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Index/손해보험]가중부실자산비율 상승 기류 속 6곳 '개선'[자산건전성]②업계 평균치 0.21% → 0.24%로 0.03%p 상승…10개사 지표 악화
강용규 기자공개 2025-06-18 08:16:16
[편집자주]
기업은 숫자로 말한다. 기업의 영업·투자·재무활동의 결과물이 모두 숫자로 나타난다. THE CFO는 기업이 시장과 투자자에 전달하는 각종 숫자와 지표(Financial Index)들을 집계하고 분석했다. 숫자들을 통해 기업집단에서 주목해야 할 개별 기업들을 가려보고 그룹의 재무적 변화를 살펴본다. 그룹 뿐만 아니라 업종과 시가총액 순위 등 여러 카테고리를 통해 기업의 숫자를 분석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6월 12일 07시24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손해보험사들의 가중부실자산비율이 1년 사이 높아졌다. 손보업계의 자산건전성이 1년 사이 악화했다는 의미다. 롯데손보가 국내 손보사들 중 가장 높은 가중부실자산비율을 기록했으며 메리츠화재는 지표가 가장 많이 상승했다.THE CFO의 집계에 따르면 국내 손해보험사들 중 2024년 말 기준으로 국내 손보사들 중 외국계 재보험사 지점들을 제외한 19개 손보사의 가중부실자산비율 평균치는 0.24%로 전년 말 대비 0.03%p(포인트) 높아졌다.
가중부실자산비율은 보험사 자산건전성 분류대상 자산 가운데서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평가되는 가중부실자산(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의 금액을 자산건전성 분류대상 자산의 총액으로 나눈 값이다. 비율이 높을수록 자산건전성이 좋지 못함을 의미한다.
가중부실자산비율이 가장 높았던 보험사는 0.95%의 롯데손보다. 분자에 해당하는 가중부실자산 규모가 1332억원, 분모에 해당하는 자산건전성 분류대상 자산 규모가 13조9848으로 전년 말보다 각각 29%, 7%씩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2024년 12월말 기준 PF로 인해 부실자산비율이 일시적으로 높아진 것"이라며 "해당 PF는 2025년 1월 해당자산이 할인 매각돼 현재 부실자산비율은 2024년 12월 보다 감소된 상태"라고 말했다.
캐롯손보(0.75%), MG손보(0.65%), 흥국화재(0.47%), 메리츠화재(0.34%), DB손보(0.29%)등이 롯데손보의 뒤를 이어 업계 평균보다 높은 가중부실자산비율을 기록했다.
라이나손보와 카카오페이손보는 가중부실자산을 보유하지 않아 비율이 가장 낮은 0.00%로 나타났다. 두 손보사의 자산건전성 분류대상 자산 규모는 각각 5742억원, 934억원이다. 신한EZ손보 역시 비율이 0.00%로 집계됐는데 이는 자산건전성 분류대상 자산 보유액 2024억원 대비 가중부실자산 금액이 200만원으로 미미했기 때문이다.

19개 손보사 중 10개사가 1년 사이 가중부실자산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폭이 가장 컸던 곳은 메리츠화재로 2023년 말 0.13%에서 지난해 말 0.34%로 0.21%p 높아졌다. 자산건전성 분류대상 자산이 41조5893억원으로 7% 늘어나는 동안 가중부실자산은 1406억원으로 무려 188% 급증했다.
롯데손보(0.16%p), 캐롯손보(0.14%), MG손보(0.10%p), SGI서울보증(0.07%p), 현대해상(0.05%p), 삼성화재(0.04%p) 등이 메리츠화재의 뒤를 이었다. KB손보와 하나손보, AIG손보 등 3개사 역시 가중부실자산비율이 0.02%p씩 각각 높아졌다.
6개사는 1년 사이 가중부실자산비율을 낮춰 자산건전성을 개선했다. 지표 낙폭이 가장 컸던 손보사는 코리안리로 2023년 말 0.29%에서 작년 말 0.09%로 0.20%p 낮아졌다. 자산건전성 분류대상 자산이 12조605억원으로 11% 증가한 반면 가중부실자산은 105억원으로 66% 감소했다.
코리안리의 뒤를 이어 DB손보(0.12%p), 라이나손보(0.09%p), 악사손보(0.07%p), 한화손보(0.05%p), NH농협손보(0.02%p)도 자산건전성 개선에 성공한 손보사로 이름을 올렸다.
카카오페이손보, 흥국화재, 신한EZ손보 등 3개사는 1년 사이 가중부실자산비율의 변동이 없었다. 카카오페이손보는 2023년 말과 작년 말 모두 가중부실자산을 보유하지 않았으며 흥국화재는 가중부실자산이 538억원에서 563억원으로 늘었다. 신한EZ손보의 경우 2023년에는 가중부실자산이 없었으나 지난해에는 200만원을 보유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케이사인, 양자내성암호 솔루션·인증서 발급 시스템 출시
- [피플 & 보드]박진영, JYP엔터 이사회 출석률 0%…명목상 등기임원
- [thebell note]롯데카드가 바라는 새 주인은
- [사외이사 보수 리포트]100대 기업 사외이사 평균 연봉 8400만원
- [포스코의 CFO]정경진 부사장, 포스코인터 차질 없는 성장투자 과제
- [이사회 분석/대한조선]이사회 ‘독립성’ 강화…지배주주 빠졌다
- [이사회 분석/메리츠금융]책무구조도 규정 보니…'감시와 집행 분리' 구조적 개선
- [Board Change]현대건설, CFO 사내이사 전통…이형석 이사회 합류
- [다시 ESG, 이사회 역할은]'껍데기' ESG위원회, 단순 IR 보고 기관 전락 막으려면
- [지배구조 분석/셀트리온]외부 조달로 지배력 늘리는 홀딩스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포스코의 CFO]정경진 부사장, 포스코인터 차질 없는 성장투자 과제
- [포스코의 CFO]정대형 포스코퓨처엠 전무, 투자 지속-재무개선 병행 과제
- [Financial Index/자동차보험]DB손보, 손익 1위 유지…하나손보 개선 '유일'
- [Financial Index/자동차보험]삼성화재 규모 '1위' 공고…캐롯손보 성장세 돋보여
- [Financial Index/자동차보험]삼성화재 사업비율 최저치, 캐롯손보는 최대 개선폭
- [Financial Index/자동차보험]DB손보 최저 손해율, 최대 개선폭은 캐롯손보
- [현대차그룹의 CFO]권오현 상무, '격변기' 현대위아 건전성 방어 과제
- 재무의 시스템화와 CFO의 덕목
- [캐시플로 모니터]HD현대중공업, 1분기 현금 1.5조 축적…호황 효과 본격화
- 장인화 회장, '2코어+뉴엔진'으로 포스코그룹 성장기반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