보면 플러스로 전환됐고 한해 분의 마이너스값도 360억원에 그쳐 상반기 대비 나아졌다. 지난해 2분기 말 믹스악화로 인한 손실은 -1920억원으로 집계됐다.
인센티브 절감 등을 고려한 기아의 올해 영업이익 목표는 9조원이다. 주 부사장은 목표치 달성 전망을 두고 "그림을 그린대로 가고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경기침체 우려에 대해 "시장 수요 타격이 있을 수 있어 대응할 계획"이라면서도 "위기라고 말하는 게 경영의 악화로 끝날 것인지, 아니면 기아처럼 브랜드 랭킹 변화를 기대하는 기업이 움직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지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엠투엔, 작년 순이익 '흑전' 성공
- 대양엔바이오, 환경기초시설 개선 경진대회 금상 수상
- 모아데이타, 지난해 '최대 매출' 217억원 달성
- [상장 리츠(REITs) 대해부]롯데리츠, 운용자산 '11조+α' 목표
- 대동기어, 노재억 신임 대표이사 선임
- GTF "자회사 엘솔루, 코트라에 AI 번역솔루션 공급"
- [챗GPT발 AI 대전]'디지 AI' KT, 'B2B 친화+감성케어' 초거대 AI 차별화
- SK실트론, '장기공급계약' 덕에 반도체 불황에도 날았다
- [제약바이오 ESG 트래커]덩치 커져도 평가 제자리, 후계자 백인환 사장 나섰다
- 단기차입 급증한 네이버, 만기 도래하는 엔화대출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G모빌리티 '다시 뛴다'는 것
- 유동성 늘린 HL홀딩스, 글로벌 행보 힘 받나
- "선대부터 내 꿈은 CSP" 동국제강, 브라질 제철소 '작별'
- [CEO 성과 보수]역대급 실적에 정의선 회장도 인센티브 '쏠쏠'
- [닻오른 HMM 매각]3월 첫발...매각 타임라인 점쳐보니
- [이사회 분석]아시아나항공, '안전보안 사령탑' 이사회 진입
- [닻오른 HMM 매각]국적 해운사 정체성 지키기 관건
- [KG모빌리티 로드 투 EV]전기차는 곽재선 회장의 '조커'가 될까
- [KG모빌리티 로드 투 EV]코란도 이모션, 동아줄과 비운의 작품 사이에서
- [KG모빌리티 로드 투 EV]KG모빌리티의 첫 전기차는 왜 13년만에 빛을 봤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