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레시브딜 전환’ ABL생명 몸값, 폭등하나 복수의 새 원매자 등판, 3000억 이상 베팅 가능성 제기
김지효 기자공개 2023-09-15 08:30:17
이 기사는 2023년 09월 14일 11:2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ABL생명 인수전이 달아오르고 있다. 복수의 원매자가 추가로 등판하면서 매각가가 기존에 거론된 수준보다 폭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물로 나온 보험사 가운데 가장 매력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딜 막판에 원매자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14일 투자 업계에 따르면 ABL생명 매각 측은 이번 매각을 프로그래시브딜로 전환하고 지난주 재입찰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응찰한 곳 이외에 2곳 가량의 새 원매자가 등판한 것으로 전해진다.

프로그레시브딜로 전환되면서 매각가는 기존 원매자들이 제시한 수준보다 2배 가까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 시장에서는 ABL생명 지분 100%의 매각가로 1500억~2000억원 사이가 거론됐다. 다만 매각 측의 희망매각가는 3000억원 수준으로 전해지면서 가격 눈높이 차이가 너무 크다는 점이 걸림돌로 지목됐다.
하지만 복수의 원매자가 추가로 등장하면서 분위기는 반전됐다. 현재 원매자들 사이에서 ABL생명 매각가로 최소 3000억원 중반대가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프로그레시브딜을 통해 가격이 더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매각가가 당초 예상보다 2배 가량 높아지면서 기존 원매자 가운데 입찰을 사실상 포기한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BL생명은 중국 다자보험그룹이 소유하는 보험사로 다른 국내 보험사 매물보다 매물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말이 나왔다. 하지만 최근 매각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KDB생명 등 다른 보험사 매물과 비교했을 때 지급여력비율(K-ICS비율)이 높고 추가 자본 투입액도 적어 매력도가 높다는 평가다.
매각 측이 가격 협상에 속도를 내면서 이르면 다음주경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식매매계약(SPA) 체결은 다음달 진행될 예정이다.
ABL생명 매각주관사인 크레디스스위스(CS)는 지난달 본입찰을 실시했다. 본입찰에는 복수의 국내외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참여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382억 베팅' DS자산운용-청담인베, 큐알티 투자 하이라이트는
- '해상부유식 LNG 설비업체' 가스엔텍, 400억 투자유치 추진
- 한투증·IBK·스톤브릿지, SK 계열 '클렌코' 지분 30% 인수 완료
- [IPO 모니터]재도전 투게더아트, 공모 준비 '만전'
- '아슬아슬' CJ CGV, 시장맞춤형 전략 덕에 조달 순항
- [중복상장 다시보기]물적분할 5년 넘긴 SSG닷컴, 자발적 보호책 내놓을까
- 대신PE-스톤브릿지캐피탈, '코렌스이엠' 통큰 투자 배경은
- 1700억 모은 리벨리온, 펀딩 성사 포인트는 ‘KT’
- 라벨링·AI 모델 개발 '데이터메이커' 100억 펀딩 돌입, IPO 준비도 '착착'
- [HD현대마린솔루션 IPO]사전준비 마쳤다…이르면 다음주 예심청구
김지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1700억 모은 리벨리온, 펀딩 성사 포인트는 ‘KT’
- 매물로 나온 제이제이툴스, 몸값 '2배' 인정받을까
- 군공 출자사업 막바지, 대형 IMM PE·bnw인베 선정 ‘유력’
- 국내 최대 웨딩홀 ‘아펠가모’, 1500억 투자유치 포인트는
- '아이엠택시 운영' 진모빌리티, 최대 400억 투자유치 추진
- 자동차부품사 신영, '우협 협상 결렬' 500억 투자유치 재추진
- 릴슨PE-제이앤PE, 금남고속·중부고속 인수한다
- [2023 PMI 포럼]"사모펀드 제도 개선 이후 2년, 법적 리스크 주의 필요"
- [2023 PMI 포럼]"경기침체, 기업 부실화에도 대체투자 기회 있다"
- 정영균 하나증권 부사장, '피닉스다트 EOD 사태' 반전 꾀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