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코로나19 명암]애큐온저축은행, 특수관계자 거래 유형·규모 '말끔'⑤최대주주 사모펀드, 내부거래 계열사 없어…채권·채무도 미미
고설봉 기자공개 2021-07-19 07:14:28
[편집자주]
저축은행에게 있어 코로나19는 위기인 동시에 기회이기도 했다. 소비 부진과 경기 침체 늪에 빠진 곳이 있는가 하면 늘어난 유동성과 대출수요 흐름에 올라탄 곳도 있다.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불러 일으켜 저축은행 업계를 양극으로 나누는 분수령이 되기도 했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완연히 달라진 저축은행의 상황을 각 하우스별로 진단해본다.
이 기사는 2021년 07월 14일 15:2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애큐온저축은행은 다른 저축은행과는 다르게 특수관계자 내부거래 관계가 매년 줄어들고 있다. 한때 증가하는 듯했던 내부거래 유형과 규모는 현재의 지배구조가 완성된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양상이다.지배구조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글로벌 사모펀드가 최상위지배기업인 애큐온저축은행은 내부거래를 펼칠 저변이 넓지 않다. 최상위지배기업이 설정한 사모펀드를 제외하고 국내에선 애큐온캐피탈이 사실상 유일한 특수관계자다.
애큐온저축은행은 국내에 30여개 특수관계자를 공시했다. 다만 이들 대부분은 사모펀드로 특정 산업 및 기업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 설립됐다. 이외 실제 영업활동을 통해 영업이익을 창출하는 법인은 국내에선 애큐온캐피탈이 유일하다.
이에 따라 특수관계자 거래도 제한적이다. 2018년 현재의 지배구조가 완성된 이후 별다른 내부거래를 펼치고 있지 않다. 2018년 이전에도 별다른 내부거래가 없었다. 이 때도 애큐온저축은행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자는 대부분 사모펀드였다.
다만 2018년에는 일시적으로 경쟁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많은 내부거래 유형 및 규모가 있었다. 애큐온저축은행은 애큐온캐피탈과 411억원 규모 내부거래를 맺었다. 이 가운데 대부분은 배당금으로 매입과 매출의 거래는 아니었다. 이외 잡이익, 파견용역, 수수료, 광고선전비를 지출하거나 매입한 건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2019년부터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애큐온저축은행의 내부거래 규모가 2018년 대비 5% 수준으로 줄어든다. 특히 애큐온캐피탈과의 거래 규모가 크게 줄었다. 거래 유형은 수입임대료, 파견 용역, 수수료 등으로 기존과 동일했지만 건수와 금액 모두 규모가 작았다. 연간 내부거래 총액이 25억원 수준으로 감소했다.
내부거래 대상이 한 곳 늘어난 게 특징이다. 2019년 애큐온저축은행은 큐리어스익스프레스기업재무안정사모투자합자회사에서 배당금을 받고 처분이익을 얻었다. 이 사모펀드는 애큐온저축은행이 지분 9.24%를 투자한 곳으로 펀드 청산을 계기로 내부거래가 만들어졌다.
지난해에는 내부거래 규모가 훨씬 더 감소했다. 수입임대료, 파견 용역, 수수료 등 매출과 매입 거래를 모두 합해 12억원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애큐온저축은행과 애큐온캐피탈과의 비용과 수익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졌다.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다른 법인을 도와주거나 일감을 밀어주는 거래도 아니다.
이처럼 내부거래가 거의 없는 만큼 특수관계자와의 채권채무 내역도 미미하다. 유일한 채권 내역은 애큐온캐피탈과 맺은 임대차계약에 따른 임대보증금이다. 금액은 2억500만원 수준으로 적다.이외 주요 경영진 등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내역도 간소하다. 지난해 예수부채와 퇴직급여충당부채, 미지급금 등을 합해 35억원 수준이었다.
애큐온저축은행의 내부거래가 사실상 전무한 이유는 독특한 지배구조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애큐온저축은행은 홍콩계 사모펀드 운용사 베어링PEA가 최상위지배기업으로 있다. 베어링PEA에서 설립한 투자회사인 아고라 엘피(Agora, L.P.)에 애큐온캐피탈과 애큐온저축은행의 지분을 전량 가지고 있다
사모펀드 체제인 만큼 특정 주주 및 그 주주의 개인회사 등 일감을 지원할 대상이 없기 때문에 특수관계자 거래를 벌일 유인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두 회사가 사업적으로 결합하거나 내부거래를 통해 일감을 몰아주는 등의 거래 관계가 만들어질 만큼 사업적으로 시너지를 낼 사업부문이 많지 않다는 해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브이티지엠피, 日라쿠텐 '연간 5억엔 돌파상' 수상
- 현실세계로 나온 '메이플 월드', Z세대에 인기
- 쏘카, 기업밸류 1.5조 '파격적'으로 낮췄다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IB 프로파일]'섬세한 IPO 전략가' 최신호 한국증권 본부장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
- [VC 경영분석]SV인베, '대형펀드 운용+글로벌 투자' 전략 통했다
- 4년차 신생 에이벤처스, 'AUM 2200억' 돌파
- 전고체 승부수 띄운 삼성, 배터리도 반도체처럼 '2030'?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산업은행 강석훈호 출범…지배구조 퍼즐 맞출까
- 이찬우 금감원 수석부원장 사의…임원 일괄 사표 낼까
- [상생금융 명가 신협]“신뢰·존중·희망, 조합원이 행복한 신협 만들 것”
- [상생금융 명가 신협]서울신목신협, 경영대상 빛나는 서울권 대표 조합
- 술렁이는 금감원, 조직개편·임원인사 주목
- [CEO성과평가]배일규 아시아신탁 사장, 신한금융서 꽃 피웠다
- [CEO성과평가]홍민택 토스뱅크 대표, 최연소 은행장의 첫 성적표는
- [상생금융 명가 신협]"금융 이상의 가치, 신협정신 지키며 일류 도약할 것"
- [상생금융 명가 신협]우량해진 외형, 한층 높아진 수익 창출력
- [상생금융 명가 신협]상호금융 부진 속 외형성장 비결은 '지역기반 포용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