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투엔, 작년 순이익 '흑전' 성공 작년 연결기준 순이익 51억 달성, 매출 확대 불구 '빅배스 영향' 영업 적자폭은 확대
정유현 기자공개 2023-03-23 16:08:30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3일 16:0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엠투엔이 1년 만에 순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했다.엠투엔은 2021년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 51억5072만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엠투엔은 2021년 581억원의 대규모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으나 1년 만에 흑자로 전환됐다. 같은 기간 매출은 2.92% 증가한 284억5075만원, 영업손실은 48억4441만원으로 집계됐다.
빅배스는 흔히 경영진 또는 지배구조 변경 시기에 후임자가 부실자산 및 비용을 한 회계연도에 대규모로 반영해 위험요인을 일시에 제거하는 회계 기법을 의미한다. 향후 엠투엔은 전기차 부품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면서 빅배스 효과를 더해 ‘어닝 서프라이즈’를 이룬다는 목표다.
엠투엔은 지난 2월 1일 신한전기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 올해 1분기부터 전기차 부품 사업 실적이 엠투엔의 연결 재무제표 실적에 반영된다. 현재 진행 중인 합병이 예정대로 진행되면, 반기 실적에는 전기차 사업의 실적이 엠투엔 자체 사업으로 반영된다.
신한전기의 2022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매출액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45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7%, 24%씩 증가해 각각 25억원씩을 기록한것으로 집계됐다.
엠투엔 관계자는 “올해 전기차 부품 사업의 매출 및 이익은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2022년 대비 수주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석유화학 산업의 생산량도 증가하면서 스틸드럼 수주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엠투엔은 최근 법률 리스크를 해소한 상태다. 대법원의 파산신청 3심 기각 결정으로 최종 승소하면서 지난 2년간의 악의적인 주식관련 소송 및 파산신청 사건들이 모두 종결됐다.
엠투엔 관계자는 “기획적인 소송 등에 따른 리스크가 완전 해소돼 사업에 매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향후 사업 성장을 통해 주주 가치 제고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엠투엔은 이번 주주총회에 전기차 부품 제조업을 위한 정관 사업목적 추가를 안건으로 상정했으며 본격적으로 전기차 부품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주총 돋보기]엠로, 삼성SDS 중심 이사회 개편 '글로벌 정조준'
- 코스닥 이전 상장 노리는 '타스컴', 투자유치 추진
- 글로벌PE 빠진 재원산업 5000억 투자유치, 국내사 간 격전 '예고'
- 'MG·캐피탈사 호응' 라데팡스, 한미사이언스 투자 LP 명단 윤곽
- 위세아이텍, 외형보다 '수익성 제고' 방점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타이거일렉, 매출 성장 '신의 한 수' 베트남 진출
- '오케스트라PE 체제' 비전홀딩스, 씨제스스튜디오 전략적 투자 단행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생활금융 확장' 핑거, 실적 위축 파고 넘나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유니트론텍, 외형 확장 M&A의 명과 암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넥스틴, 신규 사업 '갤러리 운영' 진정성은
정유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주총 돋보기]엠로, 삼성SDS 중심 이사회 개편 '글로벌 정조준'
- 위세아이텍, 외형보다 '수익성 제고' 방점
- 세종텔레콤, ‘의료 실증연구 중심 혁신기관 간담회’ 참석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최대 순이익' 한국정보인증, 배당 동결 배경은
- [China Conference]“韓 팹리스·中 파운드리 맞손으로 반도체 패권 가능"
- [thebell interview]"통합 보안 플랫폼 구축, 영업익 200억 달성 목표"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다우기술 만난 한국정보인증, 성장 가도 '탄력'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17년 흑자' 한국정보인증, 외형 성장 기반 다졌다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제룡전기, 유일하지만 꾸준한 주주친화 정책 ‘배당’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제룡전기·제룡산업 떠받치는 '부자 경영' 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