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8년 08월 21일 08:1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사회생'. 진에어의 현재 상황을 보여주는 말이다. 존폐의 기로에 몰렸던 진에어는 '직원들의 고용 안정과 주주권인 보호 차원'에서 가까스로 면허취소를 면했다.그러나 아직 '미생'이다. 새로 항공기를 도입하거나, 노선을 개설할 수 없다. 국토부는 진에어의 신규 항공기 도입과 노선 개설을 위한 선결조건을 제시했다. 진에어는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고, 이사회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내부통제 시스템도 갖춰야 하고, 노사문화도 새로 정립해야 한다. 이 모든 과정을 국토부의 눈 높이에 맞춰 완료해야 비로소 미래를 도모해 볼 수 있다.
'물벼락 갑질'로 촉발된 경영위기를 겪으며 진에어 내에서는 노조가 설립됐다. 면허취소 위기 앞에서 대립하던 노사는 한 뜻으로 회사를 지켰다. 그 과정에서 노사문화 발전의 씨앗이 뿌려졌다.
그러나 경영 투명성 제고와 이사회 역할 강화는 갈 길이 멀다. 그동안 진에어의 경영권과 이사회 의결권은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장악하다시피 해왔다. 최근 조 회장은 진에어 대표이사 회장에서 물러났지만 이사회 지위는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진에어는 조 회장 일가의 전유물처럼 운영됐다.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이 진에어의 경영진에서 물러난 뒤에도 그는 결재라인에 포함돼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했다.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도 진에어 이사회 멤버로 주요 의사결정에 입김을 냈다.
진에어는 이제 다시 출발선에 섰다. 직원들과 경영진의 각오와 의욕도 충만하다. 그러나 정상화까지의 과정은 험난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진에어의 경영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계획하고 있다. 제재와 관리·감독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진에어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과거에 진에어 임원이 아닌, 조양호 회장 일가가 주요 결재서류에 사인하는 등의 비정상적 경영상황이 빚어졌는데 이런 걸 다 배제하겠다"며 "적어도 노사가 합의를 할 수 있는 수준의 어떤 경영문화 및 경영형태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에어 직원들이 든 피켓에는 여전히 '오너일가 퇴진'이 크게 인쇄돼 있다. 경영 투명성 제고와 이사회 역할 강화를 위해서 대주주가 결정할 때다. '직원들의 고용 안정과 주주권익 보호'를 위해 전문경영인에게 힘을 더 실어줘야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시노펙스, 갤럭시S21 출시 기념 이벤트 실시
- 유한양행 '레이저티닙' 31호 국산신약 등극
- 규제·분양 줄다리기, 건설사 신용도 '안정적'
- LG헬로비전, 수익성 약화에도 AA급 방어 '이상 무'
- 신성통상, 차입금 부담 가중...하이일드 등급 탈출 요원
- SML제니트리, 코로나 '취합진단' 미국 FDA 승인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삼성그룹, 5년내 최대 발행...'1등 파트너' KB증권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현대중공업그룹, 핵심 파트너 'KB·NH' 향한 신뢰 굳건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롯데그룹, KB·한국 파트너십 공고…삼성 '부상'
- 대성홀딩스, 2월 공모채 500억 착수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감원 인사 동향에 은행권 라임 제재심 긴장감 확대
- 금감원 '핀셋' 임원인사 단행할까
- [2021 금융권 新경영지도]하나은행, 영업조직 효율화…그룹간 통합·세분화
- 신한은행, 희망퇴직 시작…'아너스' 비율도 줄일까
- 진옥동 신한은행장의 ‘디지털 기신환’
- '원칙→설득' 이동걸 산은 회장의 달라진 대화법
- [금감원 독립론 재점화]"왜 하필 지금인가" 내부선 원장 떠난 뒤 후폭풍 걱정
- [2021 금융권 新경영지도]하나금융지주, 큰 변화보단 디지털·글로벌 '디테일'
- [금감원 독립론 재점화]'과도한 권력 집중→내부통제 약화' 부작용 우려도
- 신한은행, 순이익 목표 10%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