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캐피탈, GP 전담조직 신설 시동 전문성·역량 강화 목적…조만간 인선 단행
김병윤 기자공개 2020-01-09 10:55:40
이 기사는 2020년 01월 07일 15:5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DB캐피탈이 무한책임사원(GP) 전담 조직을 새로 꾸린다. GP 역량·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KDB캐피탈은 조만간 조직개편과 함께 인선을 단행할 전망이다.7일 인수·합병(M&A) 업계에 따르면 KDB캐피탈은 GP 역할을 전담하는 부서 신설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GP 전담조직 신설은 GP 부문의 역량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KDB캐피탈은 주로 프로젝트펀드에 LP로 참여해 자금을 태우면서 공동 GP 지위까지 꿰찼다. 하지만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대비 딜 소싱 역량이 부족한 탓에 제한된 GP 역할만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M&A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M&A 업계 관계자는 "KDB캐피탈은 주로 소형 PEF 운용사가 프로젝트펀드를 조성할 때 LP로 이름을 올리면서 공동 GP로도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왔다"며 "GP 역할만 전담하는 조직을 신설한다는 것은 딜 소싱부터 엑시트까지 거래 전반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겠다는 의도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전 신임 대표는 약 30년 동안 KDB산업은행에서 근무했으며, KDB캐피탈로 적을 옮긴 후 부사장을 거쳐 사장으로 승진했다. KDB산업은행 재직 시절,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단행한 첫 임원인사 때 임기를 연장받은 몇 안 되는 인물로 알려졌다. 그는 KDB산업은행에서 △자본시장실 △투자금융실 △기업금융실 △프라이빗에쿼티(PEE)실 △발행시장실 △M&A실 등을 두루 거치며 자본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KDB캐피탈 관계자는 "GP 전담조직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됐었고, 그에 대한 논의는 있어 왔다"며 "아직 조직 개편과 인사 등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GP 전담조직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어렵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김병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디폴트]주관사 NH·미래대우 침묵 일관…시장도 갸우뚱
- 크래프톤 액면분할 임박…FI 엑시트 기대감 점증
- 수출입은행 첫 ESG 펀드 출자사업, 흥행할까
-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디폴트]선순위 대주 JP모간 책임 놓고 의견 '분분'
-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디폴트]투자자 소송 불사 강경대응…핵심 쟁점 '재무실사'
- 금호리조트 품을까…금호석화 이사회에 쏠린 눈
- 롯데케미칼 참전 JSR 사업부 인수전, 흥행할까
- 키네마스터 매각, 잇딴 러브콜에 흥행 기대 점증
- 뉴딜펀드 숏리스트 발표…부문별 희비 뚜렷
- 경영권 분쟁 금호석화, 금호리조트 인수 '신중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