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한국증권, 연말 대어급 IPO 양분…'윈윈 경쟁' '조단위' 롯데리츠·한화시스템·지누스 등 상장 눈앞, 수수료 수입 극대화
김시목 기자공개 2019-10-16 14:25:08
이 기사는 2019년 10월 14일 16:5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연말 상장을 예고한 대어급 IPO 주관을 양분하면서 쾌재를 부르고 있다. 두 곳은 앞서 다수의 중소형 딜로 대거 주관 실적을 쌓은 데 이어 '빅(Big)' 하우스의 바로미터 격인 대형 딜 성사를 나란히 목전에 두고 있다. 단순 실적을 넘어 대기업 계열 IPO 등 조단위 딜에서 하우스 위상과 저력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다.두 곳의 대형 딜 주관은 실익에서도부족함이 없는 효과를 내고 있다. 인수 요율은 낮지만 절대 밸류에이션(몸값) 자체가 커서 부가 수수료 수입이 상당하다. 특히 공모 규모에 연동되는 청약수수료는 이들 하우스의 수익 창출을 극대화하고 있다.
◇ NH·한국, IPO 명가 입지 공고
조단위 밸류에이션이 예상되는 기업들이 10월과 11월 잇따라 상장할 예정이다. 롯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롯데리츠)를 포함해 한화시스템도 대기 중이다. 두 곳 모두 공모 규모만 4000억원대로 올해 랜드마크 딜을 예고하고 있다. 지누스 역시 대기 중이다.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두 곳은 이들의 연말 상장으로 가장 큰 수혜가 예상된다. 공동(한화시스템)으로 참여하거나 단독 주관을 맡았다. 공모 규모는 총 1조원이 넘는다. 올해 유가증권시장 공모 규모가 2000억원대 초반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압도적 규모다.
통상 대기업 빅딜 등 대어급 IPO 레코드는 주관사의 위상과 존재감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평가된다.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등 IPO 시장에서 장기간 레코드와 평판을 쌓아온 증권사들의 경우 대부분 빅딜 경험을 발판으로 사세를 키워왔다.
이미 올해 IPO 시장은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질주하고 있어 큰 의미는 없다. 하지만 대형 딜을 통해 '명가'의 입지를 굳건히 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단 평가다. 특히 NH투자증권은 연초 현대차그룹 계열(현대오토에버)을 상장시키며 역량을 입증했다.
시장 관계자는 "두 곳 모두 지난 2년간 예정된 빅딜이 연기되거나 좌초하면서 삐끗거린 한계를 올해 모두 해소하는 흐름"이라며 "대기업 계열이나 비대기업 알짜 빅딜의 경우엔 IPO 하우스의 경쟁력과 위상을 높인다는 점에서 단순 딜 성사 이상"이라고 말했다.
◇ 올해 최대 공모 규모, 막대한 실익 수순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평판 제고만큼 실익 면에서도 상당한 기대가 예상된다. 대기업 계열 딜인 만큼 기본 인수수수료율은 80~100bp 수준으로 높지 않다. 외국계 IB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 배분 시 할당받을 수입은 더욱 준다. 대략 10억원 안팎이다.
하지만 청약 및 성과 수수료가 낮은 요율을 상쇄한다. 공모 규모에 연동돼 책정되는 만큼 기본 수수료에 버금가는 수익이 기대된다. 기관 물량의 1%를 가져가는 만큼 인수수수료를 배가할 수 있는 특효약인 셈이다. 1000억원만 해도 10억원의 수익이 추가된다.
현재까지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IPO 인수수수료(540억원) 중 40% 가량(200억원 상회)을 쓸어담고 있다. 남은 빅딜이 증시입성까지 순항할 경우 연말 무렵 비중은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점쳐진다. 대형 딜 효과가 경쟁사를 더욱 따돌릴 전망이다.
IB 관계자는 "양강을 구추한 두 곳이 '윈윈'하며 경쟁하는 구도"라며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그간 기대했던 딜이 좌초된 후 오랜만에 저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역시 다수 대어급 딜을 쥐고 있는 만큼 선순환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비디아이, 신라젠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PT 진행
- 청보산업, 보그워너와 협력 강화 노력
- 파라투스·골든루트, 호산테크 PMI 본격화
- 메디포럼,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 순항
- 미래사업 투자나선 KAI, 유동성 확대 드라이브
- [건설사 해외사업 점검]해외 실적 주춤한 DL이앤씨, 러시아 시장 노린다
- [중견건설사 재무 점검]몸집 줄어든 라온건설, 부채부담은 개선
- [중견건설사 재무 점검]'대한전선 품는' 호반산업, 재무건전성 다졌다
- [thebell interview]김진 퍼틸레인 대표 "디지털 광고 인프라 기업 목표"
- 퍼틸레인, IPO 채비…주관사에 '미래에셋증권' 선정
김시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국증권, 플레인바닐라 자문 랩어카운트 ‘굳건한 공조’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삼성운용, 극심한 변동성 제약바이오 ‘현미경 심사’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삼성운용, 의결권 행사 '롯데'에 유독 엄격했다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칼날 '무뎌진' 삼성운용, 의결권 반대비율 낮아졌다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삼성운용, 최초 전담조직 '연착륙'…인력정체 '옥의 티'
- 국제운용, '쿠팡 물류투자' 리테일 상품 내놨다
- [헤지펀드 판매사 지형도 분석]판매사 다변화 노력 아스트라, 여전한 '우군' 한국증권
- 베스타스운용, 쿠팡 '칠곡 저온물류' 품었다
- [2021년 WM하우스 전략]“SNI 확장 탄력, VVIP 브랜드 위상 굳힌다”
- 아너스운용, '팔래스강남호텔 매입' 투자펀드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