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관우 위지윅 대표 "5G 뉴미디어 콘텐츠 주도" "원천 IP 확보 글로벌 제작사 도약"...美·中 해외 진출
신상윤 기자공개 2019-06-03 13:58:00
이 기사는 2019년 06월 03일 07:5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설립 전부터 안정적인 이익을 낼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고민을 했다."
|
위지윅스튜디오는 2016년 박관우 대표와 박인규 대표가 한국의 VFX 기업도 이익을 남길 수 있는 구조를 만들자며 의기투합해 설립됐다. 설립 이듬해 흑자전환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코스닥 상장과 20%대 영업이익률 등을 달성하며 주목을 한몸에 받았다. 박관우 대표는 영화 '구미호'와 '은행나무침대' 등 한국 영화 CG 제작에 참여한 VFX 1세대다.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다수의 VFX 전문가들이 그의 후배들이다.
박 대표는 "미국 뉴미디어 제작사 쇼스캔에서 부사장으로 5년 정도 근무하다 귀국해 보니 한국 영화 호황기에도 VFX업계 후배들은 힘든 상황이 계속됐다"며 "제 기술력과 박인규 대표의 자본시장에 대한 이해력 등을 더해서 수익을 내는 VFX 기업을 만들겠다는 각오로 위지윅스튜디오를 설립했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영화사 '신씨네'의 신철 대표 소개로 인연을 맺었다.
위지윅스튜디오는 영화 및 드라마, 광고 등 각종 영상 콘텐츠 기획 단계부터 VFX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원천 지적재산권(IP)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에이스토리(드라마 제작사)와 인스터(드라마 CG), 와이랩(웹툰 제작사) 등에 투자한 이유다.
그는 "5G 시대가 열리면서 다양한 매체와 플랫폼이 생기며 뉴미디어 콘텐츠 수요가 대규모로 늘어날 것"이라며 "원천 IP를 확보해 VFX 기술 기반의 '5G 뉴미디어' 콘텐츠 산업을 주도하는 글로벌 리딩 컴퍼니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지윅 프리비즈 시스템'과 '페이셜 캡처 기술' 등 위지윅스튜디오가 개발한 기술들에서 자신감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위지윅 프리비즈 시스템은 모션 캡처를 통해 실시간으로 영상을 CG 형태로 제작한다. 변경 및 제어가 자유롭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대량 재생산도 가능해 차세대 VFX 제작 시스템으로 평가받는다.
박 대표는 "이 기술은 영화 '마녀'에 적용돼 제작 시간과 예산 등을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며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샌드박스네트워크와 함께 3D 애니메이션 '버츄어몬스터'를 기획해 유튜브에 공개하는 등 자체 콘텐츠 생산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버츄어몬스터는 외계에서 온 도깨비 '구미호'와 '호요리'를 메인 캐릭터로 한 3D 애니메이션이다.
위지윅스튜디오 등 한국의 VFX 기술력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위지윅스튜디오는 할리우드 영화 '알리타:배틀엔젤' 스크린X VFX 작업에 참여하는 등 수주를 확대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캐나다 VFX 전문기업 '스캔라인'이 한국에 지사를 설립하는 등 업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중국이 콘텐츠 시장에 자원을 투자해 힘을 쏟고, 국내에선 주52시간 근무제 등의 이유로 대내외 위협도 지속되고 있다.
박 대표는 "중국의 VFX 기술력은 한국 보다 6~7년 늦은 반면 현지 인건비가 비싸 오히려 수주하기 좋은 시장이라 우리도 많은 작품을 하고 있다"며 "스캔라인 등이 한국을 찾는 것도 이 같은 배경으로 향후 시장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이어 주 52시간 근무제와 관련해서도 "업계 현실상 미진한 부분이 있지만 정책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는 만큼 집중 근로 등 효율성을 높여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끝으로 "위지윅스튜디오의 첫 모토는 '깜쪽같이'였다"며 "VFX와 뉴미디어 시장에서 원천 IP를 개발하고 OTT 플랫폼까지 확장해 VFX 고퀄리티 기반의 글로벌 영상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성장성 2호' 라닉스, 자율주행 원천 기술 선점 나선다
- 이엔코퍼레이션, 수처리 EPC 전문 ‘한성크린텍’ 인수
- 신성이엔지, 2차전지 사업 확대 "성장성 기반 마련"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나노브릭, 매출 조정 힘 '흑전'…괴리율 좁히기 안간힘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기능성 신소재' 나노브릭, 보안·바이오 '팔방미인' 두각
- 코리아센터·강원도, 배달앱 '일단시켜' 17개 시군 확대
- 소리바다 "플랫폼 사업자 체질개선 원년 총력"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이정수 플리토 대표 "사업모델 1호 무거운 책임감"
- 국보, KF94 마스크 미국·유럽 수출 '출격 완료'
- '선투자 효과' 코리아센터, 최대 성적표 '함박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