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국정원 고위직 영입…'기술보안' 강화 'D램·낸드' 등 국가핵심기술 보유, 연구직 영입시도 등 유출위험↑
원충희 기자공개 2020-10-19 08:20:06
이 기사는 2020년 10월 16일 13:5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하이닉스가 국가정보원 고위공직자를 고문으로 영입했다. 반도체 기술 경쟁이 극심해지면서 국기핵심기술로 지정된 30나노 이하 반도체 기술 유출위험이 증가, 보안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이뤄진 조치다.16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지난달 공직자윤리위원회 취업심사를 통과한 국정원 1급 퇴직자 1명을 고문으로 영입했다. 국정원 임직원은 특정직 공무원으로 여기에 재직한 인사가 민간기업으로 재취업 하려는 경우 심사를 받아야 한다.
국정원 1급이면 국·실장에 해당하는 고위직이다. 지난 4월 단행된 1급 간부인사 과정에서 퇴직한 멤버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가 국정원 고위직을 영입한 이유는 산업기술 보안 이슈 때문이다. SK하이닉스가 보유한 30나노 이하급 D램 반도체 설계·공정·소자기술 및 3차원 적층형성 기술과 조립·검사기술, 30나노 이하급 낸드플래시 설계·공정·소자기술 및 3차원 적층형성 기술과 조립·검사기술은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돼 있다.
국가핵심기술은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산업기술보호법)'에 따라 국내·외 시장에서 차지하는 기술·경제적 가치가 높거나 관련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커 해외로 유출될 경우 국가 안전보장 및 국민경제 발전에 중대한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산업기술을 뜻한다.
반도체 분야에선 총 7개가 지정됐는데 이 중 30나노 이하 D램, 낸드플래시, 파운드리 기술은 모두 SK하이닉스와 직접적 관련이 있다. 반도체 핵심기술 유출 방지는 회사를 넘어 국가 차원에서 중요한 일이기에 SK하이닉스는 국정원의 주요 관리를 받고 있다.
실제로 SK하이닉스는 과거 자회사를 통해 기술이 유출된 사례가 있다. 2002년 LCD사업부였던 하이디스(현대디스플레이테크놀로지)가 중국 BOE에 팔리고 광시야각 기술(FSS)을 포함해 LCD 첨단기술 4300건 가량이 중국으로 유출됐다. 이에 국정원은 기술유출 혐의를 적발, 양국 경영진 8명을 검찰에 고발했다.
최근에는 고액연봉 등을 내걸어 연구직 임원들을 데려가려는 시도가 몇 번 있었다고 전해진다. 국정원 산업기밀보호센터가 적발한 기술 해외유출 사건의 30~40% 가량이 조선·반도체 기술이란 전언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국가핵심기술을 취급하는 회사라 산업보안이 워낙 중요하다보니 그런 차원에서 (국정원 인사를) 고문으로 영입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인프라웨어, K-비대면 바우처 사업 덕 SW 이용률↑
- 브이티지엠피, 펜타곤과 콜라보 통해 일본시장 확장
- '공격적 밸류' 아모센스, 김병규 회장만 구주매출
- [VC 펀드분석]타임와이즈 '중소상생조합', 커머스 연결 징검다리
- [이사회 분석]한신공영, 이사진 '물갈이'…사외이사 충원도
- 신한알파리츠, 1.5조로 덩치 키운다…삼성화재 빌딩 인수
- 대림산업 '지주사' DL, 공정위에 전환 신고 '잰걸음'
- 태영건설, 감사위원 분리선출…상법개정안 충족
- [LGES·SK이노 배터리 분쟁]ITC 최종 판결에도 팽팽한 평행선, 합의는 멀었다?
- [이사회 모니터/대우건설]핵심지표 모두 채운 '모범생' 감사기구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테스, 보유주식 매각으로 역대급 시설투자
- 카카오엔터, PMI 시동…물리적 통합은 아직
- 카카오, 알짜 커머스 두고 이베이에 눈독 왜?
- 합병 앞둔 카카오M·페이지, 엇갈린 '코로나 효과'
- [카카오 글로벌 도전기]권승조와 라전무, 한국판 디즈니를 꿈꾸다
- 네이버 솔루션 받는 ZHD, '라쿠텐·아마존' 겨냥
- '흑전 실패' 카카오페이, IPO 선택지는 넓어져
- '픽코마' 날았다…카카오재팬 흑자전환 성공
- [Company Watch]네이버, 4조 현금보유고 반토막 난 사연
- [카카오 글로벌 도전기]여민수·조수용의 3.0, 전면에 나선 'IP·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