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1년 07월 19일 07:4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조창걸 명예회장이 한샘의 경영권 매각에 나섰다. 1973년 한샘을 창업한지 50여년 만의 일이다. 한샘의 성장 뒤에는 그의 '혁신'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표적으로 꼽히는 사례가 '입식 주방'이다. 1970년대만 해도 부엌에서 아궁이 높이가 낮아 허리를 굽히고 일했다. 한샘은 주방 환경을 획기적으로 바꾸는데 일조했다. 1980년대 아파트 개발 붐에 힘입어 큰폭으로 성장했다.조 명예회장은 또 1990년대 중반 일찌감치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했다. 당시 50대였던 그가 오너 경영체제를 유지해도 큰 무리가 없었다. 다만 완전히 경영에서 손을 떼고 주주 역할만 한 것은 아니었다. 대표이사 직위를 유지하면서 주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했다. 사업보고서 상 명시된 담당업무는 경영전략과 연구개발(R&D)이다.
특히 1990년대에는 강승수 회장, 이영식 부회장, 안흥국 부사장, 박승수 전 사장 등 인재들이 적지 않았다. 전문경영인으로 삼을 만한 인력 풀(pool)도 많았다는 얘기다. 전문경영인 체제로의 전환은 인재들을 키우는 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주요 임원들은 한샘의 부흥을 이끌었다. 특히 2000년대 들어 리모델링 사업에 진출해 인테리어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사업보고서 상 확인할 수 있는 한샘의 영업실적은 1999년부터다. 매출액은 2500억원대였다. 3년 뒤인 2003년 매출액은 5000억원에 육박할 정도로 커졌다.
이후에도 꾸준히 성장을 이어온 결과 지난해 매출액 2조원대, 영업이익 900억원대를 달성했다. 한샘은 직원수 2600여명의 기업으로, 국내외 17개 비상장 계열사를 두고 있다. 연결기준 자산규모는 1조2500억원을 상회한다.
다만 최근 실적 추이는 등락세다. 2017년 2조원을 넘어섰던 매출액은 2018~2019년 연속 내리막 추세로 접어들었다가 지난해 다시 반등했다. 업계에서는 한샘의 성장 동력이 떨어진게 아니냐는 해석이 제기되기도 했다. 지난해 실적이 향상된 것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트랜드의 변화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그만큼 대외적으로 우호적인 경영환경에 있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2014년 이케아가 국내에 상륙한 이후 점유율을 높여가는 가운데 한샘도 타격을 받지 않을 수는 없었다. 여기에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비대면이 부각되면서 온라인 기반 인테리어 플랫폼의 성장세도 더욱 거세지고 있다.
오랜기간 국내 가구시장 1위로 자리매김 해 온 한샘이 경쟁자들의 도전에 직면해 있는 셈이다. 결국 이같은 시장 변화 속에서 확고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또 한번의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 명예회장의 경영권 매각이 '단초'가 되길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롤코리아 경영권 확보 완료
- 위세아이텍, '사업 경쟁력 강화' 각자 대표 체제 출범
- '렌탈 1위' 코웨이, 후발주자들과 격차 더 벌렸다
- 네이버, '페이머니 통장' 혁신금융서비스 신청 모색
- 중소형거래소도 뭉친다…개별 협의체 'KDA' 출격
- SK시그넷, 자회사 시그넷에너지 '유증자합병' 이유는
- 넷마블, 블록체인 우군 25곳…MBX 글로벌 확장 속도
- 드림어스컴퍼니, 주가하락에 CPS 전환 요원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KB증권, 현지 증권사 '통큰 인수'...KB 문화 이식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캄보디아 진출 16년 유안타, 현지화로 시장선점 '결실'
이효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격변기 홈쇼핑 생존전략]GS리테일, '고객통합 속도' 홈쇼핑BU 성장동력은?
- [2022 더벨 경영전략 포럼]"인플레이션 장기화, 신성장 동력 발굴하라"
- [격변기 홈쇼핑 생존전략]GS리테일, TV·모바일 '투트랙 전략' 승부수
- 변화의 바람에 휩쓸린 홈쇼핑
- '송출료 직격탄' 홈앤쇼핑, '영업·관리' 이원화 돌파구
- [격변기 홈쇼핑 생존전략]CJ ENM, 커머스부문 ‘MD 차별화’ 사활 건다
- [격변기 홈쇼핑 생존전략]CJ ENM 커머스부문, '합병 5년차' 현주소는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롯데제과, 이사회 '내부통제 미흡' 오명 벗었다
- [지배구조 분석]크리스에프앤씨, 제이앤제이 '상호출자' 더 끈끈해진다
- '300억 유증' NS쇼핑, 부채비율 '선제적 관리' 나섰다