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생명과학, 최대 350억 전환사채 발행 추진 일반·영구 CB 발행 병행 전망, 차환·R&D 비용 확보 목적
김예린 기자공개 2024-11-25 08:15:39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2일 14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오롱생명과학이 최대 300억원을 조달하기 위해 메자닌 발행 절차에 나선다. 연구개발(R&D) 비용과 기존 차입금 상환 등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코오롱생명과학은 최대 15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CB)를 발행하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유진투자증권을 발행 주관사로 선정하고 복수 투자자들을 물색하고 있다. 이미 발행된 CB를 차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내 펀딩을 마무리하겠다는 목표다.
영구 CB 발행도 동시에 추진 중이다. 발행 규모는 최대 200억원가량으로, 일반 CB까지 포함하면 총 300억원대 펀딩에 돌입한 셈이다. 영구 CB는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돼 부채비율을 안정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추가 자금을 마련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올 6월 김천공장에서 화재가 발행해 순손실이 205억원 추가됐다.
코오롱생명과학은 같은 달 주주가 2019년 제기한 투자손실 손해배상청구 소송 1심에서 패소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상반기 소송충당부채로 313억원을 계상했다. 미래 성장동력인 신경병증 통증 유전자치료제(KLS-2031)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등 미국 임상도 한창 진행 중이다. 바이오신약 사업은 R&D 비용이 꾸준히 투입돼야 하고, 또 다른 주력 사업인 케미칼 부문 역시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자본확충에 나서는 모양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올 6월 최대주주인 코오롱으로부터 200억원을 수혈받았다.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이 활용됐다. 조달 목적은 운영자금 및 R&D 비용 충당이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일반 CB와 영구 CB 모두 발행을 검토하고 있으며, 규모는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각각의 CB 발행 시점에 차이가 있고, 일반 CB는 차환 차원이고 영구 CB는 R&D투자 및 자본확충을 위한 것으로, 발행 목적이 다르다는 설명도 내놨다.
코오롱생명과학 관계자는 "공시와 이사회 전이므로 세부적으로 답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중기부, 'K-딥테크 타운' 조성…100개사 지원
- 코스포, 아시아 유니콘 키운다…일본·대만 교류 확대
- 플러그링크, 연간 흑자 달성…투자 유치 청신호
- [VC 투자기업]현대엠시스템즈, 20억 시리즈B 추가 유치
- [글로벌로 진격하는 K-스타트업]'카피킬러' 무하유, B2B 사업 방점…IPO 작업 순항
- 메디치인베, 1000억 펀드 결성…드라이파우더 확보
- [VC 투자기업]뷰티 기업 스킨그랩, 미국 FDA 승인…글로벌 공략 박차
- 엠벤처투자 "상장폐지 막기 위해 모든 방법 동원"
- [16대 VC협회장 선거/thebell interview]박기호 대표 “펀딩·회수·글로벌 삼박자 성장 지원”
- '아모지' 투자 리딩한 SV인베, 글로벌 빅딜 '두각'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스튜어드파트너스, 홈케어 디바이스 '풀리오' 품었다
- 상장사 와이팜, 165억 자금 조달 추진 '딜 성사 목전'
- '빌리엔젤 운영' 그레닉스, 투자 하이라이트 'B2B 성장세'
- UCK파트너스, '800억' 설빙 인수금융 리캡 추진
- 코오롱티슈진, 500억 CB 발행 추진 '유진투자증권 주선'
- 차량용 전장부품 제조사 '이씨스', M&A 매물로 출회
- 녹수 품은 스틱, 2700억 인수금융 리파이낸싱 추진
- 원익PE, 영인에너지솔루션 100억 팔로우온 투자 단행
- [2024 PE 애뉴얼 리포트]스틱인베, 바이아웃·그로쓰·크레딧 투자 삼박자 '착착'
- 빌리엔젤 운영사 '그레닉스', 100억 투자 유치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