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물류사 분석]롯데글로벌, FI 풋옵션 '잘 막았다'②풋옵션 금리 3%대 추정, IPO 실패 불구 금리 부담 '제한적'
이영호 기자공개 2025-06-17 07:51:52
[편집자주]
대기업 그룹 산하 물류사업은 눈에 띄진 않지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계열사 물류를 책임지며 그룹 자원이 적시적소에 배치되도록 하는 핏줄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로켓배송을 앞세운 쿠팡의 약진과 경제 불황 여파로 물류사는 저수익성과 실적 정체에 시달리고 있다. 이들 기업의 최근 실적 추이와 재무 특성을 분석하고 앞으로 어떤 성장 궤도를 보여줄지를 조망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6월 13일 13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에이치프라이빗에쿼티(PE) 피투자 8년 만에 투자 대금을 상환했다. 3800억원에 달하는 거금이 한꺼번에 빠져나가게 됐지만, 예상보다 에이치PE 풋옵션 조건이 가혹하지 않았다는 평가도 나온다. 당시 투자 풍토를 감안할 때 롯데그룹과 재무적투자자(FI) 간 타협의 결과로 해석된다.◇에이치PE, 2017년부터 2대 주주로
롯데글로벌로지스가 에이치PE를 주요 주주로 받아들인 건 2017년 1분기였다. 2016년 말 기준 회사 5% 이상 주주 명단에는 △이지스1호 17.76% △롯데케미칼 17.54% △호텔롯데 13.92% △롯데리아 13.70% △롯데로지스틱스 11.13% 순이었다.
이 가운데 이지스1호는 특수목적법인(SPC)으로 롯데글로벌로지스의 전신 격인 현대로지스틱스 지분 88.8%를 쥐고 있었다. 2014년 현대그룹이 현대로지스틱스를 매각하는 과정에서 세워진 법인이다. 이 SPC에는 롯데그룹 자금뿐만 아니라 일본의 오릭스코퍼레이션, 현대상선 자금도 투입됐다.
2016년 11월 롯데그룹은 현대로지스틱스 경영권을 인수하기 위해 이지스1호 보유 현대로지스틱스 지분 71%를 매입했다. 이후 현대로지스틱스 사명은 롯데글로벌로지스로 변경됐다. 롯데그룹이 매입하지 않은 이지스1호의 잔여 지분 17.76%는 2017년 1분기 에이치PE가 매입했다. 에이치PE가 구주 매입와 유상증자를 위해 투입한 투자금은 약 2860억원인데 당시 롯데글로벌로지스 밸류에이션은 1조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그 결과 2017년 1분기 주주 구성은 △엘엘에이치 17.76% △롯데케미칼 17.54% △호텔롯데 13.92% △롯데리아 13.70% △롯데로지스틱스 11.13%로 변경됐다. 엘엘에이치는 에이치PE가 롯데글로벌로지스 투자를 위해 세운 비히클이다. 주주 지분율 변동 없이 이지스1호 지분만 소유주가 바뀌었는데, 이때는 신주 발행 없이 구주매출만 이뤄졌다.

이후 에이치PE는 1500억원 유상증자에 참여하면서 주요 주주들의 지분율 구성에 변화가 있었다. 그 결과 엘엘에이치의 지분율은 같은 해 2분기 31.59%까지 뛰었다. 회사 부채비율도 2016년 말 200.5%에서 2017년 말 124.3%로 줄었는데 FI 신규자금 유입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엘엘에이치의 지분율이 21.87%로 내려왔는데 2019년 롯데글로벌로지스와 롯데 계열 물류사 합병 등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이치PE는 장기간 롯데글로벌로지스의 2대 주주 겸 단일주주 기준 최대 지분율을 가진 주요 주주였다.
◇롯데, 풋옵션 내주고 금리 실리 챙겼나
금번에 롯데그룹이 에이치PE에 돌려준 금액은 도합 3800억원이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풋옵션 비용을 상환하는 게 아니라 주요 주주인 롯데지주와 호텔롯데가 갚아주는 구조다. 주주간계약이 공개된 것이 아니기에 에이치PE의 풋옵션 조건이 구체적으로 공개되진 않았다.
다만 금번 상환 금액과 2017년 당시 투자금을 역산하면 연간 이자율은 약 3.5%로 추정된다. IB업계 관계자들도 "의외로 에이치PE가 내건 풋옵션 금리가 높지 않았다"는 반응을 내놨다.
롯데글로벌로지스가 기업공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페널티로 가산금리가 붙었을 것을 감안하면, 롯데 측이 부담한 풋옵션 금리가 절대적으로 높다고 보기엔 어렵다. 롯데글로벌로지스 입장에선 8년간 납득할만한 수준의 이자로 대출금을 끌어다 쓴 격이다.
그렇다고 에이치PE가 밑지는 장사를 했다고 보긴 어렵다. 최근 투자시장이 경색되면서 대기업이 사모펀드 운용사의 풋옵션을 받아주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고 있지만,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대기업이 풋옵션 요구를 들어주는 경우는 보기 힘들었다. 대신 대부분 FI가 '콜앤드래그(Call and Drag)' 수준으로 타협했다. 사실상 대기업 자율에 맡기는 불완전한 안전장치였다.
에이치PE의 경우 소위 높은 수준의 고금리 안전장치는 아니다. 하지만 에이치PE가 당시 롯데에게서 풋옵션을 받아낸 것만 하더라도 상당한 소득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결과적으로 IPO가 좌절되면서 자칫 투자금 회수가 어려울 수 있었지만 풋옵션으로 투자원금과 이자를 확보했다. 롯데 측은 FI에 풋옵션을 양보해 안전장치를 마련해준 대신, 금리 부담을 크게 낮추는 방향으로 타협한 결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32억 투자받은 네온테크, 산불감시 AI 드론 개발 시동
- [IR Briefing]엔알비 "OSC 로드맵 발맞춤, 최초 사례로 시장 선점"
- [한화의 CFO]윤안식 한화솔루션 CFO, '태양광 사업' 안착 후 재무안정 고심
- [i-point]큐브엔터 '나우즈', 글로벌 차트 존재감 입증
- [Sanction Radar]알테오젠 마지막 퍼즐 '생산' 트럼프에 중단된 오리온 협업
- [보안산업+블록체인 콜라보]안랩, B2B 플랫폼 사업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
- [i-point]신성이엔지, 223억 규모 정부과제 주관 선정
- [포스코의 CFO]정대형 포스코퓨처엠 전무, 투자 지속-재무개선 병행 과제
- [i-point]엑스플러스, 200억대 투자 통해 B2C 전환 시동
- 더블유게임즈, M&A 카드로 주주불만 잠재우나
이영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법 개정안 통과]'감흥 없는' 고려아연, 분쟁 경험 이미 '단련됐다'
- [상법 개정안 통과]'예방주사 맞은' 두산, 흔들림 없다
- [thebell note]'성역'에서 벗어나고 있는 대주주 경영권
- 현대글로비스, 물류센터에 '드론 투입'...AI로 자동화
- '비용절감 효과' SK렌터카, 1분기 수익성 '상승세'
- '4번째 미주노선' 에어프레미아, 확고한 장거리 전략
- [상법 개정안 통과]'분쟁 불씨' 한진칼, '3%룰'이 더 두렵다
- '이상윤 체제' 티웨이항공, 키맨 '안우진 부대표-서동빈 총괄'
- CJ대한통운, '영업통' 조나단 송 영입...글로벌부문 '중책'
- 3400억 조달 코스모그룹, 캐즘 불구 유리한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