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라인, '웹툰엔터·라인맨' 덕 반짝 흑자 지배구조 개편·투자유치 결과로 지분평가익 3000억 반영
원충희 기자공개 2020-10-29 12:12:21
이 기사는 2020년 10월 29일 07:1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의 일본 계열사 라인(LINE Corporation)이 7분기 만에 영업부문 흑자를 냈다. 웹툰엔터테인먼트와 라인맨 등 계열사 주식 평가이익이 반영된 효과다. 다만 일회성 요인에 따른 반짝 이익이라 당기손익 흑자로 이어지진 못했다.라인은 3분기 영업이익 211억엔(약 2295억원)을 달성해 2018년 4분기 이후 7개 분기만에 흑자를 기록했다. 일본에서 가입자 8300만명 넘는 메신저 서비스를 운영하는 라인은 그간 지속된 적자로 모회사 네이버의 재무상태에 부담이 돼 왔었다.
광고, 콘텐츠 등 핵심사업은 돈을 벌고 있으나 핀테크와 쇼핑, 외식 등 O2O(Online to Offline) 전략사업이 아직 궤도에 오르지 못한 탓이다. 3분기에도 핵심사업은 125억엔(약 1357억원) 영업이익을 냈으나 전략사업에서 153억엔(약 1670억원)의 손실을 입었다.
원래대로라면 64억엔(약 696억원)의 영업적자가 나야하지만 이번에는 일회성 요인이 손실을 이익으로 바꿨다.

우선 계열사 라인디지털프런티어 지분을 내주고 확보한 웹툰엔터테인먼트 지분에서 평가이익 95억엔(약 1033억원)을 얻었다. 네이버는 웹툰사업의 글로벌 확장을 위해 자회사 네이버웹툰의 미국법인(웹툰엔터테인먼트)을 최상위 회사로 올리고 그 밑에 웹툰 계열사들을 편재하는 지배구조 개편을 진행 중이다.
이 과정에서 라인이 가진 라인디지털프런티어 지분을 웹툰엔터테인먼트 지분과 교환했다. 라인으로선 생각지 못한 알짜주식을 얻은 셈이다.
또 태국법인 라인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로 181억엔(약 1969억원)의 평가이익이 발생했다. 라인은 태국 1위 배달앱 운영사 라인맨을 현지기업과 합병하고 1323억원 규모의 외부투자를 받았다. 이로 인해 라인 측이 보유한 라인맨 지분이 100%에서 45.6%로 희석돼 종속기업에서 관계회사(공동지배기업)로 바뀌었다.
회계상 종속기업이 관계사로 변경되면 연결재무제표에서 빠져 지분법으로 처리된다. 이 과정에서 재평가를 통해 장부상의 손익이 발생한다. 라인맨의 기업가치 상향 덕분에 라인은 평가익 수혜를 입었다.
다만 일회성 요인에 따른 반짝 이익이 당기손익 흑자로 이어지진 못했다. 라인은 영업외손익 부문에서 163억엔(약 1740억원)의 투자자산 손상차손과 108억엔(약 1173억원)의 법인세 부담 등으로 113억엔(약 123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하나금융 차기 리더는]김정태 회장 연임 눈앞…이사회 단독 추대
- NH PE-오퍼스, 구조조정 투자 '파죽지세'
- 메리츠증권, '메리츠펀드마스터Wrap' 상품 절찬 판매
- 나노스, 홀센서 글로벌 시장 '1위' 노린다
- [호반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박철희 사장, 변곡점마다 나선 '믿을맨'
- 계룡건설산업, 임대주택 집중…리츠사업 확대 '속도'
- 자이에스앤디, 잇따른 '자체사업' 성과…지식산업센터 분양
- 한화 최대주주로 맞는 쎄트렉아이, 이사진 순혈주의 깬다
- 1년 반만 기업가치 두배 뛴 SK건설, 환경사업이 '관건'
- [건설사 키맨 줌인]롯데건설 '디벨로퍼 변신' 이끄는 이부용 주택사업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