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 공급망 펀드 출자사업 'IMM·한투·코스톤·파라투스' 선정 대형·중소형 700억·300억씩 투입, 최소 1조 규모 펀드 출범 시동
김예린 기자공개 2024-11-22 18:33:45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2일 18시2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수출입은행이 총 2000억원을 출자하는 공급망안정화 펀드 출자사업 결과를 발표했다. 경쟁 끝에 IMM인베스트먼트(이하 IMM인베)와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한투PE), 코스톤아시아,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파라투스인베) 4곳이 승기를 쥐었다.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수출입은행은 올해 하반기 공급망안정화 펀드 운용사로 대형과 중소형 부문 각각 2곳씩 4곳을 선정했다. 향후 수출입은행 내부 의결 및 기획재정부 승인과 공급망안정화기금운용심의회 의결 완료 후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대형 부문에는 IMM인베와 한투PE를 낙점했다. 각각 700억원씩 총 14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중소형 부문에는 코스톤아시아와 파라투스인베가 이름을 올렸다. 각각 300억원씩 수출입은행에서 출자를 받게 된다. 대형과 중소형 펀드의 최소 조성금액은 각각 3500억원, 1500억원이다. 최소 1조원 규모의 공급망안정화 펀드가 출범하는 셈이다.
앞서 대형에는 프랙시스캐피탈과 JKL파트너스, 중소형에는 노앤파트너스와 키스톤프라이빗에쿼티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지난 21일 서류심사를 거쳐 숏리스트까지 선정됐지만, 최종 단계에서 아쉬운 결과를 맞이했다.
공급망안정화 펀드 출자사업은 경제안보상 중요한 핵심산업 공급망을 강화하고 관련 신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차원에서 진행됐다.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사전대비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차원이다.
투자 대상은 경제안보 품목·서비스를 영위하는 국내 기업이다. △소재·부품·장비산업 기업 △핵심전략기술 확인 기업 △첨단전략산업 확인 기업 △에너지·광물자원 기업 △해외농업자원 전략품목 기업 △공급망안정화 선도사업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한화 아워홈 인수 추진]'매도인 우위' 계약 조건, 삼녀 거절할 수 있을까
- '밸류업 시동' 나우IB, 이시스코스메틱 경영진 줄교체
- SV인베스트먼트, '2000억' BMC 리파이낸싱 추진
- [한화 아워홈 인수 추진]버티는 삼녀, 한화-장남·장녀 협상 완료에 의구심 지속
- 스튜어드파트너스, 홈케어 디바이스 '풀리오' 품었다
- [IPO 모니터]"구주매출 없다" 피라인모터스 상반기 상장 의지
- [발행사분석]장기채 고심하다 은근슬쩍 발뺀 나래에너지서비스
- 5500억 자본확충 이수페타시스, '기약없는 유증' 의미는
- [IB 풍향계]코넥스 강자 IBK증권, 중소형사 ECM 벤치마크 '부상'
- [발행사분석]등급 하향 트리거 터치 한화토탈, 투심 극복 '과제'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스튜어드파트너스, 홈케어 디바이스 '풀리오' 품었다
- 상장사 와이팜, 165억 자금 조달 추진 '딜 성사 목전'
- '빌리엔젤 운영' 그레닉스, 투자 하이라이트 'B2B 성장세'
- UCK파트너스, '800억' 설빙 인수금융 리캡 추진
- 코오롱티슈진, 500억 CB 발행 추진 '유진투자증권 주선'
- 차량용 전장부품 제조사 '이씨스', M&A 매물로 출회
- 녹수 품은 스틱, 2700억 인수금융 리파이낸싱 추진
- 원익PE, 영인에너지솔루션 100억 팔로우온 투자 단행
- [2024 PE 애뉴얼 리포트]스틱인베, 바이아웃·그로쓰·크레딧 투자 삼박자 '착착'
- 빌리엔젤 운영사 '그레닉스', 100억 투자 유치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