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 이사회 중심 경영을 묻다]잘 뽑은 사외이사, '회장님들'에게도 좋다④"경영진 업무 감독·중장기 전략 설정, 사외이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
박기수 기자공개 2024-12-03 08:13:21
[편집자주]
'기업을 움직이는 경영 주체는 어디인가'라는 질문은 오늘날 한국 재계에 끊임없이 던져지는 주제다. 대표이사와 사내이사, 그리고 기업 외 인물들을 뜻하는 사외이사로 구성된 이사회가 기업 의사결정의 최고 결정자여야 한다는 '이사회 중심 경영'은 재계 대다수의 공감대다. 다만 1인 혹은 소수 중심의 재벌 기업집단 문화에 오랫동안 절여진 한국 재계에 이사회 중심 경영 체제는 여전히 막연한 '뜬구름'에 가깝다. THE CFO는 한국의 대표적인 재벌 기업집단이면서도 이사회 중심 경영을 지향하고 있는 SK의 이사회 경영과 거버넌스 시스템을 살펴보고 그들의 고민과 해결방안을 들어 봤다.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7일 07:13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사회를 구성하는 인물들은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대표이사를 포함한 '사내이사', 회사에 상주하지 않지만 의결권을 가지는 '기타비상무이사'가 있다. 기타비상무이사는 모회사 등 주주 회사에 속한 임원들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기업 내 인물이 아닌 '사외이사'가 있다.상법에 따르면 2조원 이상인 대규모 상장회사는 3명 이상, 그리고 이사 총수의 과반수 이상을 사외이사로 선임해야 한다. 한국 경제를 이끌고 있는 대기업집단의 웬만한 계열사들의 이사회에는 사실상 사내이사보다 사외이사가 더 많다는 의미다. 상법 구조 상 사외이사들의 선택과 판단에 따라 기업의 주요 경영 안건의 실행 여부가 결정된다. 사외이사들이 거수기라면 이사회는 의미를 잃는 배경도 이런 데에서 비롯된다.
그만큼 이사회에서 '사외이사'의 중요성은 절대적이다. SK그룹은 사외이사를 어떻게 규정하고, 이들의 역할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을까.
채 담당의 말은 사실이다. 2022년 대우건설의 일이다. 당해 5월 대법원 민사2부(주심 이동원 대법관)는 경제개혁연대와 대우건설 주주들이 4대강 사업 입찰 담합 관련 감시의무 위반을 이유로 사내·외 등기이사 등 10명을 상대로 낸 주주대표소송 사건(2021다279347)에서 사외이사들도 4650만원~1억200만원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던 바 있다.
재판부는 당시 "회사의 업무집행을 담당하지 않는 사외이사 등은 내부통제시스템이 전혀 구축되어 있지 않는데도 내부통제시스템 구축을 촉구하는 등의 노력을 하지 않거나 내부통제시스템이 구축돼 있더라도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다고 의심할 만한 사유가 있는데도 이를 외면하고 방치하는 등의 경우에 감시의무 위반으로 인정될 수 있다"고 판시했다.
대기업집단이 거대화하면서 오너 기업집단 지배구조의 약점 중 하나는 '1인' 혹은 '소수'의 판단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몸집이 커질 수록 고용되는 전문경영인들의 숫자가 많아지고, 오너의 이해관계와 경영인의 이해관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오너는 기업의 영속을, 전문경영인은 단기적 성과와 개인의 영달에 관심사가 있을 여지가 많다.
오너와 경영인의 이해관계가 갈라진 상황에서 경영인의 판단에 기업의 중장기 지속가능성이 저해되는 경우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대표이사가 연임을 위해 무리한 M&A를 시도하다가 사내 현금을 과도하게 사용하고, 인수한 기업도 기대와 달리 부진할 경우 기업은 현재 재무상태가 악화하고 미래 지속가능성도 낮아진다. 이런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로 SK는 '이사회'를 내걸고 있다. 이사회 중심 경영이 결국 '재벌', '오너'에게도 좋다는 결론으로 귀결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한컴라이프케어, 북미 방독면 독점 공급 계약 체결
- 서울리거, 200억 조달 '유통에서 제조까지' 밸류체인 구축
- [i-point]채비, CES 2025서 전기차 충전 기술 소개
- [HD현대그룹 밸류업 점검]'막내' HD현대마린솔루션, 현금배당 중심 주주환원 확립
- [유동성 풍향계]'최대실적' 현대트랜시스, 모빌리티 투자 '베팅'
- [JPM 컨퍼런스 2025]한미약품에 남다른 의미, 20년 참여 임주현 대신 '최인영'
- 세라젬, 슬립테크 기업 에이슬립과 MOU 체결
- 장현국 대표, 액션스퀘어 지배력 '30%' 확보 시동
- 구찬우 대방건설 대표, '안전경영' 의지 강조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 빗썸, 임직원 급증 탓 깊어지는 '사옥 마련' 고민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OE 분석]한화솔루션, ROE -20% 육박…뼈아픈 태양광 부진
- '부채비율' 삼성전자 27% vs 애플 310%, 재무구조 함의는
- [ROE 분석]현대글로비스, 부동의 ROE 두 자릿수…주주 성과 강자 입증
- [ROE 분석]HMM, 해운업 불황 우려 불식…ROE 또 '두 자릿수'
- '부채비율 낮춰라'…금양 살리기에 팔 걷어붙인 류광지 회장
- [ROE 분석]한전, 요금 인상이 답이었다…1년 만에 ROE 43%p 상승
- [thebell note]계엄 없는 2025년을 희망하며
- [ROE 분석]멈추지 않는 기아의 질주…2년 연속 ROE 20%대 목전
- [ROE 분석]방산 특수 한화에어로, ROE 유지 비결 '레버리지 효과'
- [캐시플로 모니터]한미반도체, 현금흐름에서 드러난 '잘 나가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