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인사 풍향계]'전략·재무' 중용 현대건설, 4년 만에 부사장 배출유명근 경영지원본부장 승진, 2021년 플랜트 출신이 마지막…CFO도 전무 영전
전기룡 기자공개 2024-12-11 07:52:04
이 기사는 2024년 12월 10일 17:0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건설이 부사장 체제를 확고히 했다. 현대건설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한우 대표(부사장·사진)와 함께 현대자동차 출신인 유명근 경영지원본부장(전무)이 회사 내 단 두 명뿐인 부사장으로 근무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회사의 전략과 재무 파트를 총괄하고 있는 인물들을 전무로 승진시킨 점도 눈에 띈다.현대자동차그룹은 10일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그룹 계열사에서 승진에 성공한 임원은 239명이다. 이 중 현대건설에서는 부사장 1명과 전무 2명, 상무 12명 등 15명이 승진자 명단에 포함됐다. 현대건설 내 유일한 부사장 승진자는 경영지원본부를 이끌고 있는 유 전무다.
유 부사장 내정자는 1968년생으로 중앙대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현대자동차에 입사해 신사옥태스크포스(TF)팀장, 비즈니스지원실장 등을 거쳤다. 현대자동차에서 현대건설로 적을 옮긴 시점은 2020년이다. 현대건설에 합류한 이후에는 줄곧 경영지원본부장으로 근무해 왔다.
향후 대표이사로 선임된 이 부사장과 함께 현대건설 내 최고 직급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달 임기를 3년여 남겨놓은 윤영준 전 대표이사(사장)를 대신해 내부 공채 출신이자 주택사업본부장으로 근무하고 있던 이 부사장을 현대건설의 대표이사로 선임한 바 있다.
부사장이 대표이사로 선임된 만큼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뒤따랐다. 현대건설이 현대자동차그룹에 편입된 직후 대표이사 자리에 오른 인물은 현대엠코 출신인 김창희 부회장이다. 이후 대표이사 자리에 오른 정수현 전 사장과 박동욱 전 사장, 윤 전 사장 모두 '사장'으로서 회사를 이끌었다.
부사장이 현대건설의 대표이사 자리를 차지한 이력이 존재하지만 비공식에 가깝다. 플랜트사업본부장이었던 이원우 전 부사장이 박 전 사장에서 윤 전 사장으로 세대교체가 이뤄지는 과정에 발생한 공백기를 메꾸는 형태였기 때문이다. 그룹 편입 이래 공식적인 부사장 대표이사는 이 부사장이 처음이다.
세대교체의 신호탄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 부사장이 전임 대표이사보다 13살 젊은 1970년생이란 점이 한 몫 했다. 과거 1962년생인 박 전 사장이 50대 중반의 나이로 대표이사 자리에 오르자 16명에 달하는 임원진이 짐을 쌌던 기록도 있다. 윤 전 사장은 1957년생으로 박 전 사장보다 오히려 나이가 많아 변화가 크지 않았다.
부사장 2인 체제가 구축된 만큼 이 신임 대표가 겸직하고 있던 주택사업본부장 자리를 건축주택설계실장 출신의 이인기 상무에게 물려주는 작업도 수반됐다. 이와 함께 과거 인사실장으로 근무했던 구영철 전략기획사업부장(상무)과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맡고 있는 김도형 재경본부장(상무)를 전무로 승진시키는 결정도 내렸다.
구 전무 내정자는 현대건설 공채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달리 김 전무 내정자는 현대자동차가 한국정책금융공사로부터 현대건설 지분 11.5%를 매입해 최대주주에 올랐던 시점에 합류한 그룹 출신이다. 구 전무와 김 전무는 각각 1972년생, 1973년생으로 전무 중에서는 젊은 축에 속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Company Watch]'데이터센터 자연 냉각' 신테카바이오 '흰개미집' 눈길
- [Auction highlights]서울옥션 빠진 1월 경매, 케이옥션 김환기로 첫 출발
- [공연 티켓 파워]SM엔터, 30주년 콘서트 '완판 그 이상'
- [i-point]노을, 첫 번째 미국 내 임상 연구 결과 발표
- [i-point]라온시큐어, AI 기반 딥페이크 탐지 모바일 앱 출시
- 이사진 새로 짠 보령컨슈머, 보령 의존 줄여 수익확대 방점
- [i-point]한컴위드, 양자내성암호 국방 과제 수주
-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 '품질·R&D·공정' 믿을맨 배치
- 디앤디파마텍의 뉴랄리 '파트너십', 진단제 개발비 줄인다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메드팩토, 최대주주 매각 상관없이 '신약·진단' 본궤도 원년
전기룡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1세대 생존기]'영업이익률 40%대' 리노공업, 현금곳간 3400억대
- [코스닥 1세대 생존기]'이채윤 회장 체제' 리노공업, 지분승계 작업 '아직'
- 'CES 2025 성료' 세라젬, 예비 파트너십 구축 성과
- [코스닥 1세대 생존기]'과감한 재투자' 리노공업, 시총 3조 달성 원동력
- [i-point]'큐브엔터 계열' 아더월드, SL:U 두 번째 시즌 공개
- [i-point]'FSN 계열' 부스터즈, 104억 신규 투자 유치
- [코스닥 1세대 생존기]장수기업 절반 상폐, 상위 150위권 중 30곳 명맥유지
- [i-point]'솔로 데뷔' 민니, 첫 콘셉트 포토 공개
- [i-point](여자)아이들 민니, 첫 솔로 미니앨범 발매
- [i-point]노을, MHRA 등록 완료…영국 진출 가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