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동양생명 M&A]'안성연수원' 매각해 자본비율 높인다불용 부동산 처분과 함께 검토, 최대 2조원 확보 계획…초읽기 들어간 '조건부 승인' 총력전
최필우 기자공개 2025-05-07 13:33:57
이 기사는 2025년 04월 30일 15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이 경기도 안성시 소재 안성연수원 매각을 검토한다. 자본비율 제고 목적으로 수도권 소재 불용 부동산 매각에 착수한 데 이어 안성연수원까지 처분하기로 했다. 안성연수원을 포함해 계획하고 있는 부동산 매각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최대 2조원까지 자금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잇따른 부동산 매각은 동양생명 인수 조건부 승인을 위한 조치다. 우리금융은 경영실태평가 3등급을 받아 경영 개선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금융위원회의 자회사 편입 승인을 받을 수 있다. 밸류업 프로그램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유상증자를 단행하기보다 부동산 매각을 통해 자본비율을 높이는 게 낫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수년째 미뤄온 연수원 처분 논의 '급물살'

안성연수원은 우리은행의 전신인 한일은행 시절부터 사용하던 장소다. 한일은행과 상업은행 합병으로 우리은행이 출범하고 외형이 커지면서 안성연수원 사용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견해가 줄곧 제기됐다. 인력 수용에 한계가 있고 연수원 건물 증축 허가를 받는 것도 녹록지 않았다.
우리금융이 2019년 지주사 체제로 전환한 후에는 연수원 이전 필요성이 한층 커졌다. 비은행 계열사를 인수하면서 연수원이 수용해야 하는 인력이 대거 늘었기 때문이다. 각 계열사가 추진하는 행사나 교육 날짜가 겹칠 때는 일정을 재차 조율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 하지만 연수원 증축과 처분 사이에서 결단을 내리지 못한채 수년이 흘려보냈다.
최근 안성연수원 처분 논의는 급물살을 탔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체제에서 우리투자증권이 출범한 데 이어 동양생명과 ABL생명 인수를 눈앞에 두면서다. 보험사가 추가되면 우리은행에 이어 그룹 내 두번째로 많은 인력을 보유한 계열사가 된다. 우투증권은 추가 인수합병으로 외형을 더 키울 계획이다. 진행 중인 비은행 포트폴리오 보강이 완료되면 안성연수원 사용을 지속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임 회장은 현 안성연수원 인프라가 종합금융그룹 위상에 걸맞지 않다고 보고 있다는 후문이다. 신입행원 연수, 임직원 워크숍 등을 진행하려면 개선된 시설이 필요하다는 게 임 회장의 지론이다. 그룹 CEO가 인프라 개선 의지를 갖고 있는 만큼 연수원을 이전하거나 신축할 곳이 확정되면 안성연수원 처분에 속도를 낼 수 있을 전망이다.
◇2일 자회사 편입 조건부 승인 관측…부동산 매각으로 명분 챙겼다
자본비율 제고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재무방침도 안성연수원 매각에 영향을 미쳤다. 우리은행은 이달 서울 소재 여의도북지점을 포함한 7개 불용 부동산 공개 매각에 착수했다. 매각 차익으로 자본을 축적하고 자본비율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자본비율 개선을 위해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를 강화한 데 이어 부동산 매각 카드도 꺼내들었다.
부동산 매각을 통한 자본비율 제고는 동양생명 자회사 편입 승인을 받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우리금융은 올해 경영실태평가 3등급을 받았다. 이 경우 자본금 확충, 부실자산 매각 등 구체적인 경영 개선 조치가 있어야 금융위의 조건부 승인이 가능하다. 우리금융은 내부통제 시스템 개선과 부동산 매각을 통한 자본비율 제고 계획 수립으로 명분을 챙겼다. 금융권에선 다음달 2일 금융위 정례회의에서 조건부 승인이 확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안성연수원을 포함한 부동산 매각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2조원에 육박하는 수준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금융은 올해 1분기 12.42%까지 개선한 보통주자본(CET1)비율을 추가로 높여야 영업 동력을 만들 수 있다. 동양생명과 ABL생명 인수가 CET1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우투증권 IB 비즈니스 확장과 RWA 성장 한도 상향을 위해 CET1비율이 뒷받침돼야 한다. 기업대출 잔액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는 우리은행도 반등을 도모할 수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안성연수원 처분 필요성은 과거부터 꾸준히 제기됐는데 그룹이 커지면서 더 이상 미룰 수 없게 됐다"며 "부동산 처분을 통한 자본비율 관리 계획까지 고려됐고 이전 계획이 마련되면 매각 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신한PWM, 압구정로데오에 네번째 패밀리오피스 낸다
- [보험사 신성장 동력]하나생명 요양업에도 하나더넥스트…남다른 그룹 지원
- [메리츠화재는 지금]금융지주 주주환원 기둥…올해 축포 터뜨릴까
- [금융지주 RWA 매니징 점검]JB금융, 아직 끝나지 않은 'RWA 고성장' 전략
- [캐피탈사 재무 구조 점검]강화된 규제 속 재무 안정화, 잠재 리스크 대비 '만전'
- [보험사 CSM 점검]저축성 대폭 줄인 농협생명, CSM 주춤
- [여전사 해외법인 AML 점검]카드·캐피탈사, 사각지대 아니다…AML 리스크 경고등
- [금융지주 RWA 매니징 점검]하나금융, '비은행 힘싣기' RWA 관리 난이도 높아진다
- [하나캐피탈은 지금]짙어진 은행 색채, 전문성 중점 조직 책임자 발탁
- [메리츠화재는 지금]보수적 가정으로 업계 최상위권 킥스비율 달성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지주 RWA 매니징 점검]JB금융, 아직 끝나지 않은 'RWA 고성장' 전략
- [금융지주 RWA 매니징 점검]하나금융, '비은행 힘싣기' RWA 관리 난이도 높아진다
- [Peer Match Up/BNK vs JB]JB는 '동남아' BNK는 '중앙아' 바라본다
- [금융지주 RWA 매니징 점검]하나금융, 기업금융 성장 속도 조절 빛 발했다
- [금융지주 RWA 매니징 점검]신한금융, '카드업 1위' 짊어져야 할 무게
- JB금융, 인니 KB뱅크와 협상 테이블 차린 배경은
- [Peer Match Up/BNK vs JB]지방금융 숙명 '연체율 관리' 차별화된 해법 찾는다
- [금융지주 RWA 매니징 점검]신한금융, 리딩뱅크 방법론 '외형 확대→내실 성장' 전환
- [금융지주 RWA 매니징 점검]우리금융, RWA 먹는 하마 '우투증권' 키우기 본격화
- [Peer Match Up/BNK vs JB]자본비율 개선 경쟁하는 전현직 JB금융 C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