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증&디테일]'메타케어 편입' 메타랩스, 수익성 개선 '기대감'상장유지요건 강화에 선제 대응…사업 포트폴리오 조정
김지원 기자공개 2025-06-18 09:03:44
[편집자주]
자본금은 기업의 위상과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대표 회계 지표다. 자기자금과 외부 자금의 비율로 재무건전성을 판단하기도 한다. 유상증자는 이 자본금을 늘리는 재무 활동이다. 누가, 얼마나,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근간이 바뀐다. 지배구조와 재무구조, 경영전략을 좌우하는 이벤트이기 때문이다. 더벨은 유상증자 추진 기업들의 투자위험 요소와 전략 내용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6월 17일 16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피 상장사 메타랩스가 관계사 메타케어를 연결 대상 종속회사로 편입한다. 올해 초 거래소가 상장 유지 요건을 단계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선제적으로 매출 규모를 키우고 수익성을 개선하는 차원에서다. 계열사 간 포트폴리오 재편을 위해 헬스케어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 모모랩스의 지분도 메타케어에 양도했다.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메타케어는 이달 20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한다. 주당 액면가액은 500원으로 총 700만주를 발행해 35억원을 조달한다. 확보한 자금 전액은 올해 운영자금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제3자배정 대상자는 최대주주인 메타랩스다. 메타랩스는 지난해 8월 기존 최대주주였던 초록뱀미디어로부터 에스메디(현 메타케어) 주식 4615만4281주와 경영권을 인수하며 새 최대주주 자리에 올랐다. 이후 전환권을 행사하며 지분율은 지난해 말 기준 34.62%로 높아졌다. 이번 유상증자가 종료되면 메타랩스의 지분율은 37.28%로 소폭 높아진다.
메타랩스는 신주 취득 후 메타케어를 연결 대상 종속 기업으로 편입할 예정이다. 올해 초 거래소가 상장유지 요건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코스피 기업의 경우 오는 2029년까지 퇴출 요건이 '시가총액 50억원·매출 50억원 미만'에서 '시가총액 500억원·매출 300억원 미만'으로 조정된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메타랩스의 연결 대상 종속기업은 메타에스앤씨와 모모랩스 두 곳이다. 메타랩스가 각각 지분 100%, 50.39%를 들고 있다. 메타에스앤씨는 병원 경영컨설팅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해 8월 메타케어에서 사명을 변경했다. 같은 사업을 영위하는 모모랩스는 모모부산, 모모대구를 지배하고 있다.
메타케어가 연결 기업으로 편입되면 모회사 메타랩스의 수익성은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크게 △의약품사업부문 △메디컬사업부문 △투자부문 △부동산개발사업부문으로 나뉘어 있는 메타케어는 2023년 흑자전환한 이후 지난해 메디컬 사업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17.1% 증가한 202억원의 매출을 냈다. 영업이익은 57.4% 증가한 15억원을 기록했다. 이달 모모랩스를 연결 대상 기업으로 편입한 만큼 매출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메타랩스는 이번 유상증자에 앞서 사업 포트폴리오도 소폭 조정했다. 이달 초 기존에 들고 있던 모모랩스 주식 3만3510주(50.39%)를 메타케어에 양도했다. 확보한 자금 58억원은 메타랩스 내 패션사업부문을 키우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당분간 헬스케어 사업은 메타케어가 전담할 예정이다.
메타랩스 관계자는 "상장 유지 요건이 내년부터 강화되는 만큼 해당 요건을 맞추기 위한 조치"라며 "계열사 간 포트폴리오 조정을 위해 모모랩스 지분을 메타케어에 양도하기는 했으나 사업 내용, 인력 구성 등에 변동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비용절감 효과' SK렌터카, 1분기 수익성 '상승세'
- [화웨이 AI 굴기]하이실리콘, IP 내재화로 ‘설계 독립’ 가속
- [지배구조 분석]오하임앤컴퍼니 매각 공식화, 창업주 엑시트 '채비'
- [드라마 제작사 생존기]퍼스트맨스튜디오, 오징어게임 덕 '독보적 수익'
- [i-point]킵스파마 '오랄로이드', 비글견 생체이용률 38% 확인
- [Company Watch]'기소혐의 변경' 대유, 상폐 소송 변수 '촉각'
- [영상]삼성·SK부터 삼진까지, 보스톤 BIO USA 결집한 'K-바이오'
- [코스닥 오버행 리스크 체크]'대주주 변경' 오늘이엔엠, 전주인 지분 시한폭탄 '변모'
- [JPI헬스케어 IPO]FI 일괄 매각 제한 확약에도 '6개월 오버행' 이슈 잔존
- 삼천당제약 '시밀러' 첫 해외진출, 라이벌 등장 '변수'
김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기소혐의 변경' 대유, 상폐 소송 변수 '촉각'
- [지속가능경영 리뷰]'친환경 에너지' DS단석, 기후변화 대응 역량 집중
- [i-point]노을, 씨젠 브라질과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도입 MOU 체결
- [i-point]제이엘케이, 마루베니 그룹 계열사와 유통계약 체결
- [i-point]대동, 고급형 트랙터 'HX1403' 출시
- [Company Watch]'글로벌 공급 본격화' 노을, 매출 성장세 지속
- [i-point]DS단석, 2030 비전선포식 개최 '매출 3조 달성 목표'
- [코스닥 CB 프리즘]조달 나선 아미노로직스, 아미노산 자체생산 전환
- [Company Watch]탑런토탈솔루션, 박영근 단독 대표체제 전환
- [i-point]코스모신소재, 김창수 CFO 자사주 추가 매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