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운용, 신사업 로보 파트너 '두물머리' 낙점 SI 자격 35억 투자…로보 알고리즘 활용 펀드 등 다양한 협업 가능성
김진현 기자공개 2020-11-26 08:06:01
이 기사는 2020년 11월 24일 10:27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자산운용이 디지털 금융 강화를 위해 로보어드바이저 전문 회사에 투자한다. 한화자산운용은 자체 로보어드바이저 개발과 함께 외부 업체와 협업으로 테크솔루션 사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화자산운용은 로보어드바이저 회사인 주식회사 두물머리에 전략적투자자(SI)로 자금을 태운다. 투자 금액은 약 35억원으로 알려졌다.
이번 투자는 제3자 배정방식 유상증자로 이뤄진다. 총 조달 금액은 38억원이다. 한화자산운용 외에 와디즈가 설립한 벤처캐피탈(VC) 와디즈파트너스가 3억원 가량을 함께 투자하기로 했다.
두물머리는 지난 2015년 9월 설립된 핀테크 회사다. 금융과 IT의 만남이라는 의미를 담아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로 사명을 지었다.
두물머리는 KTB투자증권, 키움증권, 아이엠투자증권 등에서 파생상품 트레이더로 커리어를 쌓아온 천영록 대표가 이끌고 있다. 자회사 두물머리투자자문의 송락현 대표와 함께 2015년 9월 회사를 세웠다. 송 대표는 미래에셋자산운용, 얼라이언스번스틴자산운용 등을 거쳤다.
한화자산운용이 디지털 금융 강화의 일환으로 로보어드바이저 사업을 고심하던 중 외부 업체 협업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한화자산운용은 2018년부터 내부 TF를 만들고 로보어드바이저 솔루션 개발을 진행해왔다. 이미 시장에서 어느정도 평판을 쌓은 외부 업체와 협업을 통해 이를 더욱 강화하려는 취지다.
두물머리는 자회사 두물머리투자자문을 통해 개인투자자에게 로보어드바이저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론칭하고 투자자문 계약을 늘려가고 있다. 또 앞서 키움투자자산운용과 공모펀드, KB증권·키움증권 등과 랩 어카운트(Wrap Account) 협업 등을 하며 시장에 이름을 알려왔다.
두물머리투자자문의 자문 고객은 지난 9월말 기준 1만 1236명으로 집계됐다. 자문 계약 자산 총액은 1487억원이다. 두물머리가 업계에서 자리매김하면서 평판을 쌓아온 게 이번 투자가 성사된 배경으로 풀이된다.
한화자산운용은 향후 두물머리 알고리즘을 활용한 로보어드바이저 상품 개발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개발 중인 펀드 직판 앱에도 로보어드바이저 펀드 또는 자문계약 상품이 탑재될 가능성도 남아있다.
한화자산운용 관계자는 "향후 협업 내용에 대해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가 없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브이티지엠피, 日라쿠텐 '연간 5억엔 돌파상' 수상
- 현실세계로 나온 '메이플 월드', Z세대에 인기
- 쏘카, 기업밸류 1.5조 '파격적'으로 낮췄다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IB 프로파일]'섬세한 IPO 전략가' 최신호 한국증권 본부장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
- [VC 경영분석]SV인베, '대형펀드 운용+글로벌 투자' 전략 통했다
- 4년차 신생 에이벤처스, 'AUM 2200억' 돌파
- 전고체 승부수 띄운 삼성, 배터리도 반도체처럼 '2030'?
김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업형 VC 돋보기]원익투자파트너스, 출범 키워드 '한미은행·협성회'
- 레이저쎌, 약세장 속 흥행 VC 자발적 확약 '한몫'
- 인터베스트, 진단업체 투자 '연타석 홈런' 노린다
- HB캐피탈, 첫펀드 한빛대부 금융업 강화 '조력' 역할
- [2022 모태 2차 정시출자]스마일게이트인베, 최소 결성액 달성 펀드 '더 키운다'
- [2022 모태 2차 정시출자]데브시스터즈벤처스, 300억 규모 펀드 결성 추진
- 나우IB-YG인베 '맞손' 수시전환 메타버스 계정 도전장
- DSC·인터베스트, 규모 커진 산재보험기금 '승전보'
- 유진그룹 VC 스프링벤처스, 첫 펀드 '출격'
- 세종벤처, 펀드 규모 확대 '방점' 인천성장펀드 도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