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1조' 확보한 LG유플, 유료방송 인수전 영향은 영업익 순항·헬로비전 안착, 참전 여건 마련…압도적인 순차입금비율 변수
최필우 기자공개 2020-11-06 07:33:39
이 기사는 2020년 11월 05일 18:1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유플러스 현금성자산이 한 분기만에 두배 넘게 증가하며 1조원을 돌파했다. 실탄을 마련하면서 유료방송 인수전에 추가로 참여할 만한 여력을 확보했다. 다만 경쟁사 대비 순차입금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추가적인 차입 부담을 감수하긴 어려운 상황이다.5일 LG유플러스가 발표한 '2020년 3분기 실적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현금성자산은 1조671억원이다. 직전 분기 4947억원과 비교하면 5724억원(53.6%) 증가했다. PG사업부 매각 대금이 현금성자산으로 분류되면서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LG유플러스는 부족한 자금력 탓에 올해 현대HCN 인수전을 다소 조용하게 보냈다. 본입찰까지 참여하는 등 줄곧 원매자군으로 분류됐으나 LG유플러스를 유력한 인수후보로 꼽는 시각은 드물었다. 지난해 LG헬로비전을 인수한 데다 현금성자산이 5000억원을 밑돌았기 때문이다. 2조원 안팎을 보유한 SK텔레콤, 1조5000억원 안팎의 KT에 비해 공격적 인수에 나서기 부담스러운 상황이었다.
3분기 들어 현금성자산이 1조원을 웃돌면서 인수전에 참여할 기초 체력은 만든 것으로 보인다. 딜라이브의 경우 채권단이 당초 논의됐던 1조원보다 매각가 눈높이를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CMB는 4000억~5000억원 수준의 매물로 평가받고 있다. CMB의 경우 3분기에 늘어난 현금성자산 만으로 매입할 수 있는 가격이다.

다만 차입금 부담이 여전히 크다는 점이 변수다. 3분기말 기준 순차입금비율은 60.5%다. 직전 분기 68.9%에 비해 8.4%포인트 감소했으나 경쟁사와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높다. SK텔레콤과 KT는 30%중후반대 순차입금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5G 관련 투자와 콘텐츠 투자를 늘려야 하는 LG유플러스가 차입금 부담을 더 키우긴 쉽지 않다.
딜라이브와 CMB 인수전에 아예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SK브로드밴드 IPO를 준비하고 있는 SK텔레콤이나 유료방송 1위 사업자 지위를 공고히 하고 싶어하는 KT만큼 LG유플러스의 점유율 확대 의지가 크지 않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LG헬로비전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면서 재무 구조 개선에 집중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경영분석]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에 은혜 갚은 '바이오 듀오'
- [VC 투자기업]'실탄 조달' 크리마, 북미 이커머스 시장 개척 포문
- '전자상거래 솔루션' 크리마, 40억 시리즈A 클로징
- 완성차 벤더사 신광정공 재매각 '시동'
- JKL 투자 티웨이항공 CPS, 자본 인정 논란
- 투자유치 추진 메쉬코리아, 가격갭 극복할까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F&B 전문 IT 시스템 탑재 매드포갈릭, 경쟁력 'UP'
- 데코시트 제조사 데시라, 우협 선정 임박
- 매각 번복 웰킵스, 작년 실적 들여다봤더니
- [기업 생존의 무기 '컬래버']두산은 왜 '퓨얼셀'을 끝내 놓지 않았나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스튜디오지니 중간지주 전환, 현대HCN 딜 불똥튀나
- KT, '스튜디오지니·스카이TV' 이사진 연계해 지배력 확보
- iHQ '유도 감독' 사외이사가 불러올 변화
- SKT, 분기배당 카드 만지작…신사업에 달린 실효성
- 아프리카TV, 옥죄어 오는 규제…미디어 전문가로 대응
- [밸류업 나선 KT]진화하는 KTH, '광고·커머스' 메기 될까
- [밸류업 나선 KT]'신사업 집결지' AI·DX부문, '빅테크 체질' 만든다
- [밸류업 나선 KT]스튜디오지니, '상무급 대표이사' 체급차 극복이 관건
- 이베이 노리는 SKT, ADT·티브로드 인수 경험 자신감
- [이사회 분석]KTH, 그룹 시너지에 초점…KT 사장단만 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